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의도 성모병원 사회사업실습] 의료사회복지에 대한 이해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여의도 성모병원 사회사업실습] 의료사회복지에 대한 이해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부 의료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이해

제 1 장 의료사회복지실천의 개념
1. 의료사회복지실천의 정의
2. 의료사회복지실천의 기능

제 2 장 의료의 사회적 환경
1. 질병의 사회적 속성
2. 의료개념의 변화
3. 의료욕구의 변화
4. 의료환경의 변화

제 3 장 의료사회복지실천의 역사
1. 서구(미국)의 의료사회복지
2. 한국의 의료복지실천의 발달과정

제 2 부 의료사회복지의 실천환경

제 4 장 의료보장제도
1. 국민건강보험제도
2. 의료보호제도

제 5 장 의료전달체계
1. 의료전달체계의 필요성
2. 의료전달체계의 접근방법

제 6 장 의료조직의 특성
1. 병원조직의 분업화와 전문화
2. 진료부문과 행정부문
3. 의료전문직의 특성
4. 경영목표
5. 기술체계
6. 사회적 환경

제 7 장 의료팀과의 협력관계
1. 협력관계의 필요성
2. 협력관계의 이점
3. 협력관계의 유형
4. 협력관계을 위한 요건

제 8 장 의료사회복지의 실천윤리
1. 의료사회복지실천에서 가치와 윤리에 대한 이해

제 3 부 개인과 가족을 위한 의료사회복지실천

제 9 장 의료사회복지실천의 관점
1. 생태체계적 관점: 생심리사회적 모델

제 10 장 질병이 개인과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1. 건강과 질병 및 장애에 대한 이해
2. 질병이 개인과 가족에 미치는 영향

