목차
1. 들어가는 말
2. 문화와 환경의 관계
3. 문화산업의 출현
4. 세계화의 특징
5. 세계화와 문화
6. 문화의 세계화 시대에 우리의 자세
■ 참 고 문 헌
2. 문화와 환경의 관계
3. 문화산업의 출현
4. 세계화의 특징
5. 세계화와 문화
6. 문화의 세계화 시대에 우리의 자세
■ 참 고 문 헌
본문내용
식습관이 최소한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하고 진행된 연구로 타 문화의 침투가 지역 문화의 구성원들에게 보다 심대한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예일 것이다.
6. 문화의 세계화 시대에 우리의 자세
1847년 아일랜드에서는 대기근이 일어나 800여만 명의 아일랜드 인구 가운데 200여만 명이 사망하고, 200여만 명의 인구가 해외로 이주하게 되는 참사를 맞이했다. 1847년 감자마름병이라는 전염병이 당시 아일랜드인의 주식인 감자의 생산량을 급감시킨데 따른 식량난에 의해 이와 같은 끔찍한 결과가 나타난 것이다. 이 사건은 종종 획일화가 가지게 되는 위험성을 설명하는 데 자주 등장한다. 다양한 식량에 의지하지 않은 이유로 감자에 대한 전염병이 발생하자 다른 대책을 마련하기 어려웠고 결국 이런 참사를 불러일으켰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사건엔 또 다른 면이 존재한다. 당시 아일랜드인들을 소작농으로 부리고 강제 수탈을 자행한 영국인 지주들의 문제가 있었다. 소작농들을 단지 착취의 대상으로 여기고 그 생존 문제에 대해선 수수방관했던 자본주의적 행태들의 결과였던 것이다. 아일랜드 대기근은 문화의 세계화가 가져올 수 있는 큰 위협 두 가지를 잘 보여주는 예라 할 것이다. 소수의 거대 자본에 의한 문화의 세계화는 문화를 획일화 하여 문화의 다양성을 해쳐 그에 따라 다양성을 잃은 문화는 자칫 그 발전 동력을 잃고 고착되거나 표류할 수 있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초국적인 자본에 의해 침식된 지역과 사회의 문화는 문화의 생산자들에 의해 좌우되게 된다는 점이다.
이제까지 살펴보았듯이 문화는 각 지역의 특색에 걸맞게 사회가 적응하고, 또 전승한 결과이다. 그런 결과가 ‘세계화’라는 이름 앞에 교류라는 명목으로 개방되어지고, 또한 범세계적인 공동의 것으로만 귀결된다면 각 지역 고유의 전통적인 것들은 사라지게 되고 세계의 문화는 획일화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산업혁명 이후 이루어지는 산업화는 문화에서도 예외 없이 나타나게 되고, 새로운 성장 동력원으로 선택된 문화는 문화산업으로 등장하여 거대 자본을 무기로 자본가와 정치권력에 영향을 받는 문화를 생산 공급하기에 이르렀다. 게다가 세계화라는 현재 추세는 이러한 문화산업의 지역, 그리고 사회에 침투를 가속화 하는 도움을 주었다. 그 결과로 우리는 소중한 전통문화와 정체성을 상실할 위기에 처한 것은 물론 각 지역과 사회의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세계문화는 그 지역에 위험을 초래하기까지 한다.
그러므로 세계화가 단순히 시대조류임을 들어 그 추세를 맹목적으로 쫓는 것을 경계하고, 우리는 세계화가 가져올 수 있는 폐해를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에게 이어져 내려오는 전통 문화가 우리의 지역과 우리의 사회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온 적응의 결과임을 생각하고 그 의미를 탐구하여 잃어버림 없이 잘 보존하고, 발전시킬 대책을 강구하며, 또한 산업의 측면에서도 선진국의 문화 침탈에 대해 보호의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고, 문화 경쟁력 확보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김주한, 『서양의 역사』, 역사교양사, 1998.
김창민 외, 『세계화 시대의 문화논리』, 한울 아카데미, 2005.
마샬 W. 피쉬윅, 황보종우 옮김, 『대중의 문화사』, 청아출판사, 2005.
유태용. 『문화란 무엇인가』, 학연문화사, 1999.
자키 라이디, 김종명 옮김, 『세계화의 불안』, 동문선 현대신서, 2004.
쟝-피에르 바르니에, 주형일 옮김, 『문화의 세계화』, 한울, 2000.
