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홍길동전」의 개관
1. 홍길동전의 내용 및 구조 분석
2. 영웅이야기의 서사단락
3. 「홍길동전」의 서사구조
Ⅲ 신화원형 관점에서 본「홍길동전」
1.「홍길동전」의 전기적 유형
2.「홍길동전」의 현실성과 인간 본연의 욕구 충족
Ⅵ 결론
Ⅴ 참고문헌
Ⅱ 「홍길동전」의 개관
1. 홍길동전의 내용 및 구조 분석
2. 영웅이야기의 서사단락
3. 「홍길동전」의 서사구조
Ⅲ 신화원형 관점에서 본「홍길동전」
1.「홍길동전」의 전기적 유형
2.「홍길동전」의 현실성과 인간 본연의 욕구 충족
Ⅵ 결론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귀한 혈통을 지닌 인물이다.
a. 조선조 세종 때 승상으로 있던 홍문의 아들이다.
B. 비정상적으로 잉태되거나 출생하다.
a. 홍승상이 청룡이 입을 벌리고 기운을 토하면서 승상의 입으로 들어오는 꿈을 꾸다.
b. 여종 춘섬을 이끌고 잠자리에 들다.
c. 그 달부터 태기가 있더니 열 달이 되자 거처하는 방에 오색구름이 영롱하고 기이한 향기가 풍기는 가운데 기묘하게 생긴 사내아이를 출산하다.
d. 사흘 뒤에 승상이 들어와 보고 한편 기뻐하면서도 천한 몸에 난 것을 안타까워하다.
C. 범인과는 다른 탁월한 능력을 지니다.
a. 재주가 비상하여 한 가지 말을 들으면 열 가지 말을 알고 한 번 보면 모르는 것이 없 다.
b. 기골이 장대하고 용맹이 뛰어나다.
c. 중국의 경서 및 온갖 사상서를 막힘없이 달통하고 중국의 병서를 읽어 이치에 통달하 였을 뿐만 아니라 술법에도 통달하다.
<시련 및 모험-1>
D. 죽을 위기에 처하다.
a. 초낭과 무녀의 음모로 관상녀가 홍승상에게 길동이 성공하면 왕이 될 상이요, 실패한 즉 헤아리지 못할 재난이 있을 것이라고 거짓으로 아뢰게하다.
b. 길동을 산에 있는 정자에 머물게 하고 행동을 엄격하게 감시하다.
c. 자객 특재를 매수하여 길동을 해치려 하다.
E. 집을 떠나다
a. 특재와 관상녀의 죄를 물어 죽이다.
b. 의붓어머니 초낭자는 죄를 논하지 못하고 살려두다.
c. 대감에게 하직인사를 하고 호부호형의 한을 풀다.
d. 어머니에게 초낭의 극악한 일을 고한 후 하직인사를 하다.
<시련 및 모험-2>
F. 고난에 부딪치다.
a. 도적의 소굴에서 천근의 초부석을 드는 내기를 하다.
b. 해인사와 함경감영을 습격하여 부패한 승려, 탐관오리들과 싸우다.
c. 병조판서를 요구하며 관군과 대결하다.
G. 투쟁적으로 고난을 극복하다.
a. 초부석을 들어 팔위에 얹은 후 수십 보를 걷다가 도로 그 자리에 놓자 제일 높은 자 리의 장수로 받들어지다.
b. 부패한 승려와 탐관오리를 이기고 창고를 열어 가난한 백성을 무휼하다.
c. 관군과의 대결에서 이기고 병조판서를 제수받다.
H. 모국을 떠나다.
a. 조선을 떠나다.
b. 성도라는 섬에 땅을 일구다.
I. 새로운 고난을 겪다.
a. 망당산에서 괴수 을동과 대결하다.
b. 율도국을 차지하기 위해 율도국왕과 대결하다.
J. 투쟁적으로 고난을 극복하고 승리자가 되다.
a. 괴수 을동을 물리치다
b. 납치되었던 백룡의 딸과 정통 양인의 두 딸을 구하여 세 여인을 부인으로 맞다.
c. 율도국왕과의 대결에서 이기다.
d. 율도국왕이 되다.
<죽음>
K. 죽다.
a. 하루는 우레 소리와 벼락이 진동한 후 천지가 명랑해지며 선학소리가 자자하더니 대 왕과 모비가 간 곳이 없어지다.
b. 대왕의 두 신위를 능에 허장하니 사람이 다 이르기를 ‘우리 대왕은 선도(仙道)를 닦아 백일승천(白日昇天)하셨다‘ 고 이르다.
