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역사로 알아보는 노스페라투
고전과 복구. 영화사적 위치. 감독과 배우들.
II. 영화로 알아보는 노스페라투
노스페라투라는 이름의 영화. 그 내용과 이해.
III. 흡혈귀의 신화성
신화, 문화와 역사의 상징. 피와 병, 그리고 생과 사.
IV. 나오며.
고전과 복구. 영화사적 위치. 감독과 배우들.
II. 영화로 알아보는 노스페라투
노스페라투라는 이름의 영화. 그 내용과 이해.
III. 흡혈귀의 신화성
신화, 문화와 역사의 상징. 피와 병, 그리고 생과 사.
IV. 나오며.
본문내용
, 실레지아, 보헤미아 지역의 피해가 컸다. 사람들은 시체를 땅에 묻기에 급급할 정도로 사망자가 많았다. 때문에 확실히 사망했는 지 확인하지 못하는 경우도 많았다. 이들 중 일부는 무덤에서 땅 위에 탈출하는데 성공했다. 사람들은 자연스럽게 이들이 흡혈귀라고 생각했다.
후에 밝혀진 흑사병의 원인이 \'쥐\'라는 걸 알게 되었을 때, 사람들은 마찬가지로 신화로서 쥐를 조종하는 어떤 인격체를 만들었을 것이다.
그것이 이 뱀파이어의 다른 이름 노스페라투이다.
영화에서 보이는 노스페라투의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흡혈귀의 이빨[송곳니]이 아닌, 쥐와 같은 특이한 이빨 생김새[앞니]는 이 전승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질병
1662년 영국에는 두 질병이 크게 유행하는데, 각각 \"광견병\" 과 \"포르피린증\"이다.
이 병들은 영국 국민의 5분의 1을 앗아 갔으며 이 주민들은 자신들을 흡혈귀라 생각 하게 되고 영국에 반항을 하고 만다. 영국에서는 곧바로 퇴치에 들어가 버렸다. 일종의 마녀사냥과 비슷한 것이었을 것이다.
광견병.
공수병이라고도 한다. 광견병에 걸리면 우선 얼마 안 걸려 송곳니가 뾰족해진다고 한다. 그리고 광견병 에 걸리면 자신도 모르게 사람을 물고 싶어 진다고.광견병 걸린 \"개\"들을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광견병에 걸리면 햇빛과 물에 닿는 것을 싫어하게 되며, 파, 마늘 냄새 역시 싫어한다. 또한 다른 사람을 물면 그 사람에게도 광견병이 옮아 가기 때문에 이를 흡혈귀 병이라고도 했다.
포르피린증.
포르피린증은 거의 광견병과 같이 유행했던 병이다. 이병에 걸리면 광견병보다 사태가 더욱 심각해진다. 성격은 포악해 지지 않지만, 송곳니가 길어지고 햇빛 을 맞으면 화상을 입는다. 또한 피부가 창백해 지고 파와 마늘을 싫어 하게 된 다나.
이 두 병이 영국중세에 크게 유행하였기 때문에 이때를 영국에서는 흡혈귀 시대 라고도 한다. 흡혈귀 퇴치라는 말도 이때 생겼다고 한다.
박쥐, 그 이중성
vam·pire〔a〕 n.
1 흡혈귀 《밤에 무덤에서 나와 자고 있는 사람의 생피를 빨아 먹는다는》
2 흡혈귀 같은 착취자
3 =VAMP2
4【동물】 흡혈 박쥐(= bt) 《중·남미 열대 지방산으로 말 등의 생피를 빠는》
5【연극】 (무대에 장치한 용수철식) 함정
vam·pir·ic[] a. 흡혈귀의[같은]
영어사전에서 찾은 뱀파이어라는 영어의 의미이다. 흡혈귀, 즉 뱀파이어라는 이름은 흡혈박쥐라는 단어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같은 흡혈을 한다는 점에서는 이해가 되지만, 어째서 하필 박쥐였을까?
박쥐는 포유류이며 하늘을 날아다니는 날짐승. 어디에서 속하지 못하는 존재이다. 흡혈귀 역시 불멸의 영원성을 지니고 살아가지만, 사실은 영원과는 거리가 먼 인간의 감정을 지닌 채 고독히 살아가는 이도저도 아닌 존재이다. ‘흡혈박쥐’라는 것은 ‘흡혈吸血’이라는 의미 뿐 아니라 ‘귀鬼’ 즉, 생과 죽음에 걸쳐 있는 존재로서 귀신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다. 흡혈귀의 속성을 이보다 더 완벽히 반영하는 소재는 없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혈귀는 박쥐로 변한다는 전승은 유명하다. 물론 영화 속에서 노스페라투는 그 흔한 변신 한 번 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영화 중간중간 느릿한 날개짓을 하는 박쥐의 모습을 삽입하는 것은 과연 어떤 의미였을까.