존 톰린슨, 김승현ㆍ정영희 공역, 『세계화와 문화』, 나남출판, 2004.
한국철학사상연구회, 『문화와 철학』, 동녘, 2003.
6. 문화의 세계화 시대에 우리의 자세
1847년 아일랜드에서는 대기근이 일어나 800여만 명의 아일랜드 인구 가운데 200여만 명이 사망하고, 200여만 명의 인구가 해외로 이주하게 되는 참사를 맞이했다. 1847년 감자마름병이라는 전염병이 당시 아일랜드인의 주식인 감자의 생산량을 급감시킨데 따른 식량난에 의해 이와 같은 끔찍한 결과가 나타난 것이다. 이 사건은 종종 획일화가 가지게 되는 위험성을 설명하는 데 자주 등장한다. 다양한 식량에 의지하지 않은 이유로 감자에 대한 전염병이 발생하자 다른 대책을 마련하기 어려웠고 결국 이런 참사를 불러일으켰다는 것이다. 하지만 이 사건엔 또 다른 면이 존재한다. 당시 아일랜드인들을 소작농으로 부리고 강제 수탈을 자행한 영국인 지주들의 문제가 있었다. 소작농들을 단지 착취의 대상으로 여기고 그 생존 문제에 대해선 수수방관했던 자본주의적 행태들의 결과였던 것이다. 아일랜드 대기근은 문화의 세계화가 가져올 수 있는 큰 위협 두 가지를 잘 보여주는 예라 할 것이다. 소수의 거대 자본에 의한 문화의 세계화는 문화를 획일화 하여 문화의 다양성을 해쳐 그에 따라 다양성을 잃은 문화는 자칫 그 발전 동력을 잃고 고착되거나 표류할 수 있다는 점이고, 다른 하나는 초국적인 자본에 의해 침식된 지역과 사회의 문화는 문화의 생산자들에 의해 좌우되게 된다는 점이다.
이제까지 살펴보았듯이 문화는 각 지역의 특색에 걸맞게 사회가 적응하고, 또 전승한 결과이다. 그런 결과가 ‘세계화’라는 이름 앞에 교류라는 명목으로 개방되어지고, 또한 범세계적인 공동의 것으로만 귀결된다면 각 지역 고유의 전통적인 것들은 사라지게 되고 세계의 문화는 획일화 될 수 있는 가능성을 가지게 된다. 또한 산업혁명 이후 이루어지는 산업화는 문화에서도 예외 없이 나타나게 되고, 새로운 성장 동력원으로 선택된 문화는 문화산업으로 등장하여 거대 자본을 무기로 자본가와 정치권력에 영향을 받는 문화를 생산 공급하기에 이르렀다. 게다가 세계화라는 현재 추세는 이러한 문화산업의 지역, 그리고 사회에 침투를 가속화 하는 도움을 주었다. 그 결과로 우리는 소중한 전통문화와 정체성을 상실할 위기에 처한 것은 물론 각 지역과 사회의 특수성을 반영하지 못하는 세계문화는 그 지역에 위험을 초래하기까지 한다.
그러므로 세계화가 단순히 시대조류임을 들어 그 추세를 맹목적으로 쫓는 것을 경계하고, 우리는 세계화가 가져올 수 있는 폐해를 간과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또한 우리에게 이어져 내려오는 전통 문화가 우리의 지역과 우리의 사회에 밀접하게 연관되어 온 적응의 결과임을 생각하고 그 의미를 탐구하여 잃어버림 없이 잘 보존하고, 발전시킬 대책을 강구하며, 또한 산업의 측면에서도 선진국의 문화 침탈에 대해 보호의 노력을 게을리 하지 않고, 문화 경쟁력 확보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
■ 참 고 문 헌
김주한, 『서양의 역사』, 역사교양사, 1998.
김창민 외, 『세계화 시대의 문화논리』, 한울 아카데미, 2005.
마샬 W. 피쉬윅, 황보종우 옮김, 『대중의 문화사』, 청아출판사, 2005.
유태용. 『문화란 무엇인가』, 학연문화사, 1999.
자키 라이디, 김종명 옮김, 『세계화의 불안』, 동문선 현대신서, 2004.
쟝-피에르 바르니에, 주형일 옮김, 『문화의 세계화』, 한울, 2000.
존 톰린슨, 김승현ㆍ정영희 공역, 『세계화와 문화』, 나남출판, 2004.
한국철학사상연구회, 『문화와 철학』, 동녘,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