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임시정부의 수립배경
2. 통합 이전의 임시정부
1) 대한국민의회
2) 상해임시정부
3) 한성정부
3. 통합임시정부의 성립
4. 통합임시정부의 정치적 특성
1) 통합임시정부의 외교정책
2) 통합임시정부의 정당
5. 통합임시정부의 행정제도
6. 임시정부의 의의와 정통성
1) 임시정부의 의의
2) 임시정부의 정통성
2. 통합 이전의 임시정부
1) 대한국민의회
2) 상해임시정부
3) 한성정부
3. 통합임시정부의 성립
4. 통합임시정부의 정치적 특성
1) 통합임시정부의 외교정책
2) 통합임시정부의 정당
5. 통합임시정부의 행정제도
6. 임시정부의 의의와 정통성
1) 임시정부의 의의
2) 임시정부의 정통성
본문내용
운동을 협조하려고 100원 이상 자금을 의연한 자
⑥ 군사지식, 경험 가진 자
⑦ 독립운동에 관한 민심의 경향
⑧ 적의 무장 정도와 유혹수단, 방법 등
⑨ 기타 참고사항
(2) 교통국
교통국은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국내와의 연락을 위하여 설치한 비밀 연락조직이다. 1919년 5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교통부는 국내와의 연락 요충지인 안동에 교통부 안동지부를 설치하고, 그 밑에 국내 각 군 단위로 교통국, 각 면 단위로 교통소를 설치하여 국내와의 교통통신 및 독립운동자금의 모금을 담당하게 할 계획을 세우고 조직에 착수하였다.
3) 외곽단체
정부가 수립된 후 임시정부를 지지하는 단체가 결성되어 임시정부의 외부단체로서 정부를 적극 후원하였다.
① 1919년의 임정을 지지후원하는 외부단체
- 대한인거류민단, 대한민국 애국 부인회, 대한민국 적십자회 등등
② 1919년 임정을 도와주는 입장에선 외부단체
- 신한문회, 5인구락부, 신배달단, 신한 문화동맹단 등
③ 1920년에 지지한 단체
- 한인노동회, 중한호조사
④ 1921년에 지지한 단체
- 함영구락부, 유지사, 한인친목회 등
⑤ 1922년에 지지한 단체
- 세계한인동맹회, 맹호단 등
⑥ 1923년 이후 지지한 단체
- 상해한인 유학생회, 청년동맹회, 상해 한인 소년회 등이 결성되었으며, 민족 유일당 운동의 일환으로 독립운동 촉진회와 각지의 유일 독립당촉성회가 조직되기도 했다.
7. 임시정부 의의와 정통성
1) 임시정부의 의의
임시정부가 지니는 가장 큰 의의는 대내적으로 최초의 민주공화정부를 세웠다는 점과 이념적 분화를 극복하여 좌우통합정부를 달성했다는 점이다. 또한 세계사적으로 세계 식민지해방운동사에서 정부조직으로서, 26년이 넘도록 식민지해방운동을 전개하였다는 사례를 남겼다. 이를 바탕으로 열강 세력들이 카이로선언(1943.12.1)을 통해 한국의 독립을 보장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2) 임시정부의 정통성
임시정부의 정통성은 31운동에서 표출된 민족의 열망인 민족국가, 국민주권국가 수립을 달성하였다는 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당시 선언으로서 나타난 여러 정부 가운데 명확한 실체를 가지고 있었던 러시아령 대한국민의회,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내 한성정부를 1919년 9월에 하나로 통합하는 데 성공했다. 또한 열강세력들이 카이로선언(1943.12.1)을 통해 한국의 독립을 보장하였다는 점에서 정통성이 확인된다.
ㄱ. 세계 식민지해방운동사에서 정부조직으로
⑥ 군사지식, 경험 가진 자
⑦ 독립운동에 관한 민심의 경향
⑧ 적의 무장 정도와 유혹수단, 방법 등
⑨ 기타 참고사항
(2) 교통국
교통국은 대한민국 임시정부가 국내와의 연락을 위하여 설치한 비밀 연락조직이다. 1919년 5월 대한민국 임시정부 교통부는 국내와의 연락 요충지인 안동에 교통부 안동지부를 설치하고, 그 밑에 국내 각 군 단위로 교통국, 각 면 단위로 교통소를 설치하여 국내와의 교통통신 및 독립운동자금의 모금을 담당하게 할 계획을 세우고 조직에 착수하였다.
