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과 case study (연구개열) (간호사정, 진단, 계획, 목표, 지시, 근거, 수행, 평가, 예후, 관리 다 포함)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소아과 case study (연구개열) (간호사정, 진단, 계획, 목표, 지시, 근거, 수행, 평가, 예후, 관리 다 포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정의,원인,증상및 징후
진단적검사, 치료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계획
간호목표, 간호지시, 과학적근거
간호수행, 간호평가, 예후 및 추후관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Valium), valproic acid, thalidomide, pesticid dioxin 과 같은 약물에의 노출, 엽산과 비타민 부족한 식이
여아 , 구개파열만 존재
모성 정신지체 3급
아빠가 누군지 알 수 없음.
3. 증상 및 증후
구개파열
- 경구개
- 연구개
- 토순 동반 or not
- 구개 뒷부분의 중앙선에만
- 일측 or 양측의 비강까지 침범
범위가 넓은 구개파열 → 비중격 발달의 부분적 혹은 완전한 결손 동반 , 비강과 구강의 누공 발생
치조의 부분 비슷하게 분리
점막 하 구개파열 : 파열이나 갈라진 목젖과 관련 가능성
출생 시 구개파열이 진단되지 않은 경우 : 우유가 코로 나오면 구개파열
영양 섭취 방해 : 치아의 상실, 치아 형성 부족, 흡입력 저하
부적절한 비강 기도 때문에 구강을 통한 호흡
-손상된 언어능력 , 어려운 사회 적응, 운동영역 지연
장기적 문제
- 언어장애, 부정교합( 비정상
적 발치 형태), 기형적인 유스타키오관 → 중이염 →청력 문제 초래
구개파열
- 연구개
- 토순 동반하지 않음
- 구개 뒷부분의 중앙선에만
- 가끔 우유가 코로 나옴
- 영양 섭취 방해 : 흡입력 저하
4. 진단적 검사
시진, 촉진
구순파열 : 자궁내에서 임신 14-16주경 초음파 검사로 발견
초기사정 : 단순결함인지 더 큰 증후군의 하나의 특징인가
구개와 점막하 구개, 목젖의 촉진, 구강검사
출생 후 초기사정에서 시진, 촉진으로 발견됨.
기타 검사 : CBC , LFT, Hs-CRP, ABO& RH type
Chest AP, Somatosensory Evoked Potential(하지), 체성감각유발전위 (상지, 하지), 뇌간청각유발전위 (AEP), 시각유발전위 (VEP) 시행
5. 치료
성형외과 전문의, 신경외과 전문의, 치과교정 전문의, 이비인후과 전문의, 소아과 전문의, 간호사, 언어병리학자, 청력학자 등 전문가 개입
외과적 교정 : 구개파열
- 일반적으로 구개윤곽의 해부학적인 변화가 일어나는 생후 1살이 될 때까지 연기됨
- 보통 18~ 24개월경 : 교정수술 적합한 시기
구개교정 ( palate repair ) : 구개교정은 상부 치열궁을 좁힘 →
기존의 열구가 치열궁에 포함되기 때문에 치아가 나는 상악의 공간이 좁아 치열 이상 유발
→치아발치, 재교열 필요
· 상기도 감염 시 주의, 심각한 만성 중이염 → 압력- 균형 배액관 삽입
· 치아와 하악 구조의 위치 이상 문제 해결 → 보철, 치과적 교정 필요
· 치료종료후 아동의 언어, 안면 표정, 구개와 관련된 다른 결함 추후 관리 필요.
제태기간 로 9월 14일 탄생하여
교정수술 적합 시기 18~ 24개월에 훨씬 못 미쳐
수술 시기 기다리는 중.
구강외과와 상담 마침.
6. 간호 사정
이론적 배경
개인 사례 연구
출생시 장갑 낀 손가락으로 촉진, 시진 하여 검진
결손부위의 위치와 크기 기록
빨기, 삼키기, 수유와 관련된 능력 기록
아기 출생으로 충격 받을 수 있는 보호자 반응 사정
객관적 자료
주관적 자료
해부학적 기형 :연구개의 파열
미숙아 prematurity
특수 젖병사용
10월 10일 아이 수유 시 sucking poor 관찰됨.
10월 11일 수유 시 약간의 우유가 코로 나온 것 관찰.
해부학적 기형 : 연구개의 파열
G-tube
10월 10일 수유 시 잦은 호흡곤란과 피부가 붉어지는 것을 관찰함.
oximetry 부착
미숙아 prematurity
해부학적 기형 : 연구개의 파열
수유 후 구강에 고인 분유가 관찰 됨.
7. 간호 진단
이론적 배경
개인 사례 연구
정의 : 빨거나 빨고 삼키는 반응을 조정하는 능력이 부족하여 대사요구를 충족시키기에는 불충분한 구강섭취를 유발하는 상태
특성정의 :
- 빨기, 삼키기, 호흡하기를 조정할 수 없음
- 효과적으로 빨기를 지속할 수 없음
- 효과적으로 빨기를 시작할 수 없음
관련요인 :
- 해부학적 기형
- 구강 과민증
- 조산
- 신경학적 손상
- 장기적인 금식
#1. 선천적 연구개의 파열로 인한 흡입력 부족과 관련된
비효과적 영양 수유 양상 ( Ineffective infant feeding pattern )
정의 : 구인두의 분비물, 고형물체 또는 액체물질과 위장관 분비물이 기관지 내로 들어갈 위험이 있는 상태
위험요인:
- 위가 비워지는 시간의 지연
- 위장관 튜브
- 안면 외상
- 연하장애
- 잔여 위 내용물 증가
- 구강외상
- 위관 영양
#2. 구개 열로 인한 수유의 어려움과 관련된 흡인 위험성 ( Risk for aspiration )
정의 : 병원체에 침범될 위험이 증가된 상태
위험요인 :
- 면역억제
- 부적절한 일차적 방어 ( 예 : 파괴된 피부, 조직 외상, 섬모운동 감소, 체액의 정체, 연동 운동 변화)
- 병원체에 대한 환경적 노출 증가
- 침습성 처치
- 영양실조
- 양막 조기파열
- 외상, 조직의 파괴
#3. 구개 열로 인한 비효율적 수유와 관련된 감염 위험성 ( Risk for infection )
8.간호 계획
간호진단 :#1. 선천적 연구개의 파열로 인한 흡입력 부족과 관련된 비효과적 영양 수유 양상 ( Ineffective infant feeding pattern
목적 : 영양수유를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간호 목표
간호 지시
과학적 근거
1. 영아는 10월10일 2170g에서 10월 14일까지 체중이 2300g이 될 것이다.
· 매일 목욕 후 체중을 측정하고 기록한다.
· 매일 400ml 이상 수유 하도록 한다.
· 특수 젖병을 사용하여 효과적인 수유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 아랫입술을 젖꼭지로 문질러서 빨기 반사를 자극한다.
2. 영아는 매 수유 시 무호흡 등 호흡곤란 증상을 보이지 않을 것이다.
· 특수젖병을 사용하여 수유한다.
· 아이에게 수유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과 휴식을 준다.
· 영아가 무호흡 증상을 보일 시 즉시 수유를 중단한다.
· 자주 트림을 시키도록 격려한다.
· 영아를 안아서 머리를 45-60도로 향한 상태에서 수유한다.
· 빨거나 삼킬 때 산소포화농도, 심박수, 호흡수의 변화가 있는지 확인한다.
→환아는 질식하거나 구역질이 있기 전 표정으로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8.01.09
  • 저작시기2011.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29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