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며
2. 국립공원의 개념과 의의
1) 국립공원의 개념
2) 국립공원의 의의
3. 국립공원 연혁 및 관리정책의 변화
1) 국립공원 연혁
2) 우리나라 국립공원 관리정책의 변화
4. 국립공원의 경제적 가치
5. 우리나라 국립공원 현황
1) 국립공원 지정현황
2) 용도지구현황, 토지소유현황
3) 연간 탐방객 추이
4) 탐방프로그램
6.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에 대한 찬반의견
1)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 찬성의견
2)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 반대의견
7. 효율적인 국립공원 관리 방안
참고자료
2. 국립공원의 개념과 의의
1) 국립공원의 개념
2) 국립공원의 의의
3. 국립공원 연혁 및 관리정책의 변화
1) 국립공원 연혁
2) 우리나라 국립공원 관리정책의 변화
4. 국립공원의 경제적 가치
5. 우리나라 국립공원 현황
1) 국립공원 지정현황
2) 용도지구현황, 토지소유현황
3) 연간 탐방객 추이
4) 탐방프로그램
6.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에 대한 찬반의견
1)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 찬성의견
2)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 반대의견
7. 효율적인 국립공원 관리 방안
참고자료
본문내용
탐방객 추이 >
(자료 : 국립공원관리공단, 2017)
4) 탐방프로그램
< 연도별 탐방프로그램 운영 실적 > (단위:명)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참여인원
423,856
551,796
651,138
762,784
943,807
1,344,823
1,743,611
2,311,354
프로그램
384
381
264
277
287
413
331
334
운영횟수
17,990
18,912
18,563
18,379
21,233
28,406
31,291
33,463
(자료 : 국립공원관리공단, 2017)
< 건강나누리 캠프 실적 > (단위: 명)
2012
2013
2014
2015
2016
참여인원
2,628
3,211
3,360
4,730
4,572
프로그램
11
16
13
12
12
운영횟수
58
70
79
106
109
(자료 : 국립공원관리공단, 2017)
6.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에 대한 찬반의견
1)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 찬성의견
① 지역경제 발전
국립공원 내 케이블카를 설치함으로서 침체되어 있는 지역의 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다. 국립공원의 관광자원 가치를 극대화하여 많은 탐방객을 유인할 수 있어 지역경제에 도움을 주고 신규 일자리도 창출한다.
② 장애인과 노약자들의 인권 존중
장애인들이나 노약자들처럼 산에 오를 수 없는 사람들도 산꼭대기에서 밑을 내려다보며 경치를 감상할 권리가 있다. 자연을 파괴하기 때문에 케이블카의 설치를 반대한다면 이들이 산꼭대기에 오를 수 없을 것이다. 자연도 중요하지만 노약자와 장애인들의 인권과 권리를 존중하는 것도 그만큼 중요하다.
③ 국립공원 내 케이블카 설치는 오히려 환경에 도움이 된다.
처음에 케이블카를 설치할 때 따르는 자연환경이 훼손되겠지만, 케이블카 설치로 사람들이 산 정상에 쉽게 오르게 해주므로 이 과정에서 사람들이 산을 오르려 자연을 파괴하는 것을 줄어들게 되어 오히려 케이블카 설치가 장기적으로 봤을 때 자연 훼손이 적다.
④ 국립공원 내에 케이블카를 설치하게 되면 탐방객의 분산 효과가 발생하여 오히려 자연을 보호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⑤ 케이블카의 이동 코스를 신중하게 결정하고, 친환경 공법을 이용하여 자연훼손을 최소화하면 케이블카는 환경도 지키면서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⑥ 해외 국립공원 케이블카 성공사례를 살펴보면, 알프스의 몽블랑과 일본의 다테야마, 미국의 그랜드티턴 등은 100명에 가까운 인원을 태우는 케이블카를 운영하면서도 자연미가 넘치는 곳으로 인정받는다. 누구나 자연경관을 편하게 볼 수 있고, 야생동물과 인간이 서로 방해 받지 않으면서도 각자의 삶을 가장 가까이서 평화롭게 바라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2)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 반대의견
① 자연환경훼손
- 케이블카를 설치하게 되면 기둥을 세우면서 국립공원 안의 나무와 다른 자연을 파괴한다. 게다가 케이블카에 기둥이 한 두 개가 필요한 것도 아니고 여러 곳에 설치를 해야 하는데 세워지는 콘크리트 기둥들은 나무를 베게하고 동물들이 살 곳을 잃게 한다.