3) 외곽단체
정부가 수립된 후 임시정부를 지지하는 단체가 결성되어 임시정부의 외부단체로서 정부를 적극 후원하였다.
① 1919년의 임정을 지지후원하는 외부단체
- 대한인거류민단, 대한민국 애국 부인회, 대한민국 적십자회 등등
② 1919년 임정을 도와주는 입장에선 외부단체
- 신한문회, 5인구락부, 신배달단, 신한 문화동맹단 등
③ 1920년에 지지한 단체
- 한인노동회, 중한호조사
④ 1921년에 지지한 단체
- 함영구락부, 유지사, 한인친목회 등
⑤ 1922년에 지지한 단체
- 세계한인동맹회, 맹호단 등
⑥ 1923년 이후 지지한 단체
- 상해한인 유학생회, 청년동맹회, 상해 한인 소년회 등이 결성되었으며, 민족 유일당 운동의 일환으로 독립운동 촉진회와 각지의 유일 독립당촉성회가 조직되기도 했다.
7. 임시정부 의의와 정통성
1) 임시정부의 의의
임시정부가 지니는 가장 큰 의의는 대내적으로 최초의 민주공화정부를 세웠다는 점과 이념적 분화를 극복하여 좌우통합정부를 달성했다는 점이다. 또한 세계사적으로 세계 식민지해방운동사에서 정부조직으로서, 26년이 넘도록 식민지해방운동을 전개하였다는 사례를 남겼다. 이를 바탕으로 열강 세력들이 카이로선언(1943.12.1)을 통해 한국의 독립을 보장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2) 임시정부의 정통성
임시정부의 정통성은 31운동에서 표출된 민족의 열망인 민족국가, 국민주권국가 수립을 달성하였다는 점에서 살펴볼 수 있다. 당시 선언으로서 나타난 여러 정부 가운데 명확한 실체를 가지고 있었던 러시아령 대한국민의회, 상해 대한민국임시정부, 국내 한성정부를 1919년 9월에 하나로 통합하는 데 성공했다. 또한 열강세력들이 카이로선언(1943.12.1)을 통해 한국의 독립을 보장하였다는 점에서 정통성이 확인된다.
ㄱ. 세계 식민지해방운동사에서 정부조직으로
키워드
추천자료
노무현 정부와 미디어 정치
[독일][독일문화][독일의 문화][독일의 정부형태][독일의 정치][독일의 경제][독일의 축제][...
전자정부의 등장배경, 미디어정치의 전개, 미디어정치의 양면성, 인터넷과 정치과정의 변화, ...
[칠레][칠레문화][칠레의 문화][칠레의 경제][칠레의 사회][칠레의 정치]칠레의 정치, 칠레의...
정부와 국가) 국가의 본질과 국가론에서 본 정부의 개념 및 집행부의 정치적 권력과 삼권분립
소셜 미디어와 그 정치적역할에 대한 사례연구,빌렘플루서,담론형커뮤니케이션,레바논이스라...
[교훈, 한국정치, 한국근대사, 한국NGO교육(비정부조직교육)]한국정치의 교훈, 한국근대사의 ...
[정부政府예산] 정부의 경제적 특성, 정부지출에 대한 영향요인, 예산과정의 정치, 재정정책...
정부활동과 지대추구행위 - 정부규제와 지대추구, 정부에 의한 관세 및 쿼터와 지대추구, 정...
브라질의 정치행정체제 구조 {강력한 행정부, 신 민주체제, 정부의 규모와 투명성}
유럽Europe정치론 『유럽통합의 이론』,신기능주의,자유주의적 배경,초국가적 기구의 역할 강...
시사정치 - MB정부 복지정책에 대한 나의 생각
군사정권체제이후의 민주화된 정치 문제 [관료제. 무력한 정부. 제왕적 대통령. 대통령의 리...
지역사회발전과 지역복지를 위해서는 사회복지사가 적극적으로 지방정부 시군구의원으로의 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