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 차
Ⅰ. 한국어의 방언 구획
1. 방언의 개념
2. 한국어의 방언 구획
2.1.1. 전국 단위의 방언구획
2.1.2. 도(道) 단위의 방언구획
Ⅱ. 지역별 방언의 특성
1. 서북 방언
1.1. 음운적 특성
1.2. 문법적 특성
1.3. 어휘적 특성
2. 서남 방언
2.1. 음운적 특성
2.2. 문법적 특성
2.3. 어휘적 특성
3. 동북 방언
3.1. 음운적 특성
3.2. 문법적 특성
3.3. 어휘적 특성
4. 동남 방언
4.1. 음운적 특성
4.2. 문법적 특성
4.3. 어휘적 특성
5. 중부 방언
5.1. 음운적 특성
5.2. 문법적 특성
5.3. 어휘적 특성
6. 제주 방언
6.1. 음운적 특성
6.2. 문법적 특성
6.3. 어휘적 특성
■ 참고문헌
Ⅰ. 한국어의 방언 구획
1. 방언의 개념
2. 한국어의 방언 구획
2.1.1. 전국 단위의 방언구획
2.1.2. 도(道) 단위의 방언구획
Ⅱ. 지역별 방언의 특성
1. 서북 방언
1.1. 음운적 특성
1.2. 문법적 특성
1.3. 어휘적 특성
2. 서남 방언
2.1. 음운적 특성
2.2. 문법적 특성
2.3. 어휘적 특성
3. 동북 방언
3.1. 음운적 특성
3.2. 문법적 특성
3.3. 어휘적 특성
4. 동남 방언
4.1. 음운적 특성
4.2. 문법적 특성
4.3. 어휘적 특성
5. 중부 방언
5.1. 음운적 특성
5.2. 문법적 특성
5.3. 어휘적 특성
6. 제주 방언
6.1. 음운적 특성
6.2. 문법적 특성
6.3. 어휘적 특성
■ 참고문헌
본문내용
중 김공칠(1988)은 방언을 구획하는 경우에 ‘음운, 어휘, 문법’을 포함하는 언어적인 것과 방언의식이 고려되어야 할 것을 강조하고 국어를 일곱 개의 방언으로 나누었다.
ㄱ. 부문별 특성에 의한 구획
a. 낱말적 기준
북부방언 - 평안남북도, 함경남북도
중부방언 - 경기도, 황해도, 충청남북도, 제주도
남부방언 - 전라남북도, 경상남북도, 강원동부
b. 형태음운적 기준
북부방언 : 동북부방언 - 함경남북도, 강원동부
서북부방언 - 평안남북도
중부방언 : 중부방언 - 경기도, 충청남북도, 강원서부
서부방언 - 황해도
남부방언 : 동남부방언 - 경상남북도
서남부방언 - 전라남북도
ㄴ.전체적 기준
동북부방언-함경도와 강원도
서북부방언-평안도방언
중부방언-경기도와 충청도 일부
동남부방언-경상도
서남부방언-전라도와 충청도 일부
서부방언-황해도
제주방언 - 제주도
김공칠은 음운, 말본, 낱말의 특성으로 일차적으로 방언을 구획하고 다시 이들을 종합하여 전체적인 방언 구획을 시도하였다.
이숭녕(1967)은 주로 ‘, , 성조, ’ 의 변화와 ‘ㄷ-, ㄱ-구개음화’ 등 역사적 바탕으로 국어를 여섯 개의 방언으로 분류 하였다.
평안도 방언-황해도 사리원 이북, 강원도 접경 지방
함경도 방언- 함경남북도와 강원도 고성 이북
전라도 방언-전라남북도와 충남 논산, 금산 포함, 소백산맥 서쪽 지역
경상도 방언-경상남북도
중부 방언-황해도 사리원이남, 강원도의 고성이남, 충청남도의 논산, 금산 이북, 충청북도
제주방언 - 제주도
2.1.2. 도(道) 단위의 방언구획
현지 조사를 거쳐 도 단위의 방언구획이 시작된 것은 1960년대에 들어와서 이다.