이러한 단계로 보아 A의 출생 단계에서 혈통과 신분의 고귀함에 대한 충족도는 앞으로 태어날 인물의 존재는 물론 행동 영역과 과업의 성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건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웅적 인물인 홍길동이 자신의 과업을 달성할 수 있는가 없는가에 대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양반의 혈통을 이었으나 서자로 태어남으로써 혈통과 신분의 부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성장 과정의 비범성은 작품의 주인공을 영웅이게 하는 가장 중요한 조건임과 동시에 미래의 과업을 이루어 내는 데에 꼭 필요한 조건이다. 홍길동의 경우에는 스스로의 노력에 의해 검술과 도술의 능력을 획득하게 되는데, 이러한 주인공들의 능력은 기존의 일상적인 삶의 궤도를 영웅적 삶의 궤도로 전화시켜 새로운 영웅 창조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안기수, 「통속적 영웅소설의 내적 형식과 욕망」,『어문연구』제27권 3호 (통권 103호),한국어문교육연구회, 1999, p.68.
시련 및 모험에서의 위기와 위기 극복은 두 단계로서, 첫 단계는 아직 본격적인 모험이 이루어지지 않은 단계의 고난이다. 홍길동은 조력자는 존재하나 원조의 부족으로 자력으로서 위기를 극복했고, 두 번째 단계인 주변 적대자의 시기와 질투, 모함에 의한 죽음의 위기에서는 가출을 감행하여 자의와 타의의 복합적 성격을 지닌다. 이 가출은 최초의 정신적 갈등을 극복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행동은 진정한 영웅이 되기 위한 홍길동의 굳은 결심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서사구조에서 영웅의 원형적 모티브는 a 탐색, b 입문, c 제물로서의 속죄양 등을 들 수 있는데 이중에서 아버지 찾기 와 입문 두 유형이 내재해 있다고 본다.
첫째, <아버지 찾기 모티브>: 영웅은 긴 여로에 오르는데 이 여행 동안에 왕국을 구하고 공주와 결혼하기 위해서 불가능한 일을 실현하고 극악무도한 자와 싸우고 해답할 수 없는 수수께끼를 풀고 견디기 어려운 장애를 극복해야 한다. 홍길동전의 후반부에 요괴 퇴치 후 여자를 구해내는 에피소드가 보이는데, 어디까지나 작품 전체를 통해서 볼 때는 끝없이 아버지(핏줄)의 원점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순환구조임을 알 수 있다.
즉, 길동이 어렸을 적, 천비소생이라 호부호형 못함이 한이었으나 아버지께 순종하는 편이었고, 길동이 집을 떠날 때 아버지의 묵인을 받았을 뿐 아니라 자기를 모함한 초란을 부친이 사랑하는 여인이라고 죽이지 않는다. 가출을 결심하고도 아버지 앞에 하직하고 만수무강을 빌며 떠났다. 또 길동이 도적의 두목이 되었을 때도 나라에서 그를 도무지 잡지 못하자 길동이 스스로 붙잡혀와 성상의 진노를 풀고 아버지를 구한다.
둘째, <입문> : 영웅은 사회 성원으로 훌륭하게 자립하고 성숙하게 됨에 있어서 무지와 미성숙 상태에서 벗어나 사회적, 정신적으로 어른답게 되는 과정상 일련의 고통스런 체험을 겪는다. 입문은 세 단계로 성립된다. 1격리 2변화 3복귀 인데 이 역시 탐색처럼 죽음과 재생을 상징하는 변형이다.
길동이 노비의 몸에서 태어나 가정의 온갖 시련에서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가출, 다시 방랑하다, 도적 굴에 이르러 시련을 겪는다. 이 시련도 무난히 극복해서 소년으로서 괴수자리에 올랐으나 팔도를 휘젓고 다니는 도둑의 두목 길동을 잡아들이라는 방문을 붙이자
a. 조선조 세종 때 승상으로 있던 홍문의 아들이다.
