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고칼륨혈증 실습케이스 스터디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고칼륨혈증 실습케이스 스터디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기초자료 수집
1.개인력
2.건강력
3.간호력
4. 질병에 관한 문헌 고찰
5. 진단을 위한 검사 소견
6. 의학적 치료 및 경과

본문내용

산소마스크시 paO2(mmHg)
일정하지 않음
<70
2)Ventilator setting
TV(Tidial Volume):일회호흡량
-환자의 몸무게 (kg)*10으로 계산
RR(Respiratory Rate):호흡수
-setting은 성인 15~20, 소아 30회, ABGA상 PCO2 38~42유지를 목표로 호흡수 조정
FiO2(Fraction of inspired oxygen):산소농도
-ABGA판독을 통하여 PO2수준에 따라 조절, 21~100%까지 조절할 수 있음
PEEP(Positive and expiratory pressure):호기말양압
-폐에 일정한 양압을 주어 폐포의 확장을 유지
Peak airway pressure(PIP):최고 기도(흡기) 압력
PIP는폐와 인공호흡기의 저항변화를 나타낸다. PIP의 증가는 기도 저항의 상승, 분비물의 증가, 폐부종 또는 폐신장성 감소를 의미한다. 최고 기도합의 한계를 설정해놓고 설정된 압력보다 최고 기도압력이 상승하면 경보음이 울리도록 한다.
flow:유량
:보통 45~50, 많이 주면 줄수록 흡기시간이 빨라져 볼륨이 빠른 속도로 전달됨
sensitivity:민감성
:환자의 자발호흡시기를 감지하는 능력으로 수치가 작을수록 예민하다.
sighs(한숨)
:정해진 1회 호흡량의 1.5~2배에 해당하는 공기용량을 1시간에 6~10회 전달한다.
Ⅱ. 간호과정 적용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없음(coma state)
8월 17일:
Urination:10~15cc/hr 정도로 oliguria state
BUN:50.9, Creatinine:2.3
간호진단
급성 신부전과 관련된 배뇨장애
기대결과
대상자는 7일이내에 urine ouput이 정상치로 돌아온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1.대상자의 I/O를 관찰하고 배설량을 측정한다.
2.혈중 전해질 검사를 관찰한다.
3저용량 .Dopamine 과 Lasix 투여를 관찰한다.
4.신대체 요법을 시행한다.
1.정확한 섭취량과 배설량의 측정은 현재의 체액 상태를 파악하는데 필요하다.
2.전해질 검사 결과를 확인함으로써 급성신부전으로 인한 이상여부나 진행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3.Dopamine은 신장혈관을 확장시켜 신장관류를 강화시켜 주고 Lasix는 Na과 수분배출을 증가시킨다.
4.수분과 인체의 노폐물,전해질 등을 제거하는 신장기능의 일부를 대신해준다.
1.1시간마다 flow sheet의 대상자의 I/O를 관찰하였고 Urine output을 측정, 기록하였다.
2.체액정체와 관련된 검사결과인 BUN과 hct를 관찰했다.
3.dopamin 5cc/hr와 Lasix 6cc/hr을 infusion pump로 주는 것을 관찰했다.
4.CRRT를 시행하였다.
평가
8월 17일 urine oupt 이 50cc/hr 이상으로 정상치에는 못 미치는 양이다.
적용날짜:8/17일
적용날짜: 8/22일
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없음(coma state)
intubation한 상태로 secretion이 yellow & thick한 양상
간호진단
침습적 시술로 인한 비효율적 기도청결
기대결과
대상자는 7일 이내 맑고 묽은 객담을 배출해 낼것이다.
간호중재
간호계획
이론적 근거
간호수행
1.호흡음을 1시간마다 한다.
2.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준다.
3.흡인간호 전,후 chest percussion을 해준다.
1.호흡 양상을 확인하여 호
흡이 적절히 이루어지는지 확인한다.
2.체위변경은 기관지와 폐에 분비물을 이동시켜서 잘 흘러나올 수 있도록 한다.
3.흉부 타진을 실시하여 폐에 축적된 분비물이 나오도
록 자극을 준다. 이것은 호흡기내 분비물을 제거하여 폐포 환기를 확장시킨다.
1.1시간마다 RR과 saO2를 체크하였다.
2.체위변경 계획표에 따라 2시간마다 체위를 변경해 주었다.
3.흡인간호 전,후에 흉부타진을 해 주었다.
평가
8/26일 suction 후 sputum의 양상을 관찰하니 묽은 객담이였다.
Ⅲ. 참고문헌
원종순,유재희,백훈정,손영희,양선의 외(2009),기본간호 수기,현문사
원종순,유재희,백훈정,손영희,양선의 외(2009).기본간호,현문사
이은옥 외(2003),간호진단과 중재,서울대학교 출판부
SUSAN F.wilson, jean foret Giddens,건강사정(2010),현문사
전시자,김강미자,김희경 외 저,성인간호학 상(2009),현문사
전지자,김강미자,김희경 외 저,성인간호학 하(2009),현문사
Ⅳ. 실습일지 및 소감-Narrative 형식
주말의 달콤한 휴식을 마치고 또 다시 바쁜 하루의 시작이 알리는 시계 알람소리에 단잠을 깼다. 이번 실습중에 가장 힘들것이라 생각했던 중환자실 실습을 하는 거라서 부담스러웠고 중환자이신 분들이 있는 곳이기 때문에 긴장하고 임했던 실습이었다. 더군다나 3기 실습때 선생님들의 질문에 답을 잘 하지 못했을때 여태까지 무얼 했지 라는 생각에 이번 실습은 정말 발로 뛰는 실습을 하였다. 센스있는 간호학생이 되려고 실습하는 내내 무얼해야 하는지를 고심하고 행동했던 실습이라 나 스스로 먼저 발로 뛰는 실습이었다. 아무것도 배우지 않은 상태에서 실습을 하는 것이라 모르는 것이 많은 것이 사실이였고 그만큼 궁금한 점도 많았다. 하지만 자신이 맡으신 대상자의 상태를 주시하는 바쁜 선생님들의 모습에 다른 병동에 있을 때보다 질문을 많이 하지 못했던 것이 아쉬운 실습이였다. 첫 실습날은 중환자실 실습지침서 질환에 대해서 찾아보기는 했지만 그 질환에 대해서 자세하게 공부하지는 않아 질환에 대한 용어나 아주 간단한 정의정도만 알고 있었다. 그래서 첫날은 답답한 하루였다. 그리고 케이스를 정한 날부터 대상자에 대한 질환에 대해 공부를 하기 시작하였다. 내가 정한 대상자 케이스는 고칼륨혈증 환자였는데 질환의 원인이 참으로 특이했다. 바로 독사에게 물려서 였다. 나는 선생님께 어떻게 COMA 상태로 병원에 도착했는지 궁금해서 여쭈어 보았다. 알고보니 할머니와 손녀가 독사에게 같이 물렸는데 local병원에서 아이가 mental이 있다는 이유로 1시간이나 지나서야 해독제를 투약했고 그 까닭에 상태가 안좋아 진거 같다 하셨다. 선생님께서는 아이가 안
  • 가격1,500
  • 페이지수16페이지
  • 등록일2018.02.28
  • 저작시기2015.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648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