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현대시의 흐름
2. 이미지즘
1) Hulme의 신고전주의론
2) E.Pound의 이미지즘 시론
3) 이미지즘의 특징
3. T.S.Eliot의 시론
1) 몰개성의 시론
2) 감수성의 통합
2. 이미지즘
1) Hulme의 신고전주의론
2) E.Pound의 이미지즘 시론
3) 이미지즘의 특징
3. T.S.Eliot의 시론
1) 몰개성의 시론
2) 감수성의 통합
본문내용
사하려고 했던 것이다.
한편, Natan Zach는 이미지즘의 특징을 다음 여섯 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① 모든 장식적인 수사를 척결하여 간략하게 한다.
② 일상적인 구어체로 평범한 것 속의 리얼리티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다.
③ 구체적 객관성을 지향하고 감상성의 표출을 피한다.
④ 내용의 적절한 보고에 있어 과학의 구체적인 방법에 가까운 구체적 관찰을 한다.
⑤ 내용우선을 거부한다.
⑥규칙적인 리듬을 피한다. Natan Zach, "Imagism and Vorticism," p.238. 재인용.
3. T.S.Eliot의 시론
1) 몰(沒)개성의 시론
엘리오트는 시인의 개인적 재능을 별로 인정하려 하지 않았다. 한 시인의 재능이나 시의 가치는 과거의 전통에 의해 마련된 것이거나 과거 시인에 대한 상대적 가치에 불과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그는 개인의 재능과 개성을 존중했던 낭만주의와 대척적인 입장에 선다. 그는 시인이건 예술가이건 개인으로서는 완전한 의미를 가질 수 없고, 그의 중요성에 대한 평가는 과거의 시인이나 예술가들과의 상관관계에 의해서 비로소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는 1917년에 발표한「전통과 개인의 재능」에서 시는 감정의 도피 또 개성의 도피라고 하였다. 이런 점에서 흄이나 파운드의 신고전주의 입장에서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에 의하면 시의 가치는 시인의 개성적 표현에 있는 것이 아니고 개성을 이루는 여러 요소들을 결합시킴으로써 일상생활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예술적 정서로 어떻게 환치시키느냐에 달려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시인은 문학전통의 현존성을 느끼는 역사의식이 필요한 것이고 과거의 의해서 형성된 질서 속에 개성을 몰각하고 전통적 질서 속에 몸을 맡겨 자기를 훈련해 가야 하는 것이다.
2) 감수성의 통합
T.S.Eliot는 John Donne을 중심으로 한 17세기 초반의 형이상학(形而上學)파 시인들은 16세기 후반의 엘리자베스 시대와 17세기 초 Jacobean 시대의 극작가들과 같이 감수성의 통합을 이루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들은 어떤 종류의 경험이라도 삼켜버릴 수 있는 감수성의 기제를 소유하고 있었고, 사고를 직접적인 감각으로 이해하여 마치 장미꽃의 향기를 곧장 냄새 맡듯이 자신들의 사고를 느낄 수 있었다.
형이상학파 시인들에 의하면 시인의 정신은 무수한 감정, 형상, 어구를 파악하고 저축하는 受容器(수용기)이다. 시를 쓸 때는 이러한 모든 이질적 요소들이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전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후의 시인들부터는 감수성이 분열이 되었다. 예를 들어 테니슨 등 시인의 시에서 그들의 사상은 장미 향기처럼 즉각적으로 느껴지지 않거나 감성 위주의 시가 양산되었다는 것이다. 이후 영시를 쓰는 대부분의 후대 시인들은 생각하거나 느끼기는 하지만 통일된 감수성의 작용으로서 생각하고 느낀 것은 아니었다. 아무튼 엘리오트는 20세기의 현대시는 이 분열된 감수성을 통합하여 사상을 장미꽃 향기처럼 즉각적으로 느낄 수 있는 시를 써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엘리오트의 대표시인 「황무지」는 이러한 감수성 이론에 입각하여, 전혀 별개의 여러 요소를 지적으로 융합시킨 작품이었다. 이러한 엘리오트의 감수성의 시론은 후에 신비평가들에 의해서 커다란 반응을 가져왔는데 그 대표적인 사람이 Brooks였다. 그 역시 엘리오트와 마찬가지로 형이상학파 시인들을 높이 평가하였다. C.Brooks, Modern Poetry and the Tradition(New York, 1965), p.43. 재인용.
Brooks는 영시의 전통 속에 흐르는 형이상학파의 유산에 주목했고 형이상학 시를 포괄과 종합이 이루어진 좋은 시로 보고 있는 것이다.
한편, Natan Zach는 이미지즘의 특징을 다음 여섯 가지로 요약하고 있다.
① 모든 장식적인 수사를 척결하여 간략하게 한다.
② 일상적인 구어체로 평범한 것 속의 리얼리티를 구체적으로 표현하다.
③ 구체적 객관성을 지향하고 감상성의 표출을 피한다.