먼저 경상북도의 방언구획에서 천시권(1965)은 음운, 어휘, 어법을 기준으로 고찰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의문종결어미를 중심으로 방언을 구획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하면서 경상북도의 방언을 세 개의 방언, ⑴ 대구, 경주 중심 방언 , ⑵ 안동, 의성 중심 방언 ,
⑶ 상주, 선산 중심 방언으로 구획하였다.
다음으로 경상남도의 방언구획에서 김영송(1963)은 \'어: 으, 에: 애, ㅅ: ㅆ\'의 대립, \'외, 위\'의 음가, 자음 뒤에서의 이중모음의 실현 등 음운 분야만을 대상으로 통신 조사와 확인 조사에서 수집한 자료로써, 경상남도의 방언을 크게 두 방언, ⑴ 동북방언과 ⑵ 서남방언 으로 구획하였다.
전라남도의 방언구획에서 이돈주(1979)는 방언 조사의 경험을 통하여, 전라남도의 방언을 대체로 세 개의 방언, ⑴ <광산, 담양, 곡성, 화순, 나주, 장성, 함평, 영광, 무안>을 포함하는 방언, ⑵ <보성, 장흥, 강진, 해남, 영암, 완도, 진도, 흑산도>를 포함하는 방언,
⑶ <구례, 광양, 여천, 승주, 고흥>을 포함하는 방언으로 구획될 수 있다고 보았다.
전라북도의 방언구획은 분명하게 이루어진 것이 없다. 그러나 소강춘(1989)은 현지 조사에서 수집된 모음과 관련된 음운 현상을 바탕으로 전라북도를 동쪽과 서쪽으로 구분하는 등어선속도와 남쪽과 북쪽을 구분하는 등어선속도를 제시하고 있다.
충청남도의 방언구획은 전면적인 현지 조사에 의해 이루어진 것은 없다. 다만 도수희(1977)는 충청남도 방언의 음운 변화를 고찰하면서, 충청남도의 방언을 세 개의 방언, ⑴ <서천, 보령, 부여, 청양, 공주, 논산, 연기, 대덕, 금산>과 충청북도 <옥천, 영동 일부>를 포함하는 방언, ⑵ <서산, 당진, 홍성, 예산>을 포함하는 방언, ⑶ <아산, 천원, 천안, 보은> 을 포함하는 방언으로 구획될 수 있다고 보았다.
충청북도의 방언구획에서, 김충회(1990)는 217개의 항목에 대한 현지 조사 자료가 나타내는 \'부분 등어선속\'의 두께에 의하여, 이 방언을 세 개의 방언으로 구획하였다. 즉 충북 동부 방언, 충북 남부 방언, 충북 중부 방언이 그것이다.
강원도의 방언구획에서 이익섭(1981)은 방언을 크게 두 개의 방언, 영동방언과 영서방언으로 구획하였다. 그리고 다시 \'영동방언\'을 4개의 하위방언으로 구획하였다.
함경북도의 방언구획에서 김태균(1986)은 음운 현상과 문법 형태를 기준으로 이 방언을 크게 세 개의 방언, 6읍방언, 4읍방언, 전이 방언으로 구획하였다.
함경남북도의 방언구획에서 정용호(1988)는 이 방언을 크게 두 개의 방언으로 구획하였다. 즉 북부방언과 남부방언이 그것이다. 그리고 \'북부방언\'을 다시 2개의 하위 방언으로 구획했다. 그러면서 종래에 함경도 방언에서 제외했던 함경남도의 <영흥> 이남 지역을 함경도 방언에 포함해서 할 것을 주장했다.