B. 비정상적으로 잉태되거나 출생하다.
a. 홍승상이 청룡이 입을 벌리고 기운을 토하면서 승상의 입으로 들어오는 꿈을 꾸다.
b. 여종 춘섬을 이끌고 잠자리에 들다.
c. 그 달부터 태기가 있더니 열 달이 되자 거처하는 방에 오색구름이 영롱하고 기이한 향기가 풍기는 가운데 기묘하게 생긴 사내아이를 출산하다.
d. 사흘 뒤에 승상이 들어와 보고 한편 기뻐하면서도 천한 몸에 난 것을 안타까워하다.
C. 범인과는 다른 탁월한 능력을 지니다.
a. 재주가 비상하여 한 가지 말을 들으면 열 가지 말을 알고 한 번 보면 모르는 것이 없 다.
b. 기골이 장대하고 용맹이 뛰어나다.
c. 중국의 경서 및 온갖 사상서를 막힘없이 달통하고 중국의 병서를 읽어 이치에 통달하 였을 뿐만 아니라 술법에도 통달하다.
<시련 및 모험-1>
D. 죽을 위기에 처하다.
a. 초낭과 무녀의 음모로 관상녀가 홍승상에게 길동이 성공하면 왕이 될 상이요, 실패한 즉 헤아리지 못할 재난이 있을 것이라고 거짓으로 아뢰게하다.
b. 길동을 산에 있는 정자에 머물게 하고 행동을 엄격하게 감시하다.
c. 자객 특재를 매수하여 길동을 해치려 하다.
E. 집을 떠나다
a. 특재와 관상녀의 죄를 물어 죽이다.
b. 의붓어머니 초낭자는 죄를 논하지 못하고 살려두다.
c. 대감에게 하직인사를 하고 호부호형의 한을 풀다.
d. 어머니에게 초낭의 극악한 일을 고한 후 하직인사를 하다.
<시련 및 모험-2>
F. 고난에 부딪치다.
a. 도적의 소굴에서 천근의 초부석을 드는 내기를 하다.
b. 해인사와 함경감영을 습격하여 부패한 승려, 탐관오리들과 싸우다.
c. 병조판서를 요구하며 관군과 대결하다.
G. 투쟁적으로 고난을 극복하다.
a. 초부석을 들어 팔위에 얹은 후 수십 보를 걷다가 도로 그 자리에 놓자 제일 높은 자 리의 장수로 받들어지다.
b. 부패한 승려와 탐관오리를 이기고 창고를 열어 가난한 백성을 무휼하다.
c. 관군과의 대결에서 이기고 병조판서를 제수받다.
H. 모국을 떠나다.
a. 조선을 떠나다.
b. 성도라는 섬에 땅을 일구다.
I. 새로운 고난을 겪다.
a. 망당산에서 괴수 을동과 대결하다.
b. 율도국을 차지하기 위해 율도국왕과 대결하다.
J. 투쟁적으로 고난을 극복하고 승리자가 되다.
a. 괴수 을동을 물리치다
b. 납치되었던 백룡의 딸과 정통 양인의 두 딸을 구하여 세 여인을 부인으로 맞다.
c. 율도국왕과의 대결에서 이기다.
d. 율도국왕이 되다.
<죽음>
K. 죽다.
a. 하루는 우레 소리와 벼락이 진동한 후 천지가 명랑해지며 선학소리가 자자하더니 대 왕과 모비가 간 곳이 없어지다.
b. 대왕의 두 신위를 능에 허장하니 사람이 다 이르기를 ‘우리 대왕은 선도(仙道)를 닦아 백일승천(白日昇天)하셨다‘ 고 이르다.
이러한 단계로 보아 A의 출생 단계에서 혈통과 신분의 고귀함에 대한 충족도는 앞으로 태어날 인물의 존재는 물론 행동 영역과 과업의 성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건으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영웅적 인물인 홍길동이 자신의 과업을 달성할 수 있는가 없는가에 대해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양반의 혈통을 이었으나 서자로 태어남으로써 혈통과 신분의 부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성장 과정의 비범성은 작품의 주인공을 영웅이게 하는 가장 중요한 조건임과 동시에 미래의 과업을 이루어 내는 데에 꼭 필요한 조건이다. 홍길동의 경우에는 스스로의 노력에 의해 검술과 도술의 능력을 획득하게 되는데, 이러한 주인공들의 능력은 기존의 일상적인 삶의 궤도를 영웅적 삶의 궤도로 전화시켜 새로운 영웅 창조에 결정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된다. 안기수, 「통속적 영웅소설의 내적 형식과 욕망」,『어문연구』제27권 3호 (통권 103호),한국어문교육연구회, 1999, p.68.
