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본문내용
문화 주체적 인식
강수: 외교문서(답설인귀서), 청방인문서
설총: 신문왕 참모, 이두 정리, 화왕계 저술(유교적 합리주의), 간신을 멀리하고 도덕 강조
최치원: 빈공과, 토황소격문, 개혁안10여조(수용X), 계원필경, 4산비명, 제왕연대력
법장화상전, 난랑비서문(화랑도, 3교 회통 사상)
고분
-고구려: 돌무지무덤(장군총, 국내성, 집안현 일대, 벽화x)→ 굴식돌방무덤(벽화, 평양)
백제: 한성: 계단식 돌무지 무덤(석촌동 고분→고구려의 영향, 온조설화)
웅진: 굴식돌방무덤, 벽돌무덤(무령왕릉-7호분/양나라, 남조의 영향, 일본 금송 제작, 벽화x) 6호분 벽화o
공주 송산리 고분(1~5호분:굴식돌방무덤, 6,7호분:벽돌무덤)
사비: 굴식돌방무덤(능산리 고분)
신라: 돌무지 덧널무덤(천마총, 목각, 벽화x) → 화장(불교)
→ 굴식돌방무덤(둘레돌, 12지신상, 규모 작아짐)
(돌무지 덧널무덤은 도굴 어렵다, 벽화x)
발해: 정혜공주묘(굴식돌방무덤, 모줄임구조-고구려 영향, 육정산 고분 동모산, 돌사자상)
정효공주묘(벽돌무덤-당과 고구려 영향, 묘지와 벽화, 용두산 고분 중경)
당(고분), 고구려(천장), 씨름도/수렵도 등 벽화
*사신도: 도교, 고구려 강서대묘와 백제 송산리고분(벽돌), 능산리고분
탑
-백제: 익산 미륵사지 석탑(해체 과정에서 사리호와 사리봉안기 발견),
부여 정림사지 5층탑
신라: 분황사 모전석탑(석재를 벽돌 모양), 황룡사 9층 목탑(몽골 침입 소실)
통일신라: (대부분 3층탑)
감은사지 3층탑(장중함), 석가탑(이중기단 위에 3층으로 몸체), 다보탑,
양양 진전사지 3층탑(기단과 탑신에 불상을 부조)
승탑(선종 퍼지면서 탑비 많음, 쌍봉사 철감선사 승탑)
발해: 영광탑(벽돌탑, 석탑x)
공예
-삼국시대: 연가 7년명 금동 여래 입상(고구려, 북중국 영향)
서산 마애 삼존불(백제, 미소)
경주 배리석불 입상(신라)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공통
통일신라: 석굴암 본존불(균형, 사실적), 불국사 석등, 법주사 쌍사자 석등
상원사 종(현존 최고 범종), 성덕대왕 신종
발해: 이불병좌상, 벽돌과 기와무늬(고구려), 석등
건축물
-백제: 미륵사(익산, 무왕, 최대규모, 목탑=중앙 과 석탑-동/서)
신라: 황룡사(진흥왕, 9층 목탑은 선덕여왕→자장법사)
통일신라: 불국사(청운교, 백운교, 석가탑, 다보탑 → 경덕왕때 김대성)
석굴암(인공 석굴 사원, 본존불, 나한/보살상)
발해: 상경성(장안성 모방-주작대로, 온돌장치-고구려 영향)
과학기술
-천문학: 고구려(천문도), 백제(역박사), 신라(첨성대) 삼국사기에 천문관측 기록
금속공예: 금동대향로와 칠지도(백제), 성덕대왕 신종(경덕왕~혜공왕)
상원사 동종(성덕왕, 현존 가장 오래됨)
목판인쇄술: 무구정광대다라니경(현존 최고 목판인쇄술, 석가탑에서 발견)
-글씨: 김생(신라)
그림: 고분벽화, 천마도, 솔거(화가)
음악: 삼대목(향가집, 진성여왕때 위홍과 대구 화상이 편찬),
