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항공기 시장 동향과 활용사례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무인항공기 시장 동향과 활용사례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미국
1. 드론산업의 발전
2. 드론에 대한 보수적 입장
3. 드론의 활용 예

Ⅲ. 중국
1. 시장 현황
2. 주요 기업 동향 및 사례

IV. 일본
1. Yamaha Motor 社의 농업용 헬기
2. 경제산업성의 원전피해지역 부흥
3. 내각부의 화물 배송

Ⅴ. EU
1. 독일의 DHL 드론 배송서비스
2. 프랑스의 택배드론
3. 독일의 Drix

Ⅵ. 국내 활용사례
1. 개괄
2. 드론 활용 사례

Ⅶ. 참고문헌

본문내용

주도의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드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대표적인 프로젝트는 ‘유로드론(EURO Drone)’으로, 프랑스를 필두로 스웨덴, 이탈리아, 스페인, 스위스, 그리스 기업 등이 참여하고 있다. 동 프로그램은 아하 0.8의 속도, 스텔스 기능, 250kg 이상의 레이저 유도 무기 장착이 가능한 플랫폼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이 외에도 유럽 개별 국가들은 물류 서비스 등에 드론을 활용하고 있는데, 주요 사례는 아래와 같다.
1. 독일의 DHL 드론 배송서비스
독일 DHL 그룹(Deutsche Post DHL)은 2017.3월 몰타에서 열린 최고 경영자회의에서 4차 산업혁명을 주요 아젠다로 다루었다. DHL 측은 향후 특송업계 키워드로 무인항공기, 무인자동차, 로봇, IoT(Internet of Things)를 언급하며, 이와 관련된 기술을 적극적으로 개발 중에 있다고 설명했다. 배종완, “글로벌 특송기업, 물류산업 內 4차산업혁명 ‘선도’”, 『코리아쉬핑가제트』, 2017.6.30., , 검색일: 2017.7.10.
DHL의 파슬콥터
출처: DHL
DHL은 드론 배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지속적 기술 개발을 해나간 끝에, 2014년 9월 자체개발한 파슬콥터(Parcelcopter)를 이용, 독일 북부 노르덴시의 노르트다이흐 항구에서 12km 떨어진 북해 위스트 섬에 의약품을 배송하는 데 성공했다.
DHL 파슬콥터는 인프라가 제대로 갖추어져 있지 않아 일반적인 방법으로 배송이 어렵거나 지나치게 오래 걸리는 경우를 염두에 두고 개발된 해결책이다. DHL 측은 동 드론을 이용하여 도서 및 산간벽지, 오지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삶을 보다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2. 프랑스의 택배드론
드론 시스템 개발 기업인 Atechsys 社는 2014년 12월 자체개발한 지오드론(GeoDrone)을 이용하여 1.2km 떨어진 지점에 배송을 하는데 성공하였다.
지오드론은 4kg 이하, 40cm X 30cm X 20cm 이내의 물품을 배달할 수 있도록 설계되었으며, 도서산각 지역 등 물류 사각지대에 배송하는 데 유용하도록 만들어졌다. 뿐만 아니라, 자동 이륙, 착륙, 회귀 단계 모두 자동화를 이루어 기술적 완성도가 높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정훈 외 1인, op.cit., p.21
3. 독일의 Drix
드론은 이제 해상 분야에서도 이용되기 시작했으며, 2018.1.23일 함부르크에서는 자동항법 드론 Drix가 승무원 없는 신식 운송 수단으로 첫 선을 보였다. 프랑스의 iXBlue에서 제작한 Drix는해상 경제에 이상적으로 이용될 것으로 전망된다.
Drix는 길이 8m, 무게 1.4t의 잠수함을 연상시키는 모양으로, 무역 선박, 군함, 해양 연구 및 연안 부문들 다양하게 활용될 예정이다.
iXBlueL의 Drix
출처: EHA
Ⅵ. 국내 활용사례
1. 개괄
산업통상자원부에 따르면 무인항공 분야 국내 시장은 2011년 2,400만 달러, 2012년 3,000만 달러, 2013년 9,000만 달러로 군사용 중심이기는 하나, 확대 추세에 있다. 향후에도 연평균 2%씩 성장하여 2022년에는 시장규모가 5억 달러를 상회할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드론 시장 규모 및 전망
출처: 산업통상자원부
국내 드론 산업은 대한항공과 한국항공우주산업(KAI)을 중심으로 이루어 지고 있는 군사용 드론산업이 여전히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나, 많은 기업체에서 다양한 용도로 상업용 드론 개발 및 활용을 진행하고 있다.
2. 드론 활용 사례
(가) 드론 활용 신산업분야 시범사업 추진
국토교통부는 2020년까지 드론을 활용한 8대 산업분야 상용화를 목표로 4개 지역(강원 영월, 부산, 대구, 고흥)과 15개 대표사업자를 선정하였다. 시범사업 분야는 물품수송, 산림보호 및 재난감시, 시설물 진단, 국토조사 순찰, 해안 및 접경지역 관리, 무인기 제어, 레저스포츠/농업분야이다.
드론 활용 8대 시범분야 및 참여업체
분야
내용
참여업체
물품수송
화물운반, 구호품·의료품 전달
CJ대한통운, 현대로지스틱스, 대한항공 등
산림보호 및 재난감시
산불예방, 병충해 진단 등
국립산림과학원, 대한항공, 유콘시스템 등
시설물 진단
교량, 철도, 건물, 송전선 진단
유콘시스템, 대한항공, 성우엔지니어링 등
국토조사 순찰
측량, 국토조사, 재난현장 조사
한국국토정보공사, CJ 대한통운, 유콘시스템 등
해안 및 접경지역 관리
불법어로, 해안선 안전 감시
부산대, CJ대한통운, 유콘시스템 등
무인기 제어
통신, 제어, 충돌회피, 식별
KT, 대한항공, 에이알웍스 등
레저스포츠/농업
취미, 게임, 촬영, 광고, 농업
강원정보문화진흥원, 경북대, 성우엔지니어링 등
출처: 국토교통부
국토부는 시범사업자들이 안전교육을 이수하고 배정받은 공역에서 단계적으로 시험비행토록 하고, 실증테스트 및 심화테스트를 통해 검증된 비즈니스 모델이 시장에 도입될 수 있도록 수요처를 매칭하고 운영 인프라를 정비할 계획이다.
(나) 지자체 드론 활용 사례
지자체들은 소방재난, 수색, 지적재조사 등 공공분야 사업을 중심으로 드론을 활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서울시는 소방재난본부에 드론을 배치하고 있으며, 경기도와 대구시 경찰청은 실종자 및 시신 수색에 드론을 투입하고 있다.
지역별 드론 활용사례
지역
활용사례
서울시
- 소방재난본부 119 특수구조단 드론 배치 시범운영
경기도
- 남부지방경찰청, 안산 대부도 시신수색에 드론 투입
- 농업기술원, 과수농가 병해충 방제 드론 개발
강원도
- 도해지적 수치화 사업에 드론 활용 추진
- 한국전력공사 강원지역본부, 배전철탑 항공진단에 드론 활용 실시
충청도
- 한국농어촌공사 청주지사, 효율적 업무개선 방안으로 드론 활용 업무수행
경상도
- 국립종사원 경남지원, 무인항공방제 실시
- 대구지방경찰청, 실종사 수색에 드론 투입
제주도
- 괭생이모자반 유입 해상과 우도면 유채
  • 가격9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8.05.29
  • 저작시기201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5844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