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한국여성연합단체에서 하는 일을 분야 별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2. 다음은 여성노동복지부장 박차독경님과의 질의응답 내용이다.
Ⅱ. 본론
1. 한국여성연합단체에서 하는 일을 분야 별로 알아보면 다음과 같다.
2. 다음은 여성노동복지부장 박차독경님과의 질의응답 내용이다.
본문내용
’단행본 출판(1998년)
총선시민연대 활동(2000년)
2002 대선여선연대 발족(2002년)
‘여성이바라는 3대핵심과제’전달 및 대선후보와 여성유권자와의 만남(2002년)
대선후보 초청 여성정책토론회 공동개최(2002년)
▲ 한반도 통일과 평화를 일구는 활동
아시아의 평화와 여성의역할 서울 평양 동경 토론회 공동개최(1991~1994년)
걸프 전 한국군 파병을 반대하는 어머니 모임 결성(1991년)
여성통일마라톤 개최(1993년)
북한여성과 밥나누기, 사랑 나누기 운동(1997년)
‘21세기 평화와 여성운동-여성 평화 화해’국제 심포지움 개최(1997년)
524 평화와 군축을 위한 세계여성의날 기념식 및 여성평화한마당(1998년)
615 남북공동선언 실천과 민족화해를 위한 2000 여성 평화 통일 어울림 마당(2000년)
북한 산모 아동을 위한 내복보내기운동(2001년)
미군궤도차량에 압사당한 여중생 사망사건 대응활동(2002년)
남북여성통일대회 공동개최(2002년)
▲ 국내외 연대 및 여성 운동의 대중화
제4회 세계여성대회 한국 NGO위원회 참여(1995년)
급속한 산업화와 여성을 주제로 한 한국 중국 베트남 국제심포지움(1996~1998년)
제2차 동아시아 여성포럼 참가(1996년)
빈곤과 폭력 추방을 위한 세계여성대행진 참가(2000년)
‘UN 여성차별철폐협약 20년과 한국여성운동의 과제’심포지움(2000년)
아셈 2000 민간포럼 여성분과 국제회의(2000년)
UN 여성자문단체 지위 획득(2001년)
지속가능개발정상회담참석(2002년)
환경, 정치, 민주화, 사회보장, 노동, 평화 관련 시민단체 연대
▲ 여성주의 문화 확산 및 미디어 사이버 운동
미스코리아 중계반대 운동(1996~2002년)
미디어분야에서의 여성참여 확대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1998~1999년)
사이버 여성문화 공모전(1998~2000년)
세계 38세계여성의날 기념 한국여성대회 개최 및‘올해의 여성운동상’시상(1985년~)
여성문화제‘새로운 천년’(1999~2001년)
평등방송 디딤돌 & 걸림돌 발표 및 시상(1999~2001년)
딸들아! 기지개켜자! 거리 콘서트(2000년)
방송의 인권침해, 무엇이 문제인가 토론회(2000~2001년)
여성연합 후원을 위한‘패티김 사랑의 콘서트’전국 8개도시 개최(2001년)
사이버성폭력 자율규제,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 및 사이버패트롤시스템 구축(2001년)
방송에 의한 여성연예인의 인권침해 방지 전문가 토론회(2002년)
▲ 여성폭력 근절 및 피해자 지원 활동
경찰관에 의한 강간사건 대책활동 및 인신매매 대책활동(1990)
정신대 대책활동 및 신고 전화 개설(19991년)
성폭력특별법 제정 활동(1992~1994년)
서울대 우조교 성희롱사건공동대책위원회 활동(1993~1995년)
주한미군의 윤금이씨 살해사건 대책위원회 활동(1993년)
가정폭력방지법 제정활동(1996~1997)
공권력에 의한 한총련 여대생 성추행 고소, 고발(1996
총선시민연대 활동(2000년)
2002 대선여선연대 발족(2002년)
‘여성이바라는 3대핵심과제’전달 및 대선후보와 여성유권자와의 만남(2002년)
대선후보 초청 여성정책토론회 공동개최(2002년)
▲ 한반도 통일과 평화를 일구는 활동
아시아의 평화와 여성의역할 서울 평양 동경 토론회 공동개최(1991~1994년)
걸프 전 한국군 파병을 반대하는 어머니 모임 결성(1991년)
여성통일마라톤 개최(1993년)
북한여성과 밥나누기, 사랑 나누기 운동(1997년)
‘21세기 평화와 여성운동-여성 평화 화해’국제 심포지움 개최(1997년)
524 평화와 군축을 위한 세계여성의날 기념식 및 여성평화한마당(1998년)
615 남북공동선언 실천과 민족화해를 위한 2000 여성 평화 통일 어울림 마당(2000년)
북한 산모 아동을 위한 내복보내기운동(2001년)
미군궤도차량에 압사당한 여중생 사망사건 대응활동(2002년)
남북여성통일대회 공동개최(2002년)
▲ 국내외 연대 및 여성 운동의 대중화
제4회 세계여성대회 한국 NGO위원회 참여(1995년)
급속한 산업화와 여성을 주제로 한 한국 중국 베트남 국제심포지움(1996~1998년)
제2차 동아시아 여성포럼 참가(1996년)
빈곤과 폭력 추방을 위한 세계여성대행진 참가(2000년)
‘UN 여성차별철폐협약 20년과 한국여성운동의 과제’심포지움(2000년)
아셈 2000 민간포럼 여성분과 국제회의(2000년)
UN 여성자문단체 지위 획득(2001년)
지속가능개발정상회담참석(2002년)
환경, 정치, 민주화, 사회보장, 노동, 평화 관련 시민단체 연대
▲ 여성주의 문화 확산 및 미디어 사이버 운동
미스코리아 중계반대 운동(1996~2002년)
미디어분야에서의 여성참여 확대방안 마련을 위한 토론회(1998~1999년)
사이버 여성문화 공모전(1998~2000년)
세계 38세계여성의날 기념 한국여성대회 개최 및‘올해의 여성운동상’시상(1985년~)
여성문화제‘새로운 천년’(1999~2001년)
평등방송 디딤돌 & 걸림돌 발표 및 시상(1999~2001년)
딸들아! 기지개켜자! 거리 콘서트(2000년)
방송의 인권침해, 무엇이 문제인가 토론회(2000~2001년)
여성연합 후원을 위한‘패티김 사랑의 콘서트’전국 8개도시 개최(2001년)
사이버성폭력 자율규제, 어떻게 할 것인가 토론회 및 사이버패트롤시스템 구축(2001년)
방송에 의한 여성연예인의 인권침해 방지 전문가 토론회(2002년)
▲ 여성폭력 근절 및 피해자 지원 활동
경찰관에 의한 강간사건 대책활동 및 인신매매 대책활동(1990)
정신대 대책활동 및 신고 전화 개설(19991년)
성폭력특별법 제정 활동(1992~1994년)
서울대 우조교 성희롱사건공동대책위원회 활동(1993~1995년)
주한미군의 윤금이씨 살해사건 대책위원회 활동(1993년)
가정폭력방지법 제정활동(1996~1997)
공권력에 의한 한총련 여대생 성추행 고소, 고발(199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