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초 조 장 서(招 趙 璋 書)
1. 작가소개
2. 작품 개관
3. 작품 서사의 배경 : 황소의 난
4. 「초조장서」를 쓴 취지
5. 작품의 내용
6. 교육적 활용
* 참고 문헌
1. 작가소개
2. 작품 개관
3. 작품 서사의 배경 : 황소의 난
4. 「초조장서」를 쓴 취지
5. 작품의 내용
6. 교육적 활용
* 참고 문헌
본문내용
희종은 쓰촨으로 망명하였다.
황소는 장안에 스스로 정권을 세우고 국호를 대제(大齊), 연호를 금통(金統)이라 부르고 항복한 관리도 기용하여 통치를 굳히려고 하였다. 그러나 관중[關中]의 정권은 경제적 기반이 없어서 당나라 왕조를 돕는 투르크계 이극용(李克用) 등 토벌군에게 격파되어 3년 후에는 창안으로부터 동방으로 퇴각하여 이듬해 산둥의 타이산산[泰山] 부근에서 자결하였다. 이 난은 고대적인 당나라를 근본적으로 붕괴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4. 「초조장서」를 쓴 취지
「초조장서」는 반역한 적에게 항복을 권유하는 글로, 반역도당의 우두머리에게 항복할 것을 강력하게 요청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쓰여진게 아니라, 이와 같은 격문(檄文)을 공개된 곳에 게시함으로써, 반역자에게 보내는 글이기도 하면서 백성들에게 반역의 세력들이 곧 진압되므로 동요하지 말라는 당부의 글이 되기도 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이 글은 적장에게 항복을 권유함과 동시에 민심을 수습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였던 것이다.
5. 작품의 내용
도통태위(都統太尉)는 조장(趙璋)에게 글을 보낸다. 옛사람이 말하기를, \"커다란 집이 이루어지게 되면 제비가 와서 하례하고, 목욕할 물을 갖추어 놓으면 이(蝨)들이
황소는 장안에 스스로 정권을 세우고 국호를 대제(大齊), 연호를 금통(金統)이라 부르고 항복한 관리도 기용하여 통치를 굳히려고 하였다. 그러나 관중[關中]의 정권은 경제적 기반이 없어서 당나라 왕조를 돕는 투르크계 이극용(李克用) 등 토벌군에게 격파되어 3년 후에는 창안으로부터 동방으로 퇴각하여 이듬해 산둥의 타이산산[泰山] 부근에서 자결하였다. 이 난은 고대적인 당나라를 근본적으로 붕괴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4. 「초조장서」를 쓴 취지
「초조장서」는 반역한 적에게 항복을 권유하는 글로, 반역도당의 우두머리에게 항복할 것을 강력하게 요청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쓰여진게 아니라, 이와 같은 격문(檄文)을 공개된 곳에 게시함으로써, 반역자에게 보내는 글이기도 하면서 백성들에게 반역의 세력들이 곧 진압되므로 동요하지 말라는 당부의 글이 되기도 한다고 할 수 있다. 즉, 이 글은 적장에게 항복을 권유함과 동시에 민심을 수습하기 위한 수단으로 쓰였던 것이다.
5. 작품의 내용
도통태위(都統太尉)는 조장(趙璋)에게 글을 보낸다. 옛사람이 말하기를, \"커다란 집이 이루어지게 되면 제비가 와서 하례하고, 목욕할 물을 갖추어 놓으면 이(蝨)들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