음악가→백결선생(신라), 왕산악(고구려), 우륵(가야) 발해문학:다듬이소리(양태사)
일본
-고구려: 담징(종이와 먹 제조방법, 호류사 금당벽화)
혜자(쇼토쿠 태자 스승), 타카마스 고분벽화(수산리 벽화의 영향)
혜관(일본 삼론종의 시조)
백제: 아직기와 왕인(근초고왕, 논어와 천자문), 노리사치계(성왕, 불경과 불상)
무령왕때 단양이와 고안무(유학), 고류사 미륵반가사유상, 호류사 백제관음상
신라: 배 기술, 제방(한인의 연못)
가야: 스에키토기(수레 토기, 오름가마 기술)
통일신라: 불교(원효)과 유교(강수/설총)문화 → 하쿠호 문화 심상의 화엄사상→ 일본
(아스카 문화는 삼국시대에서 영향, (6c~7c)
*삼국과 서역의 교류→우즈베키스탄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고구려 사신)
고구려 고분벽화(씨름도에 서역 인물)
신라 고분에서 유리그릇, 금제 장식
고려
-왕건: 나주(금성 점령), 광평성 시중, 궁예 촉출, 고려 건국(918), 송악에 도읍
위기→ 927년 공산전투(대구) 패배(신숭겸, 김락 전사)
친신라 정책, 후백제와 대립→ 930년 고창전투 이후 우세 (안동 호족 지원, 유금필)
-발해유민 포용(934)→ 신라 항복(935), 견훤 귀부→후백제 멸망(936)
고려 초기 (918~1018)
-태조 : 취민유도(조세 감면, 조세거둘 때 법도), 흑창(진대기관, 성종때 의창)
연분전(공신에게 토지), 정략결혼, 기인제도, 사심관제도(최초 경순왕 김부),
사성정책(왕씨), 북진정책(서경 중시, 분사제도, 청천강~영흥 국경선)
훈요 10조, ‘정계’,‘계백료서 반포, 연호(천수)
광종: 노비안검법(노비를 양인으로), 과거제도 실시(쌍기가 건의), 공복제도 마련(자단비녹)
칭제건원(연호-광덕, 준풍)
성종: 문물제도 완성, 최승로의 시무 28조 수용(유교 정치 이념 확립)
2성 6부 중앙 관제, 12목 설치(수령 파견) 향리제도 마련(호장, 부호장), 노비환천법
10도, 국자감 설치, 12목에 경학박사/의학박사 파견
경종: 시정 전시과 제도 실시
정종: 왕규의 난 진압, 서경 천도 계획 추진, 광군사 설치(거란 침입 방지)
-분사제도: 서경을 2도읍으로, 독립정 행정 기구 둠 (ex. 개경 비서성- 서경 수서원)
훈요10조: 2조(비보사찰 건립) 4조(거란 배척), 5조(서경 중시), 6조(불교 행사 중시)
최승로 시무 28조: 12목에 지방관 파견(고려 최초), 중국 모방 비판(자주적/주체적 개혁)
불교행사 축소 건의(연등회 팔관회 현종 때 부활), 귀족/공신 우대
불교 한계 지적하고 유교 중시, 광종 비판
고려 중기 (1018~1170 문숙예인)
-문벌귀족 사회 (거란 전쟁 후 100년 평화 시대), 유력 귀족 가문이 과거와 음서 독점,
공음전 세습(5품 이상 지급)
-문종: 경정 전시과, 남경 설치→3경제, 문벌 귀족 사회 성립
숙종: 화폐 주조, 별무반 조직(정벌x), 남경 개발(김위제)
예종: 윤관의 여진 정벌(동북9성, 척준경), 관학 진흥책(과거전문반 7재, 양현고)
여진 정벌했으나 금나라 부활
이자겸의 난(1126)
-경원 이씨, 반란→척준경이 이자겸 제거(인종의 설득)→척준경 촉출(정지상의 탄핵)
