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본론
1.문헌고찰
1)질병의 정의 및 원인
2)질병의 병태생리
3)진단방법
4)증상
5)치료와 간호
2.간호과정
1)간호사정
(1)간호력
(2)신체사정
(3)임상검사 및 진단적검사
(4)자료의 검증과 조직
2)간호진단
3)간호계획
4)간호중재
5)간호평가
Ⅲ.결론
참고문헌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본론
1.문헌고찰
1)질병의 정의 및 원인
2)질병의 병태생리
3)진단방법
4)증상
5)치료와 간호
2.간호과정
1)간호사정
(1)간호력
(2)신체사정
(3)임상검사 및 진단적검사
(4)자료의 검증과 조직
2)간호진단
3)간호계획
4)간호중재
5)간호평가
Ⅲ.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사, 전혈구검사, 간기능검사 전해질검사 등등
4)증상
기침, 콧물 및 미열 등의 감기 증상으로 시작 어린 아이들은 기침을 하면서 구토하는 것이 흔하며 가슴 통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두통 및 전신 위약감과 식욕 저하, 설사 등의 증상을 함께 보이기도 하고 보채거나 처지며 불안과 섬망 상태를 동반하기도 한다.
5)치료와 간호
바이러스 폐렴에 대한 특이 항바이러스제는 개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안정과 충분한 수분 및 영양 공급,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약제 등의 보존적 치료만이 가능하다.
세균성 폐렴에는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며 원인 균주, 환자의 상태에 따라 사용하는 항생제의 종류 및 기간이 다를 수 있다.
대부분의 폐렴은 외래에서 치료가 가능하며 단기간 입원 치료로도 호전된다.
폐렴위험인자. 치료 , 생명에 위협이 되는 합병증을 조기 발견하는 방법과 예방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2.간호과정
1) 간호사정
①일반적 사항
이름 김** 성별 f 나이 3살 생년월일 2015.6.4.
체중 14.5kg 키 110cm 활력징후 37.1
입원일 2018.5.8
주소
진단명 PN
②현병력
주호소 열, 기침 ,식욕저하, 금일 증상지속, 기침 시 복통
발병일시 일주일 전 부터 발병형태 기침, 코막힘, 후두음(불평 불만), 묽은 코점액이 노랗게 다량 흘러 나왔다 발병요인 원인불명 촉진요인 모름
입원 시 의식 상태 있음 입원경로 외래
③과거력
출생 시 상태: 산모의 건강상태 건강 신생아 상태 건강
분만형태 자연분만 출생 시 체중 3.1kg 출생 시 키 51 cm
예방접종력 B형간염 항체 유
질병력 2015년 AOM , 2017년 PN 입원 및 수술 2015년 10월7일~10월.12일 AOM 입원 2017년 2월24일~2017년 3월1일 PN으로 입원 알레르기 없음
현재 약물복용 여부 없음 가족력 없음
④신체사정
영역
내용
상태진술
성장측정
체중, 키, 머리둘레, 가슴둘레, 피부주름두께 및 팔둘레
3.1kg 110cm
생리적 측정
호흡, 맥박, 체온, 혈압
BP
T
P
R
5/8
100/80
37.1
96
16
5/9
36.6
100
22
5/10
36.6
110
23
5/11
36.9
114
23
일반적 외양
표정, 자세, 태도, 몸의 움직임, 영양상태, 위생상태 등
표정이 밝지 않고, 잘 움직이지 않는다. 영양상태, 위상생태 모두 양호하나 현재 식욕이 없어 밥을 1/2 정도 섭취한다
피부