시련 및 모험에서의 위기와 위기 극복은 두 단계로서, 첫 단계는 아직 본격적인 모험이 이루어지지 않은 단계의 고난이다. 홍길동은 조력자는 존재하나 원조의 부족으로 자력으로서 위기를 극복했고, 두 번째 단계인 주변 적대자의 시기와 질투, 모함에 의한 죽음의 위기에서는 가출을 감행하여 자의와 타의의 복합적 성격을 지닌다. 이 가출은 최초의 정신적 갈등을 극복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행동은 진정한 영웅이 되기 위한 홍길동의 굳은 결심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서사구조에서 영웅의 원형적 모티브는 a 탐색, b 입문, c 제물로서의 속죄양 등을 들 수 있는데 이중에서 아버지 찾기 와 입문 두 유형이 내재해 있다고 본다.
첫째, <아버지 찾기 모티브>: 영웅은 긴 여로에 오르는데 이 여행 동안에 왕국을 구하고 공주와 결혼하기 위해서 불가능한 일을 실현하고 극악무도한 자와 싸우고 해답할 수 없는 수수께끼를 풀고 견디기 어려운 장애를 극복해야 한다. 홍길동전의 후반부에 요괴 퇴치 후 여자를 구해내는 에피소드가 보이는데, 어디까지나 작품 전체를 통해서 볼 때는 끝없이 아버지(핏줄)의 원점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순환구조임을 알 수 있다.
즉, 길동이 어렸을 적, 천비소생이라 호부호형 못함이 한이었으나 아버지께 순종하는 편이었고, 길동이 집을 떠날 때 아버지의 묵인을 받았을 뿐 아니라 자기를 모함한 초란을 부친이 사랑하는 여인이라고 죽이지 않는다. 가출을 결심하고도 아버지 앞에 하직하고 만수무강을 빌며 떠났다. 또 길동이 도적의 두목이 되었을 때도 나라에서 그를 도무지 잡지 못하자 길동이 스스로 붙잡혀와 성상의 진노를 풀고 아버지를 구한다.
둘째, <입문> : 영웅은 사회 성원으로 훌륭하게 자립하고 성숙하게 됨에 있어서 무지와 미성숙 상태에서 벗어나 사회적, 정신적으로 어른답게 되는 과정상 일련의 고통스런 체험을 겪는다. 입문은 세 단계로 성립된다. 1격리 2변화 3복귀 인데 이 역시 탐색처럼 죽음과 재생을 상징하는 변형이다.
길동이 노비의 몸에서 태어나 가정의 온갖 시련에서 그것을 극복하기 위한 가출, 다시 방랑하다, 도적 굴에 이르러 시련을 겪는다. 이 시련도 무난히 극복해서 소년으로서 괴수자리에 올랐으나 팔도를 휘젓고 다니는 도둑의 두목 길동을 잡아들이라는 방문을 붙이자
키워드
추천자료
[경영]도요타와 GE의 조직구조 및 리더십 분석
[경영]도요타와 GE의 조직구조 및 리더십 분석
[법,형사정책] 범죄 피해자 구조법 및 시행령 분석
[생산관리]ERP의 구조, 유연성 및 확장가능성, 시스템의 선정방식에 대한 분석
[공공부문구조조정][공공부문][구조조정][공공부문개혁][공기업][구조조정]공공부문의 의의, ...
외환시장의 개념 및 구조, 환율의 결정과 분석 및 거시경제변수
[사회과학] 구조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과 목표는 무엇이며, 과정을 설명하시고, 이론에 근거...
불공정 거래 행위 유형 분석 및, 공정한 거래 구조 방안
[주류 유통 구조] 국내 외 유통관리 분석과 문제 확인 및 해결 방안 제시
CJ 푸드빌, 기업 분석 및 회사 소개, 유통 구조
구조적 가족치료의 주요개념과 목표는 무엇이며, 과정을 설명하시고, 이론에 근거하여 자신가...
대한항공과 아시아나 항공의 재무분석 및 비교 (유동성, 자본구조, 자산운용, 수익성, 시장가치)
사회복지조사론 - 내용분석법의 의의와 특징 및 범주, 내용분석법의 분석단위와 절차, 내용분...
핌피Pom·pey사례분석을 통한 지방정부간 갈등관리전략 - 경부고속철도역사명칭 갈등 사례(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