IV. 나오며.
흡혈귀라는 이미지는 우리에게 인외의 존재이다. 입가에 흐르는 선혈. 영원과 손잡고 살아가며 서서히 광기로 차오르는 메마른 정신. 낭만을 지니고 있지만 그 새디스트적인 그 표현은 흡혈귀에 대한 절대적인 이질감으로 끔찍한 이미지로 각인시킨다.
그러나 이 끔찍하면서 깜찍한 노스페라투라는 흡혈귀는 우리에게 말할 수 없는 친근감과 섬
후에 밝혀진 흑사병의 원인이 \'쥐\'라는 걸 알게 되었을 때, 사람들은 마찬가지로 신화로서 쥐를 조종하는 어떤 인격체를 만들었을 것이다.
그것이 이 뱀파이어의 다른 이름 노스페라투이다.
영화에서 보이는 노스페라투의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흡혈귀의 이빨[송곳니]이 아닌, 쥐와 같은 특이한 이빨 생김새[앞니]는 이 전승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질병
1662년 영국에는 두 질병이 크게 유행하는데, 각각 \"광견병\" 과 \"포르피린증\"이다.
이 병들은 영국 국민의 5분의 1을 앗아 갔으며 이 주민들은 자신들을 흡혈귀라 생각 하게 되고 영국에 반항을 하고 만다. 영국에서는 곧바로 퇴치에 들어가 버렸다. 일종의 마녀사냥과 비슷한 것이었을 것이다.
광견병.
공수병이라고도 한다. 광견병에 걸리면 우선 얼마 안 걸려 송곳니가 뾰족해진다고 한다. 그리고 광견병 에 걸리면 자신도 모르게 사람을 물고 싶어 진다고.광견병 걸린 \"개\"들을 보면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광견병에 걸리면 햇빛과 물에 닿는 것을 싫어하게 되며, 파, 마늘 냄새 역시 싫어한다. 또한 다른 사람을 물면 그 사람에게도 광견병이 옮아 가기 때문에 이를 흡혈귀 병이라고도 했다.
포르피린증.
포르피린증은 거의 광견병과 같이 유행했던 병이다. 이병에 걸리면 광견병보다 사태가 더욱 심각해진다. 성격은 포악해 지지 않지만, 송곳니가 길어지고 햇빛 을 맞으면 화상을 입는다. 또한 피부가 창백해 지고 파와 마늘을 싫어 하게 된 다나.
이 두 병이 영국중세에 크게 유행하였기 때문에 이때를 영국에서는 흡혈귀 시대 라고도 한다. 흡혈귀 퇴치라는 말도 이때 생겼다고 한다.
박쥐, 그 이중성
vam·pire〔a〕 n.
1 흡혈귀 《밤에 무덤에서 나와 자고 있는 사람의 생피를 빨아 먹는다는》
2 흡혈귀 같은 착취자
3 =VAMP2
4【동물】 흡혈 박쥐(= bt) 《중·남미 열대 지방산으로 말 등의 생피를 빠는》
5【연극】 (무대에 장치한 용수철식) 함정
vam·pir·ic[] a. 흡혈귀의[같은]
영어사전에서 찾은 뱀파이어라는 영어의 의미이다. 흡혈귀, 즉 뱀파이어라는 이름은 흡혈박쥐라는 단어에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같은 흡혈을 한다는 점에서는 이해가 되지만, 어째서 하필 박쥐였을까?
박쥐는 포유류이며 하늘을 날아다니는 날짐승. 어디에서 속하지 못하는 존재이다. 흡혈귀 역시 불멸의 영원성을 지니고 살아가지만, 사실은 영원과는 거리가 먼 인간의 감정을 지닌 채 고독히 살아가는 이도저도 아닌 존재이다. ‘흡혈박쥐’라는 것은 ‘흡혈吸血’이라는 의미 뿐 아니라 ‘귀鬼’ 즉, 생과 죽음에 걸쳐 있는 존재로서 귀신적인 모습을 나타내는 것이다. 흡혈귀의 속성을 이보다 더 완벽히 반영하는 소재는 없을 것이다.
일반적으로 흡혈귀는 박쥐로 변한다는 전승은 유명하다. 물론 영화 속에서 노스페라투는 그 흔한 변신 한 번 하지 않고 있다. 그러나 영화 중간중간 느릿한 날개짓을 하는 박쥐의 모습을 삽입하는 것은 과연 어떤 의미였을까.
IV. 나오며.
흡혈귀라는 이미지는 우리에게 인외의 존재이다. 입가에 흐르는 선혈. 영원과 손잡고 살아가며 서서히 광기로 차오르는 메마른 정신. 낭만을 지니고 있지만 그 새디스트적인 그 표현은 흡혈귀에 대한 절대적인 이질감으로 끔찍한 이미지로 각인시킨다.
그러나 이 끔찍하면서 깜찍한 노스페라투라는 흡혈귀는 우리에게 말할 수 없는 친근감과 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