- 국립공원 내에 케이블카 공사를 하는 동안 기계소음 등 각종 굉음으로 인해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동물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 당연하다.
② 자연을 보존하는 방법은 자연 그대로 두어야 한다. 관광수익을 목적으로 케이블카를 설치하면 자연은 벌써 파괴되고 만다.
③ 지역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우리나라 국립공원 중에 설악산과 내장산 국립공원 단 2곳만이 케이블카가 운행되고 있다. 하지만 케이블카 운영으로 인한 수익은 지극히 저조해 거의 적자운영에 가깝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④ 계절적인 요인으로 인해 성수기에는 많이 이용하지만 비수기에는 거의 운행을 하지 않을 정도로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경영상 매우 불리하다.
⑤ 국립공원의 개념을 처음 도입한 미국은 국립공원 안에 케이블카가 한 개도 없다. 지금 해외의 다른 나라들은 새로 설치하기는커녕 있는 것도 없애는 추세이다.
⑥ 안전 위험성
수시로 발생하는 케이블카 정지 사고는 탐방객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최근에는 사망자와 부상자도 다수 발생하였다.
7. 효율적인 국립공원 관리 방안
① 경관생태학적 측면에서 주요서식처의 공간구조 해명
국립공원은 다양한 멸종위기에 놓인 생물종과 독특한 지형·지질의 무생물이 존재하는 우리나라의 최고 자연자원을 가진 곳이다. 다양한 생물종과 멸종위기종의 생존을 위해서는 서식처의 보전과 관리가 매우 절실하다. 따라서 서식처라는 공간을 경관생태학
(자료 : 국립공원관리공단, 2017)
4) 탐방프로그램
< 연도별 탐방프로그램 운영 실적 > (단위:명)
2009
2010
2011
2012
2013
2014
2015
2016
참여인원
423,856
551,796
651,138
762,784
943,807
1,344,823
1,743,611
2,311,354
프로그램
384
381
264
277
287
413
331
334
운영횟수
17,990
18,912
18,563
18,379
21,233
28,406
31,291
33,463
(자료 : 국립공원관리공단, 2017)
< 건강나누리 캠프 실적 > (단위: 명)
2012
2013
2014
2015
2016
참여인원
2,628
3,211
3,360
4,730
4,572
프로그램
11
16
13
12
12
운영횟수
58
70
79
106
109
(자료 : 국립공원관리공단, 2017)
6.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에 대한 찬반의견
1)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 찬성의견
① 지역경제 발전
국립공원 내 케이블카를 설치함으로서 침체되어 있는 지역의 경제를 발전시킬 수 있다. 국립공원의 관광자원 가치를 극대화하여 많은 탐방객을 유인할 수 있어 지역경제에 도움을 주고 신규 일자리도 창출한다.
② 장애인과 노약자들의 인권 존중
장애인들이나 노약자들처럼 산에 오를 수 없는 사람들도 산꼭대기에서 밑을 내려다보며 경치를 감상할 권리가 있다. 자연을 파괴하기 때문에 케이블카의 설치를 반대한다면 이들이 산꼭대기에 오를 수 없을 것이다. 자연도 중요하지만 노약자와 장애인들의 인권과 권리를 존중하는 것도 그만큼 중요하다.
③ 국립공원 내 케이블카 설치는 오히려 환경에 도움이 된다.
처음에 케이블카를 설치할 때 따르는 자연환경이 훼손되겠지만, 케이블카 설치로 사람들이 산 정상에 쉽게 오르게 해주므로 이 과정에서 사람들이 산을 오르려 자연을 파괴하는 것을 줄어들게 되어 오히려 케이블카 설치가 장기적으로 봤을 때 자연 훼손이 적다.