끝으로 제주도의 방언구획에서, 성낙수(1992)는 69개의 어휘에 대한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이 방언을 두 개의 방언, 북제주군의와 남제주군의를 포함하는 방언과 그 밖의 지언을 포함하는 방언으로 구획하였다.
Ⅱ. 지역별 방언의 특성
1. 서북 방언
평안남북도 전역에서 쓰이는, 국어 대방언권의 하나. 황해도의 멸악산맥 이북 지역과 안악·은율·송화·신천 등 서북 해안 지역은 이 방언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평안북도 후창의 동부와 평안남도 양덕은 동북 방언의 영향이 현저하다.
1.1. 음운적 특성
이 방언은 19개의 자음(‘ㅂ, ㅍ, ㅃ, ㅁ ; ㄷ, ㅌ, ㄸ, ㄴ, ㅅ, ㅆ, ㄹ ; ㅈ, ㅊ, ㅉ; ㄱ, ㅋ, ㄲ, ㅇ ; ㅎ’)과 2개의 활음(‘w, j’)과 6개의 단모음(‘ㅣ, ㅔ, ㅐ, ㅜ, ㅗ, ㅏ’)과 10개의 이중 모음(‘ㅖ, ㅒ, ㅑ, ㅠ, ㅛ ; ㅟ, ㅞ, ㅙ, ㅝ, ㅘ’)을 가진다. 중부 방언에서 ‘ㅜ’와 대립을 이루는 ‘ㅡ, ㅗ’와 대립을 이루는 ‘ㅓ’는 모두 원순 모음인 ‘ㅜ’와 ‘ㅗ’에 합류되었다. 음운 면에서 이 방언이 가지고 있는 특징은
① 자음 목록을 구성하는 자음 중 일반적으로 국어에서 ‘치경음’과 ‘경구개음’에 속하는 ‘ㄷ(t), ㅌ(th), ㄸ(t\')’ 등과 ‘ㅈ(), ㅊ(h), ㅉ(\')’이 이 방언에서 각각 ‘치음(‘ㄷ(), ㅌ(h), ㄸ(\')’ 등)’과 ‘치조음(‘ㅈ(), ㅊ(h), ㅉ(\')’)’으로 소리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는 구개음화가 실현되지 않는다.
예> 텬하(천하), 듕국(중국),
ㄱ. 부문별 특성에 의한 구획
a. 낱말적 기준
북부방언 - 평안남북도, 함경남북도
중부방언 - 경기도, 황해도, 충청남북도, 제주도
남부방언 - 전라남북도, 경상남북도, 강원동부
b. 형태음운적 기준
북부방언 : 동북부방언 - 함경남북도, 강원동부
서북부방언 - 평안남북도
중부방언 : 중부방언 - 경기도, 충청남북도, 강원서부
서부방언 - 황해도
남부방언 : 동남부방언 - 경상남북도
서남부방언 - 전라남북도
ㄴ.전체적 기준
동북부방언-함경도와 강원도
서북부방언-평안도방언
중부방언-경기도와 충청도 일부
동남부방언-경상도
서남부방언-전라도와 충청도 일부
서부방언-황해도
제주방언 - 제주도
김공칠은 음운, 말본, 낱말의 특성으로 일차적으로 방언을 구획하고 다시 이들을 종합하여 전체적인 방언 구획을 시도하였다.
이숭녕(1967)은 주로 ‘, , 성조, ’ 의 변화와 ‘ㄷ-, ㄱ-구개음화’ 등 역사적 바탕으로 국어를 여섯 개의 방언으로 분류 하였다.
평안도 방언-황해도 사리원 이북, 강원도 접경 지방
함경도 방언- 함경남북도와 강원도 고성 이북
전라도 방언-전라남북도와 충남 논산, 금산 포함, 소백산맥 서쪽 지역
경상도 방언-경상남북도
중부 방언-황해도 사리원이남, 강원도의 고성이남, 충청남도의 논산, 금산 이북, 충청북도
제주방언 - 제주도
2.1.2. 도(道) 단위의 방언구획
현지 조사를 거쳐 도 단위의 방언구획이 시작된 것은 1960년대에 들어와서 이다.
