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역할] 부모역할 양식, 부모의 개인적 욕구와 부모역할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부모역할] 부모역할 양식, 부모의 개인적 욕구와 부모역할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부모역할

I. 부모역할 양식
1. 권위적 유형
2. 독재적 유형
3. 허용적 유형
4. 방임적 유형

II. 부모의 개인적 욕구와 부모역할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부모의 개인적 욕구
2. 부모역할 행동에 영향을 주는 요인
1) 부모의 발달역사
2) 부모의 성격특성
3) 아동의 특성
4) 부모의 사회적 체계
5) 부부관계

* 참고문헌

본문내용

만, 딸보다는 아들에게 더 관대하고 아들의 잘못된 행동에 대해 더 허용적이며 아들을 딸보다 더 중요시한다.
성별에 따른 부모역할에서의 차이는 아동기에서 청년기로 이동할 때 보다 더 현저해진다.
부모역할은 아동의 기질적 특성에 따라서도 차이를 보인다. 아동이 까다로운 기질을 지니고 있을 때 부모는 아동에게 자주 화를 내고 처벌적 훈육방식을 사용하기 쉽다. 이때 아동은 반항적이고 불복종적으로 행동하므로 까다로운 기질-처벌적 훈육의 악순환이 반복되고 부모역할 방식은 자연스럽게 독재적으로 변화한다.
(4) 부모의 사회적 체계
부부의 사회적 연결망(social network)에 해당하는 친척이나 친구, 이웃, 직장동료 혹은 아동양육에 관한 전문가도 부모역할에 영향을 준다. 그들은 부부의 개인적 안녕과 가족안녕에 기여할 수 있지만, 때로 그것을 방해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하면 부모역할은 가족 외부의 타인들로부터 도움과 지원을 받을 수도 있지만, 연결망 구성원들이 너무 많은 시간과 에너지를 요구할 때는 개인과 가족의 안녕을 방해할 수 있다는 것이다.
부모의 사회적 연결망은 아동에게 직 간접적 영향을 줄 수 있다. 직접적 영향으로 아동은 부모의 사회적 연결망에 노출됨으로써 더 광범위한 인지적, 사회적 자극을 경험할 수 있다. 또한 사회적 연결망의 다양한구성원들과 상호작용함으로써 가정에서 관찰할 것과는 상이한 상호작용방식과 사회적 관습을 접할 수 있고 접촉하는 사람에 따라 달라지는 대화방식이나 행동방식을 관찰함으로써 사회적 기술을 발달시킬 수 있다.
부모가 근무하는 직장의 근무조건은 아동양육 방식에 간접적 영향을 준다. 한 예로서 부모가 퇴근시간 이후까지 일을 해야 하거나 잦은 출장을 가야할 때 효과적인 부모역할을 수행하기 어렵다. 또한 남성이 유일한 생계유지자일 때, 아버지는 가정 바깥에서 아버지역할과는 상치되는 행동을 하는 남성들로 구성된 사회적 연결망에 노출됨으로써, 효과적인 아버지역할을 수행하지 못한다. 물론 연결망 구성원들이 부모에게 유익한 기회를 제공한다면, 아동도 유익한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5) 부부관계
부부관계의 질적 특성은 부모역할 양식을 결정하는 역할을 한다. 조화롭고 지원적인 부부관계는 긍정적 부모역할을 위한 발판을 제공한다.
특히 부부가 아동에 관해 그리고 아동과의 개별적 경험에 관해 좋은 의사소통을 할 수 있을 때 부모역할 촉진(parenting facilitation)이 일어날 수 있다.
부모역할 촉진이란 배우자로부터 자녀에 관한 정보를 얻고 그것을 바탕으로 자녀에게 긍정적 부모역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부모역할 촉진의 예로서 주중에는 자녀들과 접촉할 시간을 거의 갖지 못하는 아버지가 주말에 외식을 함으로써 자녀들과 접촉하려고 한다고 하자. 아버지는 이미 아내와의 의사소통을 통해 자녀들이 좋아하는 음식이 무엇인지를 알고 있으므로 자녀들과 좋은 분위기에서 식사할 수 있고 자녀들에게 긍정적으로 지각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아버지들은 어머니들보다 부모역할 촉진에 더 많이 의존해야 하므로 아버지역할은 어머니 역할보다 부부관계와 더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다.
부부는 서로의 부모역할을 지원할 수도 있고 방해할 수도 있다. 부부가 서로의 부모역할을 지원할 때, 아동에게 분명하고 일관성 있는 메시지를 전달하고 행동지침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아동의 안녕감에 기여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갈등적이고 불행한 결혼생활을 하는 부부들은 자신의 문제에 몰입되어 있으므로 아동의 욕구에 민감하지 못하다. 또한 부부간에 일어나는 빈번한 공격행동은 아동과의 상호작용에서도 공격행동을 일삼게 함으로써 거친 훈육방식이 사용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하면 갈등적이고 불행한 결혼생활에 기인한 부정적 정서는 그대로 부모역할로 전이됨으로써 부모역할을 훼손시킨다는 것이다. 특히 갈등적 결혼생활을 하는 남성들은 부부관계로부터 철회하는 동시에 부모역할로부터도 철회하는 경향을 보인다.
* 참고문헌
가족관계 / 김정옥, 박귀영 외 3명 저 / 양서원 / 2012
가족관계론 / 김익균, 고선옥 외 3명 저/ 정민사 / 2012
현대 가족관계학 / 이영숙, 박경란 저 / 신정 / 2010
가족치료 / 이영실, 이현우 외 3명 저 / 양서원 / 2017
가족학이론 : 관점과 쟁점 / 유계숙 외 저 / 하우 / 2013
현대사회와 가정 / 허혜경, 박인숙 외 1명 저 / 동문사 / 2017
가족생활교육 / 정현숙 저 / 신정 / 2016
가족과 젠더 / 정영애, 장화경 저 / 교문사 / 2010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8.01.07
  • 저작시기2018.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26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