④ 내용의 적절한 보고에 있어 과학의 구체적인 방법에 가까운 구체적 관찰을 한다.
⑤ 내용우선을 거부한다.
⑥규칙적인 리듬을 피한다. Natan Zach, "Imagism and Vorticism," p.238. 재인용.
3. T.S.Eliot의 시론
1) 몰(沒)개성의 시론
엘리오트는 시인의 개인적 재능을 별로 인정하려 하지 않았다. 한 시인의 재능이나 시의 가치는 과거의 전통에 의해 마련된 것이거나 과거 시인에 대한 상대적 가치에 불과한 것이다. 이런 점에서 그는 개인의 재능과 개성을 존중했던 낭만주의와 대척적인 입장에 선다. 그는 시인이건 예술가이건 개인으로서는 완전한 의미를 가질 수 없고, 그의 중요성에 대한 평가는 과거의 시인이나 예술가들과의 상관관계에 의해서 비로소 가능한 것으로 보고 있다.
그는 1917년에 발표한「전통과 개인의 재능」에서 시는 감정의 도피 또 개성의 도피라고 하였다. 이런 점에서 흄이나 파운드의 신고전주의 입장에서 있음을 알 수 있다. 그에 의하면 시의 가치는 시인의 개성적 표현에 있는 것이 아니고 개성을 이루는 여러 요소들을 결합시킴으로써 일상생활에서는 찾아볼 수 없는 독특한 예술적 정서로 어떻게 환치시키느냐에 달려 있는 것이다. 따라서 시인은 문학전통의 현존성을 느끼는 역사의식이 필요한 것이고 과거의 의해서 형성된 질서 속에 개성을 몰각하고 전통적 질서 속에 몸을 맡겨 자기를 훈련해 가야 하는 것이다.
2) 감수성의 통합
T.S.Eliot는 John Donne을 중심으로 한 17세기 초반의 형이상학(形而上學)파 시인들은 16세기 후반의 엘리자베스 시대와 17세기 초 Jacobean 시대의 극작가들과 같이 감수성의 통합을 이루었다고 평가하고 있다. 그들은 어떤 종류의 경험이라도 삼켜버릴 수 있는 감수성의 기제를 소유하고 있었고, 사고를 직접적인 감각으로 이해하여 마치 장미꽃의 향기를 곧장 냄새 맡듯이 자신들의 사고를 느낄 수 있었다.
형이상학파 시인들에 의하면 시인의 정신은 무수한 감정, 형상, 어구를 파악하고 저축하는 受容器(수용기)이다. 시를 쓸 때는 이러한 모든 이질적 요소들이 결합하여 하나의 새로운 전체를 형성하는 것이다.
그런데 이후의 시인들부터는 감수성이 분열이 되었다. 예를 들어 테니슨 등 시인의 시에서 그들의 사상은 장미 향기처럼 즉각적으로 느껴지지 않거나 감성 위주의 시가 양산되었다는 것이다. 이후 영시를 쓰는 대부분의 후대 시인들은 생각하거나 느끼기는 하지만 통일된 감수성의 작용으로서 생각하고 느낀 것은 아니었다. 아무튼 엘리오트는 20세기의 현대시는 이 분열된 감수성을 통합하여 사상을 장미꽃 향기처럼 즉각적으로 느낄 수 있는 시를 써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엘리오트의 대표시인 「황무지」는 이러한 감수성 이론에 입각하여, 전혀 별개의 여러 요소를 지적으로 융합시킨 작품이었다. 이러한 엘리오트의 감수성의 시론은 후에 신비평가들에 의해서 커다란 반응을 가져왔는데 그 대표적인 사람이 Brooks였다. 그 역시 엘리오트와 마찬가지로 형이상학파 시인들을 높이 평가하였다. C.Brooks, Modern Poetry and the Tradition(New York, 1965), p.43. 재인용.
Brooks는 영시의 전통 속에 흐르는 형이상학파의 유산에 주목했고 형이상학 시를 포괄과 종합이 이루어진 좋은 시로 보고 있는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 박주택의 시세계 - ‘사막의 별 아래에서 자라’ 를 중심으로 -
- 현대 M카드 광고 분석 및 마케팅 전략 분석 (SWOT분석,STP분석, Marketing Mix 전략 )(A+레포트)
- 현대사회에서 NGO
- 근현대문학사 교재전범위 핵심요약노트
- 2013년 2학기 근현대문학사 기말시험 핵심체크
- 2014년 2학기 근현대문학사 기말시험 핵심체크
- 2014년 2학기 근현대문학사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 2015년 하계계절시험 근현대문학사 시험범위 핵심체크
- 2015년 2학기 근현대문학사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 2015년 2학기 근현대문학사 기말시험 핵심체크
- 2016년 2학기 근현대문학사 기말시험 핵심체크
- 2016년 2학기 근현대문학사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 2017년 2학기 근현대문학사 교재 전 범위 핵심요약노트
- 2017년 2학기 국어국문학과 근현대문학사 기말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