먼저 경상북도의 방언구획에서 천시권(1965)은 음운, 어휘, 어법을 기준으로 고찰하였으나, 최종적으로는 의문종결어미를 중심으로 방언을 구획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이라고 하면서 경상북도의 방언을 세 개의 방언, ⑴ 대구, 경주 중심 방언 , ⑵ 안동, 의성 중심 방언 ,
⑶ 상주, 선산 중심 방언으로 구획하였다.
다음으로 경상남도의 방언구획에서 김영송(1963)은 \'어: 으, 에: 애, ㅅ: ㅆ\'의 대립, \'외, 위\'의 음가, 자음 뒤에서의 이중모음의 실현 등 음운 분야만을 대상으로 통신 조사와 확인 조사에서 수집한 자료로써, 경상남도의 방언을 크게 두 방언, ⑴ 동북방언과 ⑵ 서남방언 으로 구획하였다.
전라남도의 방언구획에서 이돈주(1979)는 방언 조사의 경험을 통하여, 전라남도의 방언을 대체로 세 개의 방언, ⑴ <광산, 담양, 곡성, 화순, 나주, 장성, 함평, 영광, 무안>을 포함하는 방언, ⑵ <보성, 장흥, 강진, 해남, 영암, 완도, 진도, 흑산도>를 포함하는 방언,
⑶ <구례, 광양, 여천, 승주, 고흥>을 포함하는 방언으로 구획될 수 있다고 보았다.
전라북도의 방언구획은 분명하게 이루어진 것이 없다. 그러나 소강춘(1989)은 현지 조사에서 수집된 모음과 관련된 음운 현상을 바탕으로 전라북도를 동쪽과 서쪽으로 구분하는 등어선속도와 남쪽과 북쪽을 구분하는 등어선속도를 제시하고 있다.
충청남도의 방언구획은 전면적인 현지 조사에 의해 이루어진 것은 없다. 다만 도수희(1977)는 충청남도 방언의 음운 변화를 고찰하면서, 충청남도의 방언을 세 개의 방언, ⑴ <서천, 보령, 부여, 청양, 공주, 논산, 연기, 대덕, 금산>과 충청북도 <옥천, 영동 일부>를 포함하는 방언, ⑵ <서산, 당진, 홍성, 예산>을 포함하는 방언, ⑶ <아산, 천원, 천안, 보은> 을 포함하는 방언으로 구획될 수 있다고 보았다.
충청북도의 방언구획에서, 김충회(1990)는 217개의 항목에 대한 현지 조사 자료가 나타내는 \'부분 등어선속\'의 두께에 의하여, 이 방언을 세 개의 방언으로 구획하였다. 즉 충북 동부 방언, 충북 남부 방언, 충북 중부 방언이 그것이다.
강원도의 방언구획에서 이익섭(1981)은 방언을 크게 두 개의 방언, 영동방언과 영서방언으로 구획하였다. 그리고 다시 \'영동방언\'을 4개의 하위방언으로 구획하였다.
함경북도의 방언구획에서 김태균(1986)은 음운 현상과 문법 형태를 기준으로 이 방언을 크게 세 개의 방언, 6읍방언, 4읍방언, 전이 방언으로 구획하였다.
함경남북도의 방언구획에서 정용호(1988)는 이 방언을 크게 두 개의 방언으로 구획하였다. 즉 북부방언과 남부방언이 그것이다. 그리고 \'북부방언\'을 다시 2개의 하위 방언으로 구획했다. 그러면서 종래에 함경도 방언에서 제외했던 함경남도의 <영흥> 이남 지역을 함경도 방언에 포함해서 할 것을 주장했다.
