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영화 [피아노 ]의 기호...
## 소감....
## 소감....
본문내용
있는 것 같다.
37. 단추: 단추가 떨어진다거나 거울이 깨진다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불길한 징조를 뜻하고 여기서는 이성의 끈이 떨어졌다고도 볼수 있는 것 같다. 에이다도 이성을 잃고 베인스와 정사를 나누었고 스튜어트도 나무바닥 밑에 떨어지는 단추를 쥐어들고 이성을 잃은 것 같다.
38. 카드: 카드라고 하면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poker face, joker, fake, false, betting등이 생각나는데 정사사건을 들켜 집안에 감금되는 사태가 벌어지자 플로라가 카드게임이나 하라고 하는 장면이 있는데 여기서 에이다는 베인스에게 가기 위해 스튜어트를 상대로 일종의 play card를 한 것같다.
39. 물속의 날개: 물속에서 플로라가 자주 애용하던 날개가 떠다니는데 이것은 에이다가 물에 빠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거나 아니면 자유롭게 된다는 의미 인 것 같다.
40. 피아노와 함께 물에 빠지는 장면: 예전에 자신의 분신이었고 자신의 언어수단이었던 즉 자신의 분신인 피아노와 함께 물에 빠져 예전의 자신은 피아노와 함께 죽고 새로운 자신은 영국으로 돌아와 이성의 세계에 편입하게 된다는 것을 말하는 것 같다. Death=chance
41. 넬슨: 처음에 에이다가 스튜어트가 있는 세계에 올 때 선장은 그들과 함께 넬슨으로 가자고 하였는데 에이다는 거부를 하였다. 하지만 베인스와 결국 함께 간 곳은 넬슨이라는 점이다. 결국 이 영화에서 뉴질랜드는 아직 신세계로 일종의 도피처, 자유가 있는 곳인 것 같고 넬슨, 영국은 이성의 세계인 것 같다. 그래서 처음에 그녀는 벙어리이기 때문에 영국에서 살다가 뉴질랜드로
37. 단추: 단추가 떨어진다거나 거울이 깨진다 하는 것은 일반적으로 불길한 징조를 뜻하고 여기서는 이성의 끈이 떨어졌다고도 볼수 있는 것 같다. 에이다도 이성을 잃고 베인스와 정사를 나누었고 스튜어트도 나무바닥 밑에 떨어지는 단추를 쥐어들고 이성을 잃은 것 같다.
38. 카드: 카드라고 하면 먼저 떠오르는 이미지는 poker face, joker, fake, false, betting등이 생각나는데 정사사건을 들켜 집안에 감금되는 사태가 벌어지자 플로라가 카드게임이나 하라고 하는 장면이 있는데 여기서 에이다는 베인스에게 가기 위해 스튜어트를 상대로 일종의 play card를 한 것같다.
39. 물속의 날개: 물속에서 플로라가 자주 애용하던 날개가 떠다니는데 이것은 에이다가 물에 빠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거나 아니면 자유롭게 된다는 의미 인 것 같다.
40. 피아노와 함께 물에 빠지는 장면: 예전에 자신의 분신이었고 자신의 언어수단이었던 즉 자신의 분신인 피아노와 함께 물에 빠져 예전의 자신은 피아노와 함께 죽고 새로운 자신은 영국으로 돌아와 이성의 세계에 편입하게 된다는 것을 말하는 것 같다. Death=chance
41. 넬슨: 처음에 에이다가 스튜어트가 있는 세계에 올 때 선장은 그들과 함께 넬슨으로 가자고 하였는데 에이다는 거부를 하였다. 하지만 베인스와 결국 함께 간 곳은 넬슨이라는 점이다. 결국 이 영화에서 뉴질랜드는 아직 신세계로 일종의 도피처, 자유가 있는 곳인 것 같고 넬슨, 영국은 이성의 세계인 것 같다. 그래서 처음에 그녀는 벙어리이기 때문에 영국에서 살다가 뉴질랜드로
추천자료
공포영화에 대한 이해와 문화 심리적 특성 분석 - 여고괴담과 스크림을 중심으로
「대중영화의 이해」를 읽고
[역사의이해] 역사와영화의만남
영화의 이해0
3.감상문(카우프만) 영화의 이해
디지털사회의 이해 영화감상문 The Net
장르 영화의 이해
고전 음악의 이해 - 영화 '아마데우스'를 보고
[영상예술의 이해] 원근법의 소실점, 공간 그리고 주체 : 원근법과 영화 관객의 주체성
<뮤지컬영화 이해와 감상> 록키 호러 픽쳐 쇼(The Rocky Horror Picture Show, 1975)와 그리...
[영화 영상의 이해] 블록버스터 (Blockbuster) 블록버스터의 정의,블록버스터 영화의 특징,어...
영화 『피아노 (The Piano) 1993』의 기호학적 비평
[영화의 이해][네오리얼리즘의 대표작][자전거 도둑]
[영화의 이해] 자전거 도둑과 네오리얼리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