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 교육론] 민요의 특성을 고려한 민요 배우기 - 농요 장례의식요를 중심으로 -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전문학 교육론] 민요의 특성을 고려한 민요 배우기 - 농요 장례의식요를 중심으로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본론
1) 민요 교육의 의의
2) 중․고등학교의 민요 교육 실태
3) <농요>, <장례의식요>를 중심으로 한 학습지도안

3.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거의 유일한 분야이다. 강원도 산골이나 전라도 해안지역을 비롯해, 대도시화 된 곳을 제외한 시골에서는 지금도 사람이 죽으면 상여가 나가는 것이 보통이고 때로 거리가 멀어 상여가 아닌 차량으로 운구를 한다 하더라도 무덤을 다질 때는 전통적인 방법으로 하는 수가 많다. 그리고 이 경우 <장례의식요>는 빠지지 않는다. 현재 실생활에서 민요가 거의 자취를 감추어 가는 마당에 <장례의식요>는 아직까지 생명력을 가지고 불려지는 것이다. <장례의식요>를 통해 잘 드러나는 민요의 특성뿐만 아니라 현재까지도 실제 삶의 현장에서 불려지고 있는 노래라는 점만으로도 <장례의식요>는 가르칠만한 가치가 있는 작품이라 말할 수 있다.
(2) 학습목표
‘모심는 소리’를 통해 우리 조상들의 사상과 정서를 이해할 수 있다.
‘상여소리’를 통해 우리 조상들의 사상과 정서를 이해할 수 있다.
민요의 특징과 가치를 알고 즐겨 감상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민요의 창자가 되어봄으로써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노래에 실어 표현할 수 있다.
(3) 대상학년
본래 이 단원의 학습목표는 중학교 2학년에 설정되어 있다. 하지만 이 같은 목표는 고전문학교육의 궁극적인 목표라고도 볼 수 있는 큰 주제이므로 어느 학년에 설정되어도 무방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또한 두 가지 글 제재가 중학생들이 배우기에는 다소 어렵다고 판단되었기 때문에 고등학교 2학년을 대상으로 수업지도안을 작성하였다.
(4) 학습지도안
<1차시>
단원명
3. 우리 고전의 맛과 멋
(2) 우리 조상의 노래 - 모심는 소리 / 상여소리
대상학년
고등학교 2학년
차시
1/2
학습
목표
‘모심는 소리’를 통해 우리 조상들의 사상과 정서를 이해할 수 있다.
‘상여소리’를 통해 우리 조상들의 사상과 정서를 이해할 수 있다.
민요의 특징과 가치를 알고 즐겨 감상하는 태도를 기를 수 있다.
민요의 창자가 되어봄으로써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노래에 실어 표현할 수 있다.
지도
단계
학습 내용
교수 - 학습 활동
학습자료 및
지도의 유의점
교사 활동
학생 활동
도입
(7분)
동기유발
(3분)
작품소개
(4분)
▶ 지금까지 배운 민요 중 기억나는 것이 있는지, 기억나는 민요는 어떤 내용인지에 관해 아이들의 이야기를 끌어낸다.
▶ 이번 시간에 배울 첫 번째 민요인 ‘모심는 소리’를 아이들에게 소개하고, 가사가 어떤 느낌을 주는지 이야기해 본다.
*기억나는 내용을 자유롭게 이야기한다.
*읽은 후의 느낌을 이야기한다.
교과서
전개
(35분)
<모심는 소리>
감상과
사설 이해
(12분)
▶ 2가지의 <모심는 소리>를 감상해 본다.
(우선 교과서에 실린 노래를 먼저 틀어주고, 이본(異本), 그 후 다시 교과서의 민요 순서로 튼다. 이 때 교과서에 실린 작품을 제외한 나머지 작품은, 사설을 PPT자료로 만들어서 민요를 들을 때 함께 보여준다.) - ①
- 노래 가락이 우리에게 어떤 느낌을 주는지 이야기해 본다.
- 왜 같은 제목인데 사설이 서로 다른지에 대해서 함께 생각하고 논의해 본다.