끝으로 제주도의 방언구획에서, 성낙수(1992)는 69개의 어휘에 대한 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이 방언을 두 개의 방언, 북제주군의와 남제주군의를 포함하는 방언과 그 밖의 지언을 포함하는 방언으로 구획하였다.
Ⅱ. 지역별 방언의 특성
1. 서북 방언
평안남북도 전역에서 쓰이는, 국어 대방언권의 하나. 황해도의 멸악산맥 이북 지역과 안악·은율·송화·신천 등 서북 해안 지역은 이 방언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평안북도 후창의 동부와 평안남도 양덕은 동북 방언의 영향이 현저하다.
1.1. 음운적 특성
이 방언은 19개의 자음(‘ㅂ, ㅍ, ㅃ, ㅁ ; ㄷ, ㅌ, ㄸ, ㄴ, ㅅ, ㅆ, ㄹ ; ㅈ, ㅊ, ㅉ; ㄱ, ㅋ, ㄲ, ㅇ ; ㅎ’)과 2개의 활음(‘w, j’)과 6개의 단모음(‘ㅣ, ㅔ, ㅐ, ㅜ, ㅗ, ㅏ’)과 10개의 이중 모음(‘ㅖ, ㅒ, ㅑ, ㅠ, ㅛ ; ㅟ, ㅞ, ㅙ, ㅝ, ㅘ’)을 가진다. 중부 방언에서 ‘ㅜ’와 대립을 이루는 ‘ㅡ, ㅗ’와 대립을 이루는 ‘ㅓ’는 모두 원순 모음인 ‘ㅜ’와 ‘ㅗ’에 합류되었다. 음운 면에서 이 방언이 가지고 있는 특징은
① 자음 목록을 구성하는 자음 중 일반적으로 국어에서 ‘치경음’과 ‘경구개음’에 속하는 ‘ㄷ(t), ㅌ(th), ㄸ(t\')’ 등과 ‘ㅈ(), ㅊ(h), ㅉ(\')’이 이 방언에서 각각 ‘치음(‘ㄷ(), ㅌ(h), ㄸ(\')’ 등)’과 ‘치조음(‘ㅈ(), ㅊ(h), ㅉ(\')’)’으로 소리난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는 구개음화가 실현되지 않는다.
예> 텬하(천하), 듕국(중국),
키워드
추천자료
조손가정 일반적 배경, 이론적 배경
인지발달이론의 일반적 특징과는 다른 도덕성 발달이론의 독특한 성격을 제시하고, Kohlberg...
[아동발달] 유아기의 정서발달 - 정서의 개념, 정서발달의 이해, 정서의 일반적 특징, 정서발...
[아동발달] 유아기의 정서발달 - 정서발달의 이해, 정서의 일반적 특징, 정서발달 이론(학습...
[아동발달] 유아기의 정서발달 - 정서발달의 이해, 정서의 일반적 특징, 정서발달 이론(학습...
학령전기 아동의 발달 특성, 학령전기에 학대나 방임으로 인한 문제증상과 일반적인 징후, 아...
[외국어로서의한국어이해교육론] Q. 한국어 듣기에서 듣기를 어렵게 하는 일반적인 요소에는 ...
[사회복지실천론] 통합적 접근의 등장배경을 설명하고 통합적 접근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일...
사회복지실천론_통합적 접근의 등장배경을 설명하고 통합적 접근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일반...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개론-한국어 발음 교육에서 기존 이론이나 교재에서의 자모의 제시 순...
[귀인] 귀인의 일반적 특성, 귀인이론, 귀인에서의 편향들
외국어로서의한국어이해교육론)‘실제성’있는 듣기 자료에 대한 이론을 검토하고, 한국어 숙달...
[학교사회복지의 이론적 관점] 학교사회복지실천의 일반체계적 관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재론)‘세종 한국어’시리즈 중 한 권을 선택하여 언어학 이론의 관점과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