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구 하고 있다. 그래서 나름대로 아이다와 피아노의 관계를 생각해보았는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아이다는 벙어리이다. 그러다보니, 자신의 ‘언어’ 가 없다. 그런 아이다에게 피아노는 자신의 ‘언어’ 그 자체이다. 조금 더 확장시켜 생각을 해보면 피아노는 아이다 그 자체인 것이다. 피아노를 치는 동안 아이다의 자아는 말을 하지 않아도 만족하다고 느끼는 것이다. 그런 아이다에게 피아노를 가져 갈 수 없다고 말하니, 당연히 갈등이 유발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 주목 할 만한 점은, 이 영화의 주배경이다. ‘피아노’는 바다에서 시작해서 영화의 대부분의 러닝타임을 ‘깊은 숲’ 속에서 보낸다. ‘깊은 숲’은 의례 ‘인간의 다듬어지지 않은 내적세계’ 와 ‘알수 없는 자신’을 뜻한다. 영미 표현주의 희곡의 대표작가 ‘유진 오닐’ 도 그의 대표작 ‘황제 존스’에서 ‘숲’을 저러한 의미로 사용했던 바가 있다. 이런 배경에 걸맞게 숲 속에서는 인간의 욕망이 판친다. 피아노를 얻고자 하는 아이다의 욕망, 건너편 땅을 얻고자 하는 남편 스튜어트의 욕망, 피아노를 통해 아이다를 얻고자 하는 베인즈의 욕망, 어머니에게 사랑 받고 싶은 딸 플로라의 욕망. 영화는 이런 욕망이 얽히고
아이다는 벙어리이다. 그러다보니, 자신의 ‘언어’ 가 없다. 그런 아이다에게 피아노는 자신의 ‘언어’ 그 자체이다. 조금 더 확장시켜 생각을 해보면 피아노는 아이다 그 자체인 것이다. 피아노를 치는 동안 아이다의 자아는 말을 하지 않아도 만족하다고 느끼는 것이다. 그런 아이다에게 피아노를 가져 갈 수 없다고 말하니, 당연히 갈등이 유발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 주목 할 만한 점은, 이 영화의 주배경이다. ‘피아노’는 바다에서 시작해서 영화의 대부분의 러닝타임을 ‘깊은 숲’ 속에서 보낸다. ‘깊은 숲’은 의례 ‘인간의 다듬어지지 않은 내적세계’ 와 ‘알수 없는 자신’을 뜻한다. 영미 표현주의 희곡의 대표작가 ‘유진 오닐’ 도 그의 대표작 ‘황제 존스’에서 ‘숲’을 저러한 의미로 사용했던 바가 있다. 이런 배경에 걸맞게 숲 속에서는 인간의 욕망이 판친다. 피아노를 얻고자 하는 아이다의 욕망, 건너편 땅을 얻고자 하는 남편 스튜어트의 욕망, 피아노를 통해 아이다를 얻고자 하는 베인즈의 욕망, 어머니에게 사랑 받고 싶은 딸 플로라의 욕망. 영화는 이런 욕망이 얽히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