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논의의 필요성
Ⅱ. 유럽 재정위기의 의미와 원인 1. 유럽 재정위기의 의미
2. 유럽 재정위기의 배경 및 원인
Ⅲ. 유럽 재정위기의 영향
1. 실물경로를 통해 미치는 영향
2. 금융경로에 따른 영향
Ⅳ. 유럽 재정위기에 대한 대응방안
Ⅴ. 참고문헌
Ⅱ. 유럽 재정위기의 의미와 원인 1. 유럽 재정위기의 의미
2. 유럽 재정위기의 배경 및 원인
Ⅲ. 유럽 재정위기의 영향
1. 실물경로를 통해 미치는 영향
2. 금융경로에 따른 영향
Ⅳ. 유럽 재정위기에 대한 대응방안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따라 한국의 경제에 미칠 영향으로 가장 먼저 이야기할 수 있는 것은 유럽 투자 익스포저 영역이다. 특히 남유럽 재정위기국의 경우 국가 부도나 유로존 탈퇴의 가능성마저 이야기되고 있어 이들에 대한 익스포저는 상당 부분 부실화 될 수밖에 없다는 점에서 고려할만 하다. 하지만 유럽 익스포저의 상당 부분이 현지에 진출한 한국기업에 대한 대출 또는 선박수출 보증금 등의 형태와 같이 안정적인 투자인 것으로 추정되어 리스크의 크기 자체는 크지 않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이보다 중요한 영향은 바로 유럽자금의 이탈을 통한 국내 은행권의 외화유동성의 악화를 이야기할 수 있다. 유럽계 은행들의 PIIGS 국가 대출규모의 경우 전체 대출의 13%를 상회하는데 만약 유럽 은행들이 재정위기의 우려로 인하여 대거 대출금 회수에 들어가게 된다면 국내 은행권의 외화유동성이 악화되게 되고 유럽계 은행의 높은 레버리지 비율 역시 대거 자금유츨을 초래할 수 있다. 2012년 상반기 기준 한국의 주식시장에서 유럽계 지분의 경우 외국인 전체 지분의 약 30%를 차지하고 채권시장에서는 약 29%를 차지할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유럽계 자금이 대거 이탈하게 된다면 한국의 금융시장 역시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Ⅳ. 유럽 재정위기에 대한 대응방안
위와 같은 유럽 재정위기에 따른 한국에의 부정적 영향에 대응하기 위한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대표적인 것을 이야기하자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할 것은 세계경제의 장기 저성장을 대비하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의 경우 유럽이나 중국 등과 같이 기존에 큰 시장을 가지고 수출액 비중에 있어 큰 파이를 차지하던 국가 외에도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동아시아 역내 교역비중을 증대시키고 아프리카 등 새로운 신흥시장을 개척하여 유럽 재정위기와 경기침체에 따른 수출 감소 등의 실무경제의 악영향을 극복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수출 규모가 큰 해외플랜트 수출을 추진하거나 획기적 투자환경의 개선으로 해외한국투자기업의 귀국 등을 도모하여 투자증가를 유도하고 획기적인 서비스부문에 대한 규제완화를 통해 보다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을 육성하여 내수 비중을 제고하는 것 역시 좋은 대응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외화 유출 등 금융경로를 통한 영향도 역시 고려해야 한다. 위기가 악화될 시 약 2,386억 원의 자금 유출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해 외환보유액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한 것이다. 재정위기의 해결이 지연되게 된다면 국제금융시장의 외화자금시장 여건이 더욱 악화될 개연성이 크므로 신규 국부펀드 등을 통하여 제 2선 외화 유동선을 확보하고 해외투자자산의 회수를 통한 대응과 함께 필요시 한미빔화스윕의 체결 등을 통해 외화유동성을 확보하는 방식의 대응이 필요한 것이다.
Ⅴ. 참고문헌
김태준, 『유럽 재정위기 전망과 대응방안』, 2011.
