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본론
2.1. 친구선택의 기준
2.1.1. 개인적 특성
2.1.2. 상호작용 특성
3. 결론
4. 참고문헌
2. 본론
2.1. 친구선택의 기준
2.1.1. 개인적 특성
2.1.2. 상호작용 특성
3. 결론
4. 참고문헌
본문내용
일 좋은 평가가 내려졌다면 애 좋은 평가가 내려졌는지에 대한 이유 역시 들을 수 있을 것이다. 그러한 평가가 아닌 정확히 평가의 이유를 듣고 자신이 친해지고자 하는 이와 직접 대화를 통해 어떤 부분이 맞고 그른지를 평가하는 것도 늦지는 않기에 우선 타인이 그 사람을 어떻게 평가하고 있는지를 살펴보는 것이 기준이 된다.
마지막 기준은 사회에 대한 판단이다.
거창하긴 하지만 사실은 그 사람이 사회를 어찌 판단하는 가이다. 다만 여기서 중요한건 앞에 필자가 올린 개인적 특성을 먼저 전부 반영하는 것이 전제 조건인 기준이다. 먼저 자신의 일을 하는 꼬박꼬박 잘하는 경우 이 사람은 사회를 비판해도, 사회에 긍정적인 시야를 가져도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자신의 할 일을 하지 않고 사회에 긍정적인 시야만을 갖는다면, 그 사람은 별생각 없이 사는 사람이기에 단순히 무언가 즐기기만을 원한다면 사귀어도 좋은 타입이다. 하지만 자신의 할 일도 하지 않고 사회 비판만을 한다면 이는 평생 남의 탓만을 하는 사람으로서 가까이 해선 안 되는 사람으로 필자는 분류하고 있다.
결론
여기까지 필자의 개인적인 친구를 사귀는 기준을 알아보았다. 물론 필자의 생각에 모두가 동의할 것이라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사람은 모두 다르기에 자신만의 관점에서 자신만의 중요 포인트가 있기에 그 점을 가지고 나아가는 것 역시 좋다고 생각한다. 다만 필자가 반드시 배제하던 기준의 사람들에 대해선 생각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어떤 일이라도 원인 없는 결과 없으며 아니 땐 굴뚝에 연기나지 않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명심보감 : 추적, 1305년도 고려
마지막 기준은 사회에 대한 판단이다.
거창하긴 하지만 사실은 그 사람이 사회를 어찌 판단하는 가이다. 다만 여기서 중요한건 앞에 필자가 올린 개인적 특성을 먼저 전부 반영하는 것이 전제 조건인 기준이다. 먼저 자신의 일을 하는 꼬박꼬박 잘하는 경우 이 사람은 사회를 비판해도, 사회에 긍정적인 시야를 가져도 별다른 문제가 되지 않는다. 하지만 자신의 할 일을 하지 않고 사회에 긍정적인 시야만을 갖는다면, 그 사람은 별생각 없이 사는 사람이기에 단순히 무언가 즐기기만을 원한다면 사귀어도 좋은 타입이다. 하지만 자신의 할 일도 하지 않고 사회 비판만을 한다면 이는 평생 남의 탓만을 하는 사람으로서 가까이 해선 안 되는 사람으로 필자는 분류하고 있다.
결론
여기까지 필자의 개인적인 친구를 사귀는 기준을 알아보았다. 물론 필자의 생각에 모두가 동의할 것이라는 생각은 하지 않는다. 사람은 모두 다르기에 자신만의 관점에서 자신만의 중요 포인트가 있기에 그 점을 가지고 나아가는 것 역시 좋다고 생각한다. 다만 필자가 반드시 배제하던 기준의 사람들에 대해선 생각해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어떤 일이라도 원인 없는 결과 없으며 아니 땐 굴뚝에 연기나지 않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명심보감 : 추적, 1305년도 고려
추천자료
인간관계론...
< 영화&#43088;죽은 시인의 사회 &#43089;와 인간관계론의 접목을 통한 비교분석 >
인간관계론 '성격'
[베버][메이요][매슬로우][맥그리거]베버의 관료제이론, 메이요, 뢰스리스버거의 인간관계론,...
인간관계론 레포트....
기말_광주_인간관계론
[인간관계론] 발달 단계와 인간관계에 대하여 논술 하시오 (에릭슨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
조직행동론_ 인간성을 강조한 조직행동연구(메이요의 호손실험과 인간관계론, 초기인간관계론...
[교육행정 및 경영 공통] 대표적인 교육행정학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적 관리론, 인간관...
[간호학과] [전략적 간호관리 공통] 1.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을 비교하여 논하고, 간호...
[전략적 간호관리 공통] 1. 과학적 관리론과 인간관계론을 비교하여 논하고 간호사들이 신명...
[2017 2학기 교육행정및경영] 대표적인 교육행정학인 과학적 관리론, 인간관계론, 체제이론 ...
[교육행정 및 경영 공통] 대표적인 교육행정학 이론이라고 할 수 있는 과학적 관리론, 인간관...
인간관계론)인간관계의 심리(정진선,문미란,시그마프레스,2008)책을 요약정리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