제 11 장 의료사회실천의 과정
1. 초기면접 및 문제사정
2. 목표설정 및 개입
3. 평가와 종결

제 4 부 병원조직과 지역사회에 대한 의료사회복지실천

제 12 장 병원서비스 질 보장
1. QA에 대한 이해
2. QA를 위한 의료사회복지활동

제 13 장 귄익옹호
1. 개념적 이해
2. 의료현장에서의 권익옹호활동
3. 권익옹호활동의 윤리적 딜레마

-참고문헌

본문내용

문직을 외부의 규제로부터 보호해 주고, 전문직의 사명과 관련해 규범을 수립하며, 위 법행위에 대한 주장이 있을 경우 판결을 도와주는 기준을 공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2) 의료윤리의 원칙과 의료사회복지실천
① 생윤리학의 발전
생물과학이나 의료와 관련된 윤리적 문제에 대해 연구하는 생윤리학이 독립된 분야로 자리 잡은 것은 1960년대에 이르러서이다.
11972년에 이르러서는 생윤리학과 관련된 중 조직들이 설립되기 시작하였고, 생윤리학이 의과대학의 교과과정의 하나로 자리 잡게 되었다. 그 이후 죽을 권리와 결부된 안락사의 문제, 시험관 아기로 시작된 생명복제 기술과 관련된 문제 등이 또한 의료윤리의 주요관심사로 대두되었다.
② 의료윤리의 주요원칙
가. 자율성의 원칙 (respect for autonomy)
나. 악행금지의 원칙 (the principle of nonmaleficence)
다. 선행의 원칙 (beneficence)
라. 정의의 원칙 (justice)
제 9 장 의료사회복지실천의 관점
1. 생태체계적 관점 : 생심리사회적 모델
1) 생태의학적 관점에 대한 비판
전통적으로 의학은 신체적 기능과 질병에 관한 생물학적 이론에 치중하였으며, 이러한 의학의 기본이 되는 이론적, 방법적 모델을 생의학적 모델이라고 한다. 그러나 생의학적 모델은 질병이나 장애가 개인과 가족에 미치는 심리사회적 영향과 의료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영향과 의료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문화적, 경제적 환경을 고려하지 않는 결정적 오류를 지니고 있다.
2) 생심리사회적 모델
의료분야에서 현재 이루어지고 있는 치료는 주로 질병의 생물학적 혹은 신체적 측면만을 다루고 질병이나 장애가 개인에게 미치는 심리사회적 측면을 거의 다루지 않기 때문에 환자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지 못하고 있으며 회복과 재활과정에 부정적 결과를 가져오고 있다. 의료사회복지실천은 질병에 대한 생심리사회적 모델에 기반하여 질병이나 장애로 인해 환자
들이 경험하는 심리사회적 문제를 해결하고 사회적 기능을 회복할 수 있도록 도움을 제공한다.
제 10 장 질병이 개인과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1. 건강과 질병 및 장애에 대한 이해
1) 건강의 정의
‘ 건강’이라 함은 생의학적 의미에서 보면 질병이 없는 상태를 의미한다. 질병이 만성화 되고 예방이 중요해 지면서 건강의 의미도 기존의 생의학적 의미에서 확대되었다. 이러한 사회적 변화로 인해 건강이란 질병과 상해, 디스트레스 및 일시적 활동을 수행하는 능력의 손상이없이 적절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상태로 그 의미가 변화하였다.
2) 질병과 장애의 정의
(1) 질병의 개념 : 질환, 질병 및 병
질환은 의학적으로 규정된 생리적, 생물학적 건강이상 상태로서 생의학 모델에서 설명되는 반면, 질병은 질환의 사회, 심리적 의미, 환자가 주관적으로 느끼는 병의 경험, 전문직을 포함한 주변집단의 사회적 평가와 반응을 지칭하는 개념이다. 병은 질환이나 질병과는 달리 사회적 개념이다. 이는 다른 사람들에 의해 적용되고 자신에 의해 수용된 사회적 명칭으로 환자의 사회적 역할에 관심을 가진다.
3) 만성질환과 장애에 대한 이해
(1) 만성질환의 정의
만성질환이란 한 가지 혹은 그 이상의 특징을 지닌 모든 손상이나 정상적인 상태로부터의 일탈을 말한다. 이 정의는 그 포괄성에도 불구하고 생리학적인 이상에만 초점을 두고 있고 장기적 조건을 지닌 만성질환자라는 대상의 연구에 필요한 틀을 제시 해 주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를 지닌다.
(2) 만성질환과 장애의 개념
만성질환은 그 특성상 장애를 남기게 되는 경우가 많으며, 따라서 만성질환에 대한 이해를 도와줄 수 있는 또 하나의 개념 장애라고 할 수 있다. 장애는 보통 손상, 기능제약, 사회적 불리로 다시 구분되는데, 손상이란 유전, 사고 또는 질병에 의하여 심리적, 생리적, 해부학상 구조나 기능이 일부 상실되었거나 비정상성을 나타낸 상태를 말한다.
2. 질병이 개인과 가족에 미치는 영향
1) 질병과 관련된 행동
(1) 질병행동
질병행동이란 아프다고 느끼는 사람이 그 질병을 정의하고 그 질병에서 벗어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하는 활동을 말한다.
(2) 질병경험의 단계
결정
I
증상의 경험
II.
아픈역할의
가정
III
의료진과의
접촉
IV
의존적 환자
역할
V
회복 및 재활
무엇이가
잘못되었다.
정상적인 역할
을 그만둔다.
전문적 충고를
구한다.
전문적 치료를
수용한다.
환자 역할을
그만둔다.
행동
민간용법이나
자가 치료를적용
민간 의뢰체계
로부터 아픈
역할에 대한 잠정적인 확인을 요구
아픈 역할에 대
한 귄위 있는
정당화를 구함
병에 대한 치료절차를 받음
-의학적 섭생을 따름
정상적 역할의
재개
결과
부정(건강으로도주)
지연
수용
부정
수용
부정
쇼핑
확인
거부
이차적 이득
수용
저절(만성적인 아픈 역할)
꾀병
수용
*출처: Germain, C.B. (1984). Social Work Practice in Health Care : An Ecological Perspective, New York
: The Free Press, P38
2) 질병과 장애가 개인과 가족에 미치는 영향
(1) 질병과 장애의 사회적 결과
질병의 결과는 사회적 손상을 의미한다는 개념은 의료사회복지에서 중요한 개념을 제시해 주고 있는데 이는 건강 및 질병과 장애라는 연계선상에서 개인이 지역사회에서 다른 사람들과 기능하는 능력에 직접적으로 관련되어 있는 사회적 현상이라는 것이다.
(2) 의료사회복지실천에서 가족의 중요성과 의미 : 질병이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① 가족 전체에게 미치는 영향
부부간 형제간의 문제, 주요 사회적 역할수행상의어려움, 위궤양 장염 , 고혈압, 알콜 및 병적인 슬픔과 같은 건강상의 문제들이 포함되었다.
② 배우자에게 미치는 영향
심각하게 아픈 환자나 신체적으로 손상된 환자들의 배우자들은 신체적이고 심리적인 디스트레스를 동시에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③ 부모에게 미치는 영향
질병의 영향을 받는 아동들의 부모는 신체적 질환, 우울증 및 고도의 불안을 경함하고 때때로 부모들은 심각한 재정적 문제를 경험하며, 이전에 설정되었던 인생의 목표달성에 대한 희망을

추천자료

  • 가격3,400
  • 페이지수29페이지
  • 등록일2018.03.20
  • 저작시기201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4982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