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아동수당의 개념
2. 보편주의 입장에서 아동수당의 발전방향
3. 선별주의 입장에서 아동수당의 발전방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Ⅱ 본론
1. 아동수당의 개념
2. 보편주의 입장에서 아동수당의 발전방향
3. 선별주의 입장에서 아동수당의 발전방향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2018년 9월부터 신설되는 아동수당에 대해 보편주의와 선별주의 입장에서 발전 방향에 대해 살펴보았다. 일본은 외벌이가 소득이 980만엔이면 아동수당이 제외되지만, 맞벌이가 각각900만 엔을 벌어 1800만 엔인 경우 아동수당을 받는다. 이는 매우 현명한 처사라고 생각한다. 어떤 목적을 위한 아동수당이 되어야지 단순히 이념에 따른 아동수당은 되지 말아야 하기 때문이다.
Ⅳ 참고자료
- 심미례, “한국의 아동수당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2007
- 김애화, “아동복지권 실현을 위한 제도로서 아동수당”, 새세상연구소, 2011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아동복지연구소, “아동수당 도입과 정책적 효과에 관한 연구”, 2018
- 김나영외, “해외 아동수당 도입사례”, 육아정책연구소, 2017
Ⅳ 참고자료
- 심미례, “한국의 아동수당제도 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 2007
- 김애화, “아동복지권 실현을 위한 제도로서 아동수당”, 새세상연구소, 2011
- 초록우산 어린이재단 아동복지연구소, “아동수당 도입과 정책적 효과에 관한 연구”, 2018
- 김나영외, “해외 아동수당 도입사례”, 육아정책연구소, 201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