김한수, 『유럽 재정위기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2012.
송원근, 『유럽 재정위기 Monitoring』, 2012.
이보다 중요한 영향은 바로 유럽자금의 이탈을 통한 국내 은행권의 외화유동성의 악화를 이야기할 수 있다. 유럽계 은행들의 PIIGS 국가 대출규모의 경우 전체 대출의 13%를 상회하는데 만약 유럽 은행들이 재정위기의 우려로 인하여 대거 대출금 회수에 들어가게 된다면 국내 은행권의 외화유동성이 악화되게 되고 유럽계 은행의 높은 레버리지 비율 역시 대거 자금유츨을 초래할 수 있다. 2012년 상반기 기준 한국의 주식시장에서 유럽계 지분의 경우 외국인 전체 지분의 약 30%를 차지하고 채권시장에서는 약 29%를 차지할 정도로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러한 유럽계 자금이 대거 이탈하게 된다면 한국의 금융시장 역시 큰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Ⅳ. 유럽 재정위기에 대한 대응방안
위와 같은 유럽 재정위기에 따른 한국에의 부정적 영향에 대응하기 위한 방식은 여러 가지가 있을 수 있지만 대표적인 것을 이야기하자면 다음과 같다. 우선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할 것은 세계경제의 장기 저성장을 대비하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의 경우 유럽이나 중국 등과 같이 기존에 큰 시장을 가지고 수출액 비중에 있어 큰 파이를 차지하던 국가 외에도 세계에서 가장 역동적으로 성장하고 있는 동아시아 역내 교역비중을 증대시키고 아프리카 등 새로운 신흥시장을 개척하여 유럽 재정위기와 경기침체에 따른 수출 감소 등의 실무경제의 악영향을 극복해야 한다.
뿐만 아니라 수출 규모가 큰 해외플랜트 수출을 추진하거나 획기적 투자환경의 개선으로 해외한국투자기업의 귀국 등을 도모하여 투자증가를 유도하고 획기적인 서비스부문에 대한 규제완화를 통해 보다 고부가가치 서비스 산업을 육성하여 내수 비중을 제고하는 것 역시 좋은 대응방안이라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외화 유출 등 금융경로를 통한 영향도 역시 고려해야 한다. 위기가 악화될 시 약 2,386억 원의 자금 유출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므로 이에 대응하기 위해 외환보유액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한 것이다. 재정위기의 해결이 지연되게 된다면 국제금융시장의 외화자금시장 여건이 더욱 악화될 개연성이 크므로 신규 국부펀드 등을 통하여 제 2선 외화 유동선을 확보하고 해외투자자산의 회수를 통한 대응과 함께 필요시 한미빔화스윕의 체결 등을 통해 외화유동성을 확보하는 방식의 대응이 필요한 것이다.
Ⅴ. 참고문헌
김태준, 『유럽 재정위기 전망과 대응방안』, 2011.
김한수, 『유럽 재정위기가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 2012.
송원근, 『유럽 재정위기 Monitoring』, 2012.
추천자료
국민건강보험제도 연혁, 국민건강보험법 특성, 의료보험 본질, 지역가입자 보험료부과체계와 ...
남유럽 재정위기와 유로화의 전망
경제학개론-소비자물가지수를 설명하고, 측정상의 문제점을 설명.
[그리스재정위기] 그리스재정위기의 원인과 영향 및 대책과 우리의 대응방안-그리스디폴트, ...
급증하는 국가부채의 의미와 진단 -‘한국의 국가부채문제 원인과 현황, 진단’
남유럽 재정위기, 국가 재정건전성에 관하여
서브프라임 모기지 사태와 엔고의 연관성 -이에 따른 세계 경제의 파급효과 (서브프라임사태,...
2013년 한국경제상황
[유럽의 이해] 유럽의 재정위기와 한국의 대응방안
유로존_ 유로존의목적효과,유로존재정위기원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