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라도 소우주인 인체를 훼손시켜서는 안 된다는 신념이 강력하게 작용되었을 것으로 보아야 한다.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는 것, 그리고 인간이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거대한 자연에 맞추어 살아가는 것을 중시했던 한의학은, 그런 점에서 자연의 섭리를 따르는 의학이라 할 수 있다.
VII. 끝 맺으며
발전하는 양의학이 한의학을 무력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한의학의 오래된 경험을 입증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수천 년을 절차탁마해 온 한의학의 경험이 수준이 낮은 과거의 양의학에서는 마치 비과학적인 경험의 나열로만 여겨졌으나, 최근 양의학이 눈부시게 발전하면서 오히려 한의학에 잠재되어 있는 귀중한 자료들을 인정하고 검증해 내게 된 것이다.
하나의 의학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인체를 바라보는 눈이 하나로 통일되어져야 한다. 통일된 시각으로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때가 바로 하나된 의학의 계절이며, 그 때는 동(東)이나 서(西) 어느 한 편을 중심으로 흡수 통합되어지는 것은 아니고, 그 둘보다 한 단계 높은 차원에서 새로운 언어가 이루어낸 결합일 것이다.
문명이 발달하면서 인류는 자연적인 삶으로부터 멀어져 갔으며, 그로 인하여 암과 같은 질병과 자연환경 오염으로 고통받고 있는 지금, 우리들은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을 회복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한의학이 바라보고 있는 인간의 바람직한 모습이며, 동시에 우리 인간에게 주는 충고이기도 하다.
중국전통문화에서 유가 문화는 줄곧 줄기가 되어 중국 역사의 발전과정에 유원하고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한의학은 민생의 실용에 절실했다는 특징으로 군사, 농업, 예술과 함께 중국의 4대 실용문화 가운데 하나가 되었는데 이 책은 유학과 한의학의 두 문화사이에 맺어진 관계를 연구한 것이다.
유가 문화는 한의학과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서로간에 삼투된다. 유가문화가 중국문화의 중심이 된다는 점에서 보면 그것의 한의학에 대한 작용은 전반적이고 다차원적이다. 그 전형적인 실현은 ‘유의’라는 특수한 전통적 의사의 역할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또한 충효사친의 도덕관념이 전통 노년 의학에 미친 영향이나 수신제가의 이념이 전통 의학, 윤리학에 삼투 등은 모두 유가의 규범 문화가 한의학 영역에 구체적으로 표현된 것이다.
서양의학이 의술이라면 한의학은 인술이다. 한의학에는 자연과 인간을 아우르는 유학의 철학적 세계관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군자는 의술의 도를 써서 \'세상을 보위\'하고 그것을 미루어 \'세상을 구제하기\' 때문에 ‘인술’이라고 부른다.
오늘날 대체의학이라는 용어의 의미는 현대의학이라고 불리는 서양의학의 한계성을 인정하고 동양의학에서 바라보는 우리 몸과 질병에 대한 접근 방법의 다양성을 수용하여 서양의학의 인체의 질병과 치료에 대한 절대적이고 우위적인 시각을 바꾸어야한다는 것을 뜻한다. 대체의학의 치유체계가 현대의학의 수준에서 많은 부분이 검증되지 않고 있지만 그 신비로운 효과가 하나 둘씩 과학적으로 규명되면서 서양의학의 절대적 우위가 무너지고 있다. 예를 들면 우리 나라에서도 금년에 한국과학기술원영상시스템 연구실과 경희대 한의대 경혈학교실 팀이 핵자기공명단층촬영실험을 통해 수 천년의 경험으로만 설명되었던 침술의 신비를 과학적으로 규명하는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또한 발건강법의 효과가 이웃 일본에서 과학적으로 검증되어 ‘후지’방송을 통하여 약석건강법(발건강법)으로 널리 소개가 되었고, 90년 동경세계학술연구회에서는 WHO가 약석건강법의 놀라운 효과에 찬사를 보내고 있다. 그리고 약석본부가 있는 대만에서는 국가 의학잡지에 오랫동안 공개, 발표되어 약석건강법의 효과가 입증되었고 현재 유럽에서는 6-7만 명의 반사요법의 자
자연과 인간이 조화를 이루는 것, 그리고 인간이 자신을 둘러싸고 있는 거대한 자연에 맞추어 살아가는 것을 중시했던 한의학은, 그런 점에서 자연의 섭리를 따르는 의학이라 할 수 있다.