▶ 교과서의 <모심는 소리> 사설을 학습한다. - ②
- 사용된 어휘(사투리)에 대한 뜻풀이
- <모심는 소리>는 어떤 장단에 맞춰 불렀을까?
- <모심는 소리>는 언제 불렀을까? (가창환경)
- <모심는 소리>는 누가 불렀을까? (향유자)
- <모심는 소리>는 왜 불렀을까? (민요의 기능)
- <모심는 소리>에 담겨있는 우리 조상의 생활 모습은
어떠한가?
*장난치지 말고 진지한 태도로 감상한다.
*서로 다른 민요 사설의 까닭에 대해 생각해 본다.
*교과서에 실린 사설을 보면서 교사가 제시하는 질문을 잘 생각하고 답해본다.
교과서,
PPT 자료, 프로젝션TV,
컴퓨터
<상여소리>
감상과
사설 이해
(10분)
▶ 학생들 중 장례식에 가 본 경험이 있는지, 그래서 교과서에 실린 <상여소리>가 아니라도 이런 노래를 들어본 적이 있는지에 관해서 학생들과 자유롭게 이야기한다.
▶ <상여소리>를 함께 감상해본다.
▶ 교과서의 <상여소리> 사설을 학습한다. - ③
- 사용된 어휘(사투리)에 대한 뜻풀이
- <상여소리>는 어떤 장단에 맞춰 불렀을까?
- <상여소리>에 담겨져 있는 우리 조상들의 삶과 죽음 에 대한 인식이 어떠한지 함께 이야기해 본다.
*교사의 지시를 잘 따라 노래를 감상하고 사설 학습을 한다.
교과서,
PPT 자료, 프로젝션TV,
컴퓨터
<모심는
소리>와
<상여소리> 따라부르기
(5분)
▶ <모심는 소리>와 <상여소리>를 함께 따라 부른다.
- 이 때 간단한 장단을 가르쳐 주고 장단을 치면서
따라 부르게 지도하는 것이 좋다.
*틀릴 것을 겁내지 말고 자신감 있게 따라 부른다.
교과서,
프로젝션TV,
컴퓨터
민요 장르
이해
(8분)
▶ 민요란 무엇인가? 어떤 특징을 가지는가? 등에 대해서 지금까지 <모심는 소리>, <상여소리>를 통해 느꼈던 점을 바탕으로 내용을 정리한다. - ④
(일방적인 내용 제시가 아니라 학생들에게 질문을 해서 답을 유도하도록 한다.)
*<모심는 소리>,
<상여소리>를 통해 배웠던 내용을 토대로 민요장르의 특징을 생각하고 정리한다.
교과서,
학습지
정리
(8분)
학습내용
정리
(2분)
▶ 이번 시간에 배웠던 <모심는 소리>, <상여소리>의 핵심적인 내용과 민요 장르의 특성을 말로 가볍게 정리해준다.
*수업의 내용을 떠올리며 주의 깊게 듣는다.
차시예고
(6분)
▶ 다음 시간 수업을 예고한다.
- 다음시간에 활용할 곡 2가지를 더 튼다.(배경으로 깔고 설명할 것)
- 오늘 들어본 <모심는 소리>, <상여소리>와 이 2곡 중 한 곡을 택하여,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곡에 붙여 볼 것이다.
- ‘학교생활’을 주제로 할 것이니 어떤 내용을 어떤 가락에 맞추어서 쓸 것인지 미리 생각해 올 것.
- 다음시간에는 4명씩 모둠을 지어 앉아있도록 한다.
*나머지 곡들을 잘 듣고 자신이 사용할 곡을 정해보는 것도 좋다.
프로젝션TV,
컴퓨터
심어야 심어주게 심어주게
오종종 에에 줄모루 심어주게
강초에 일일에 한수생하니
강물만 에에 푸르러도 고향 생각
명사야 십리 해당화는
꽃이나 에에 진다고 서러워 마라
넘어가네 에야 넘어가네 넘어가네
돌 넘어가네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8.06.03
  • 저작시기2018.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617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