지배층 분열,
강수: 외교문서(답설인귀서), 청방인문서
설총: 신문왕 참모, 이두 정리, 화왕계 저술(유교적 합리주의), 간신을 멀리하고 도덕 강조
최치원: 빈공과, 토황소격문, 개혁안10여조(수용X), 계원필경, 4산비명, 제왕연대력
법장화상전, 난랑비서문(화랑도, 3교 회통 사상)
고분
-고구려: 돌무지무덤(장군총, 국내성, 집안현 일대, 벽화x)→ 굴식돌방무덤(벽화, 평양)
백제: 한성: 계단식 돌무지 무덤(석촌동 고분→고구려의 영향, 온조설화)
웅진: 굴식돌방무덤, 벽돌무덤(무령왕릉-7호분/양나라, 남조의 영향, 일본 금송 제작, 벽화x) 6호분 벽화o
공주 송산리 고분(1~5호분:굴식돌방무덤, 6,7호분:벽돌무덤)
사비: 굴식돌방무덤(능산리 고분)
신라: 돌무지 덧널무덤(천마총, 목각, 벽화x) → 화장(불교)
→ 굴식돌방무덤(둘레돌, 12지신상, 규모 작아짐)
(돌무지 덧널무덤은 도굴 어렵다, 벽화x)
발해: 정혜공주묘(굴식돌방무덤, 모줄임구조-고구려 영향, 육정산 고분 동모산, 돌사자상)
정효공주묘(벽돌무덤-당과 고구려 영향, 묘지와 벽화, 용두산 고분 중경)
당(고분), 고구려(천장), 씨름도/수렵도 등 벽화
*사신도: 도교, 고구려 강서대묘와 백제 송산리고분(벽돌), 능산리고분
탑
-백제: 익산 미륵사지 석탑(해체 과정에서 사리호와 사리봉안기 발견),
부여 정림사지 5층탑
신라: 분황사 모전석탑(석재를 벽돌 모양), 황룡사 9층 목탑(몽골 침입 소실)
통일신라: (대부분 3층탑)
감은사지 3층탑(장중함), 석가탑(이중기단 위에 3층으로 몸체), 다보탑,
양양 진전사지 3층탑(기단과 탑신에 불상을 부조)
승탑(선종 퍼지면서 탑비 많음, 쌍봉사 철감선사 승탑)
발해: 영광탑(벽돌탑, 석탑x)
공예
-삼국시대: 연가 7년명 금동 여래 입상(고구려, 북중국 영향)
서산 마애 삼존불(백제, 미소)
경주 배리석불 입상(신라)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공통
통일신라: 석굴암 본존불(균형, 사실적), 불국사 석등, 법주사 쌍사자 석등
상원사 종(현존 최고 범종), 성덕대왕 신종
발해: 이불병좌상, 벽돌과 기와무늬(고구려), 석등
건축물
-백제: 미륵사(익산, 무왕, 최대규모, 목탑=중앙 과 석탑-동/서)
신라: 황룡사(진흥왕, 9층 목탑은 선덕여왕→자장법사)
통일신라: 불국사(청운교, 백운교, 석가탑, 다보탑 → 경덕왕때 김대성)
석굴암(인공 석굴 사원, 본존불, 나한/보살상)
발해: 상경성(장안성 모방-주작대로, 온돌장치-고구려 영향)
과학기술
-천문학: 고구려(천문도), 백제(역박사), 신라(첨성대) 삼국사기에 천문관측 기록
금속공예: 금동대향로와 칠지도(백제), 성덕대왕 신종(경덕왕~혜공왕)
상원사 동종(성덕왕, 현존 가장 오래됨)
목판인쇄술: 무구정광대다라니경(현존 최고 목판인쇄술, 석가탑에서 발견)
-글씨: 김생(신라)
그림: 고분벽화, 천마도, 솔거(화가)
음악: 삼대목(향가집, 진성여왕때 위홍과 대구 화상이 편찬),
음악가→백결선생(신라), 왕산악(고구려), 우륵(가야) 발해문학:다듬이소리(양태사)
일본
