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와 문화콘텐츠] 도시에 생명을 불어넣기 위한 기억의 작업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도시와 문화콘텐츠] 도시에 생명을 불어넣기 위한 기억의 작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론.
본론.
집단 기억을 중시한 홍콩의 사례
집단기억의 개념에 비추어 본 서울
광화문 광장의 예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도시에 생명을 불어넣기 위한 기억의 작업
서론.
도시는 일상생활을 영위하는 단순한 공간이 아니다. 도시는 문화적 기억과 흔적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공간이다. 또한 도시는 하나의 문화적 예술적 공간이다. 공간 자체가 우리에게 문화적, 예술적 체험을 주기 때문이다. 도시는 인간의 의식과 정신적인 삶에 커다란 영향을 미친다.
본론.
집단 기억을 중시한 홍콩의 사례
2006년 홍콩정부는 홍콩섬 센트럴지역의 ‘스타페리’ 부두와 종탑을 철거한다고 발표했다. 비좁은 땅에 사는 홍콩인에게 철거와 재개발은 익숙했지만 당시는 달랐다. 주룽반도와 홍콩섬을 잇는 스타페리는 모두의 추억이 어린 대중교통수단이었고, 페리로 드나들던 부두와 종탑은 홍콩의 상징이었다. 젊은이들은 우리의 기억을 없애지 말라며 뛰쳐나와 농성하며 항의했다. 강제철거가 있던 날 경찰에 들려나오며 항의하는 젊은이들의 모습은 홍콩 시민에게 신선한 충격을 주었다.
정부는 이미 모든 계획이 정해져 돌이킬 수 없다면서 2006년 11월 부두와 종탑을 폐쇄하고 한 달 후 철거를 시작하였으나 주로 젊은이로 이루어진 시위자들의 저지로 중단되었다.
  • 가격800
  • 페이지수4페이지
  • 등록일2018.03.14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837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