④ 국립공원 내에 케이블카를 설치하게 되면 탐방객의 분산 효과가 발생하여 오히려 자연을 보호하는 효과가 나타난다.
⑤ 케이블카의 이동 코스를 신중하게 결정하고, 친환경 공법을 이용하여 자연훼손을 최소화하면 케이블카는 환경도 지키면서 지역경제를 살릴 수 있는 일석이조의 효과를 가져올 것이다.
⑥ 해외 국립공원 케이블카 성공사례를 살펴보면, 알프스의 몽블랑과 일본의 다테야마, 미국의 그랜드티턴 등은 100명에 가까운 인원을 태우는 케이블카를 운영하면서도 자연미가 넘치는 곳으로 인정받는다. 누구나 자연경관을 편하게 볼 수 있고, 야생동물과 인간이 서로 방해 받지 않으면서도 각자의 삶을 가장 가까이서 평화롭게 바라볼 수 있도록 설계되어 있다.
2)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 반대의견
① 자연환경훼손
- 케이블카를 설치하게 되면 기둥을 세우면서 국립공원 안의 나무와 다른 자연을 파괴한다. 게다가 케이블카에 기둥이 한 두 개가 필요한 것도 아니고 여러 곳에 설치를 해야 하는데 세워지는 콘크리트 기둥들은 나무를 베게하고 동물들이 살 곳을 잃게 한다.
- 국립공원 내에 케이블카 공사를 하는 동안 기계소음 등 각종 굉음으로 인해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동물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칠 것이 당연하다.
② 자연을 보존하는 방법은 자연 그대로 두어야 한다. 관광수익을 목적으로 케이블카를 설치하면 자연은 벌써 파괴되고 만다.
③ 지역경제 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
우리나라 국립공원 중에 설악산과 내장산 국립공원 단 2곳만이 케이블카가 운행되고 있다. 하지만 케이블카 운영으로 인한 수익은 지극히 저조해 거의 적자운영에 가깝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이다.
④ 계절적인 요인으로 인해 성수기에는 많이 이용하지만 비수기에는 거의 운행을 하지 않을 정도로 어려움이 많기 때문에 경영상 매우 불리하다.
⑤ 국립공원의 개념을 처음 도입한 미국은 국립공원 안에 케이블카가 한 개도 없다. 지금 해외의 다른 나라들은 새로 설치하기는커녕 있는 것도 없애는 추세이다.
⑥ 안전 위험성
수시로 발생하는 케이블카 정지 사고는 탐방객들의 안전을 위협하고, 최근에는 사망자와 부상자도 다수 발생하였다.
7. 효율적인 국립공원 관리 방안
① 경관생태학적 측면에서 주요서식처의 공간구조 해명
국립공원은 다양한 멸종위기에 놓인 생물종과 독특한 지형·지질의 무생물이 존재하는 우리나라의 최고 자연자원을 가진 곳이다. 다양한 생물종과 멸종위기종의 생존을 위해서는 서식처의 보전과 관리가 매우 절실하다. 따라서 서식처라는 공간을 경관생태학
키워드
추천자료
모악산에 대하여-전북지역
'차이니즈나이트'를 읽고
청소년권장도서'사랑을주세요'
용평리조트, 휘닉스파크 조사 보고서
샌프란시스코(San Francisco) 관광계획
한 지역의 평생교육 사례를 소계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를 구체적으로 서술
이스라엘의 상무정신, 마사다(MASADA)
한국 스키장의 현황 (용평 리조트 스키장)
통영시 소개, 문화 정책, 문화 관광 자원, 시설, 통영문화재단, 문화 관광, 변화, 특징, 현황...
[기타] 만리장성
쥬크슈피체와 동유럽 4개국 투어
홍콩 자유여행 & 마카오 자유여행 02
[경찰의 교통사고처리] 교통사고(交通事故)의 개념과 특성(특징), 교통사고 유형(종류), 경찰...
[독후감, 서평] 정글만리를 읽고 작성한 감상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