-고구려: 담징(종이와 먹 제조방법, 호류사 금당벽화)
혜자(쇼토쿠 태자 스승), 타카마스 고분벽화(수산리 벽화의 영향)
혜관(일본 삼론종의 시조)
백제: 아직기와 왕인(근초고왕, 논어와 천자문), 노리사치계(성왕, 불경과 불상)
무령왕때 단양이와 고안무(유학), 고류사 미륵반가사유상, 호류사 백제관음상
신라: 배 기술, 제방(한인의 연못)
가야: 스에키토기(수레 토기, 오름가마 기술)
통일신라: 불교(원효)과 유교(강수/설총)문화 → 하쿠호 문화 심상의 화엄사상→ 일본
(아스카 문화는 삼국시대에서 영향, (6c~7c)
*삼국과 서역의 교류→우즈베키스탄 아프라시압 궁전 벽화(고구려 사신)
고구려 고분벽화(씨름도에 서역 인물)
신라 고분에서 유리그릇, 금제 장식
고려
-왕건: 나주(금성 점령), 광평성 시중, 궁예 촉출, 고려 건국(918), 송악에 도읍
위기→ 927년 공산전투(대구) 패배(신숭겸, 김락 전사)
친신라 정책, 후백제와 대립→ 930년 고창전투 이후 우세 (안동 호족 지원, 유금필)
-발해유민 포용(934)→ 신라 항복(935), 견훤 귀부→후백제 멸망(936)
고려 초기 (918~1018)
-태조 : 취민유도(조세 감면, 조세거둘 때 법도), 흑창(진대기관, 성종때 의창)
연분전(공신에게 토지), 정략결혼, 기인제도, 사심관제도(최초 경순왕 김부),
사성정책(왕씨), 북진정책(서경 중시, 분사제도, 청천강~영흥 국경선)
훈요 10조, ‘정계’,‘계백료서 반포, 연호(천수)
광종: 노비안검법(노비를 양인으로), 과거제도 실시(쌍기가 건의), 공복제도 마련(자단비녹)
칭제건원(연호-광덕, 준풍)
성종: 문물제도 완성, 최승로의 시무 28조 수용(유교 정치 이념 확립)
2성 6부 중앙 관제, 12목 설치(수령 파견) 향리제도 마련(호장, 부호장), 노비환천법
10도, 국자감 설치, 12목에 경학박사/의학박사 파견
경종: 시정 전시과 제도 실시
정종: 왕규의 난 진압, 서경 천도 계획 추진, 광군사 설치(거란 침입 방지)
-분사제도: 서경을 2도읍으로, 독립정 행정 기구 둠 (ex. 개경 비서성- 서경 수서원)
훈요10조: 2조(비보사찰 건립) 4조(거란 배척), 5조(서경 중시), 6조(불교 행사 중시)
최승로 시무 28조: 12목에 지방관 파견(고려 최초), 중국 모방 비판(자주적/주체적 개혁)
불교행사 축소 건의(연등회 팔관회 현종 때 부활), 귀족/공신 우대
불교 한계 지적하고 유교 중시, 광종 비판
고려 중기 (1018~1170 문숙예인)
-문벌귀족 사회 (거란 전쟁 후 100년 평화 시대), 유력 귀족 가문이 과거와 음서 독점,
공음전 세습(5품 이상 지급)
-문종: 경정 전시과, 남경 설치→3경제, 문벌 귀족 사회 성립
숙종: 화폐 주조, 별무반 조직(정벌x), 남경 개발(김위제)
예종: 윤관의 여진 정벌(동북9성, 척준경), 관학 진흥책(과거전문반 7재, 양현고)
여진 정벌했으나 금나라 부활
이자겸의 난(1126)
-경원 이씨, 반란→척준경이 이자겸 제거(인종의 설득)→척준경 촉출(정지상의 탄핵)
지배층 분열,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