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획의도
향상방향성
시장분석
기획내용
H-Festival
진행방향
하나 Free 특전
마케팅방안
미디어 활용
AISAS
기간 및 비용
기대효과
문화형성
여행수요 증가
및 매출 증대
In-Bound 확대
브랜드 인지도
향상
향상방향성
시장분석
기획내용
H-Festival
진행방향
하나 Free 특전
마케팅방안
미디어 활용
AISAS
기간 및 비용
기대효과
문화형성
여행수요 증가
및 매출 증대
In-Bound 확대
브랜드 인지도
향상
본문내용
[패키지 VS FIT 속성]
함평나비축제
Since 1999. 올해 16회 째를 맞이한 성공적인 축제
2010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최우수 축제
방문객 수 하루 평균 6만 7천명 이상
-에버랜드 5만 5천명-
입장수입 총 4억1천800만원, 부가적수입 총 6억2천만원
화천 산천어축제
Since 2003. 국내 최대의 겨울축제 2014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대한민국 대표 축제
평균 연간 방문객 100만 명 이상
60 여종의 다양한 프로그램
문화원형의 속성
축제의 본질에 충실하여 기획된 H-Festival
축제는 마당에서 벌이는 잔치처럼 사람들이 모여서 그 사람들과 함께 즐거움을 표출하기 위한 것이 축제.
그 규모가 커져서 지역의 대표축제가 되고 나라의 상징축제가 되는 것은 축제의 방향인 것 이며 궁극적 목적이 되어서는 안될 것.
시장분석
국내 여행업계 시장 점유율 1위의 하나투어 브랜드 파워
-배낭여행성지인 카오산 로드의 장소성
-글로벌 문화유통그룹을 지향하는
하나투어의 미션과 축제라는 콘텐츠가 부합
-기존에 존재 하지 않았던 신선한 콘텐츠
축제의 특성상 기대수익을 구체적으로 산출하는데
어려움
-안전 관리의 어려움. 사고의 위험성 내재
-하나투어와 카오산 로드라는 소재의 연계성 부족
-3가지 부스를 제외한 Sub프로그램 기획 부족
20-30대 자유여행 시장의 증가
-태국 정부 부분적으로 계엄령 완화방안
검토 中
-쏭크란을 제외한 카오산 로드의 놀이 콘텐츠 부재
-연중 관광 최성수기인 7~8월에 개최되는 시기
태국 반정부 시위 장기간 지속에 따른 불 -지역 상권과의 마찰 가능성이 있음
-이미 번화한 카오산 로드의 장소
섭외 과정에 있어 행정상의 제약이
발생 될 우려가 있음
-7~8월은 태국의 우기로 연평균 200mm 정도의 소나기가 내림
함평나비축제
Since 1999. 올해 16회 째를 맞이한 성공적인 축제
2010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최우수 축제
방문객 수 하루 평균 6만 7천명 이상
-에버랜드 5만 5천명-
입장수입 총 4억1천800만원, 부가적수입 총 6억2천만원
화천 산천어축제
Since 2003. 국내 최대의 겨울축제 2014 문화체육관광부 선정 대한민국 대표 축제
평균 연간 방문객 100만 명 이상
60 여종의 다양한 프로그램
문화원형의 속성
축제의 본질에 충실하여 기획된 H-Festival
축제는 마당에서 벌이는 잔치처럼 사람들이 모여서 그 사람들과 함께 즐거움을 표출하기 위한 것이 축제.
그 규모가 커져서 지역의 대표축제가 되고 나라의 상징축제가 되는 것은 축제의 방향인 것 이며 궁극적 목적이 되어서는 안될 것.
시장분석
국내 여행업계 시장 점유율 1위의 하나투어 브랜드 파워
-배낭여행성지인 카오산 로드의 장소성
-글로벌 문화유통그룹을 지향하는
하나투어의 미션과 축제라는 콘텐츠가 부합
-기존에 존재 하지 않았던 신선한 콘텐츠
축제의 특성상 기대수익을 구체적으로 산출하는데
어려움
-안전 관리의 어려움. 사고의 위험성 내재
-하나투어와 카오산 로드라는 소재의 연계성 부족
-3가지 부스를 제외한 Sub프로그램 기획 부족
20-30대 자유여행 시장의 증가
-태국 정부 부분적으로 계엄령 완화방안
검토 中
-쏭크란을 제외한 카오산 로드의 놀이 콘텐츠 부재
-연중 관광 최성수기인 7~8월에 개최되는 시기
태국 반정부 시위 장기간 지속에 따른 불 -지역 상권과의 마찰 가능성이 있음
-이미 번화한 카오산 로드의 장소
섭외 과정에 있어 행정상의 제약이
발생 될 우려가 있음
-7~8월은 태국의 우기로 연평균 200mm 정도의 소나기가 내림
키워드
추천자료
광주, 전남지역의 축제
평생 학습축제와 지역 발전의 관계
지역 축제 답사
충주지역의 세계무술축제에 대한 시민만족도 조사 및 분석
부산지역 축제의 활성화 방안 마케팅 전략 기획서
부산지역 문화축제의 바람직한 방향
지역 축제 활성화 방안 - 부산 자갈치 축제
곡성 멜론 마을 기획(지역 축제 기획)
대구 지역 축제 문화
[음악교육 지역화][음악교육]음악교육의 성격, 음악교육의 목적, 음악교육의 당위성, 음악교...
함평 나비 축제 경제적 효과, 등장배경, 성공 요인, 마케팅 전략, 특징, 중요성, 지역경제 개...
보령 머드 축제의 경제적 효과, 등장배경, 성공 요인, 마케팅 전략, 특징, 중요성, 지역경제 ...
문화 통한 지역개발 성공 사례, 요구, 지역개발 사례, 해양관광, 카지노, 국제 이벤트, 문화...
국내외 자신이 직접 참가했거나 경험했던 지역의 축제에 대해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