VII. 끝 맺으며
발전하는 양의학이 한의학을 무력하게 만드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한의학의 오래된 경험을 입증하는 데에 큰 역할을 하고 있다. 수천 년을 절차탁마해 온 한의학의 경험이 수준이 낮은 과거의 양의학에서는 마치 비과학적인 경험의 나열로만 여겨졌으나, 최근 양의학이 눈부시게 발전하면서 오히려 한의학에 잠재되어 있는 귀중한 자료들을 인정하고 검증해 내게 된 것이다.
하나의 의학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먼저 인체를 바라보는 눈이 하나로 통일되어져야 한다. 통일된 시각으로 같은 언어를 사용하는 때가 바로 하나된 의학의 계절이며, 그 때는 동(東)이나 서(西) 어느 한 편을 중심으로 흡수 통합되어지는 것은 아니고, 그 둘보다 한 단계 높은 차원에서 새로운 언어가 이루어낸 결합일 것이다.
문명이 발달하면서 인류는 자연적인 삶으로부터 멀어져 갔으며, 그로 인하여 암과 같은 질병과 자연환경 오염으로 고통받고 있는 지금, 우리들은 자연과의 조화로운 삶을 회복해야 한다. 이것이 바로 한의학이 바라보고 있는 인간의 바람직한 모습이며, 동시에 우리 인간에게 주는 충고이기도 하다.
중국전통문화에서 유가 문화는 줄곧 줄기가 되어 중국 역사의 발전과정에 유원하고 중대한 영향을 끼쳤다. 한의학은 민생의 실용에 절실했다는 특징으로 군사, 농업, 예술과 함께 중국의 4대 실용문화 가운데 하나가 되었는데 이 책은 유학과 한의학의 두 문화사이에 맺어진 관계를 연구한 것이다.
유가 문화는 한의학과 상호간에 영향을 주고받으며 서로간에 삼투된다. 유가문화가 중국문화의 중심이 된다는 점에서 보면 그것의 한의학에 대한 작용은 전반적이고 다차원적이다. 그 전형적인 실현은 ‘유의’라는 특수한 전통적 의사의 역할에서 뚜렷하게 나타난다. 또한 충효사친의 도덕관념이 전통 노년 의학에 미친 영향이나 수신제가의 이념이 전통 의학, 윤리학에 삼투 등은 모두 유가의 규범 문화가 한의학 영역에 구체적으로 표현된 것이다.
서양의학이 의술이라면 한의학은 인술이다. 한의학에는 자연과 인간을 아우르는 유학의 철학적 세계관이 내재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군자는 의술의 도를 써서 \'세상을 보위\'하고 그것을 미루어 \'세상을 구제하기\' 때문에 ‘인술’이라고 부른다.
오늘날 대체의학이라는 용어의 의미는 현대의학이라고 불리는 서양의학의 한계성을 인정하고 동양의학에서 바라보는 우리 몸과 질병에 대한 접근 방법의 다양성을 수용하여 서양의학의 인체의 질병과 치료에 대한 절대적이고 우위적인 시각을 바꾸어야한다는 것을 뜻한다. 대체의학의 치유체계가 현대의학의 수준에서 많은 부분이 검증되지 않고 있지만 그 신비로운 효과가 하나 둘씩 과학적으로 규명되면서 서양의학의 절대적 우위가 무너지고 있다. 예를 들면 우리 나라에서도 금년에 한국과학기술원영상시스템 연구실과 경희대 한의대 경혈학교실 팀이 핵자기공명단층촬영실험을 통해 수 천년의 경험으로만 설명되었던 침술의 신비를 과학적으로 규명하는데 성공했기 때문이다. 또한 발건강법의 효과가 이웃 일본에서 과학적으로 검증되어 ‘후지’방송을 통하여 약석건강법(발건강법)으로 널리 소개가 되었고, 90년 동경세계학술연구회에서는 WHO가 약석건강법의 놀라운 효과에 찬사를 보내고 있다. 그리고 약석본부가 있는 대만에서는 국가 의학잡지에 오랫동안 공개, 발표되어 약석건강법의 효과가 입증되었고 현재 유럽에서는 6-7만 명의 반사요법의 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