색깔, 상태, 탄력성 손발톱
이상 없음
머리
모양, 모발, 크기, 천문
이상 없음
얼굴
균형, 얼굴형태, 표정
이상 없음
눈
위치, 모양, 대칭, 사시
이상 없음
귀
크기, 모양, 분비물, 고막, 청력
이상 없음
코
외형, 비강, 중격, 중비갑개
이상 없음
구강
입술색, 치아, 혀, 구개, 인후두, 타액
이상 없음
목
균형, 운동, 강직, 갑상선, 혈관, 주름
이상 없음
유방
외형, 유두(형태, 분비물)
이상 없음
호흡기
호흡양상, 부속근 사용 유무, 가슴형태
이상 없음
순환기
맥박, 심장, 심음
이상 없음
복부
형태, 상태, 제대상태, 장음, 복수, 탈장
이상 없음
직장과 항문
개방성, 괄약근, 대변특성
이상 없음
생식기
음낭크기, 고환위치, 서혜부탈장, 요도구 위치, 음순 및 음핵 크기, 분비물
이상 없음
등과 사지
척추굽이, 온도와 색, 내반슬, 외반슬
이상 없음
관절
운동범위, 온열감, 압통, 부종
이상 없음
신경학적 사정
소뇌기능, 뇌신경기능, 반사
이상 없음
기타
⑤임상검사 및 진단검사
5월8일
(혈액 검사)
항목
결과
기준치
임상적의의
WBC
4.61
4.20-5.50
▲백혈병, 급성염증
▼재생 불량성 빈혈과립감소증
RBC
3.7
5.0-10.0
▲진성다혈구혈증 심폐질환
▼각종빈혈, 골수기능부전
Hb
11.9
13-17
▲적혈구증다증
▼빈혈, 백혈병
Hct
39.4
40-54
▲탈수, 선천성심질환
▼빈혈, 부종, 간경변증
MCV
85.5
80-100
▲부신부전증 심폐질환
▼각종빈혈, 골수기능부전
MCH
27.5
27-31
▲대구성빈혈, 감소:소구성빈혈
MCHC
32.2
32-36
▲구상적혈구증
▼소구성,저색소성빈혈,철결핍성빈혈,지중해빈혈
혈소판수
659
153-455
▲암,외상,만성백혈병,류마티스관절염,심장병,만성췌장염,비장절제술, 결핵
▼바이러스성감염,폐렴,알러지,급성백혈병,재생불량성빈혈,화학요법중
LYM
28.2
30~40
▲세균성상기도감염,바이러스감염,호르몬질환,결핵,림프성백혈구
▼AIDS,부신피질호르몬사용,외상,초기급성,면역억제제사용
(Influensza kit)
Influensza Ag (A,B) 결과 : A형 Positive
(요화학검사)
항목
결과
기준치
임상적의의
AST
26
7-40
▲급만성간염(특히 급성간염시 현저하게 증가), 심근경색증, 간암, 담낭염, 간경화(약 간 증가 또는 기준치범위)
▼임상적 의의 없음
ALT
12
5-36
▲간질환
알칼리포스파타제
185
35-129
▲간염 간암
총단백질정량
7.0
6.5-8.5
▲ 탈수로 인한 혈액농축이 있을 시 다소 증가하나, 임상적의의 없고 드물게 나타나 지만 다발성 골수종시 병적으로 증가한다
▼영양부족, 만성간염, 간경화, 신증후군, 만성염증
총빌리루빈정량
0.35
0.2-1.3
▲담관폐쇄 간기능장애
효소 LDH
492
알부민
4.0
3.5-5.0
▲ 탈수로 인한 혈액농축이 있을 시 증가하나 병적으로 증가는 없다
▼부종, 간경화시 복수, 급만성염증, 신증후군, 화상, 영양결핍
당검사
114
55-115
▲당뇨▼당뇨병 치료시 인슐린 과다사용할때
요소질소
8
10-30
▲신장질환, 요로감염
▼임상적의의 없음
크레아틴
0.3
0.5-1.5
▲갑상선기능항진증▼임상적의의 없음의의 없음
c-반응성단백
11
0-1
▲급성감염, 염증
(면역화학검사)
항목
결과
기준치
임상적의의
lg E
129.5
adult<100KU/L
▲알러지성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고초열, 알러지성비염, 기생중감염, 골수종, 간경변
항목
결과
기준치
임상적의의
소디움
144
135-145
▲수분결핍, 쿠싱증후군, 요붕증
▼고지혈증, 고단백혈증, 고혈당, 구토 설사
포타슘
3.8
3.5-5.5
▲요독증 부
4)증상
기침, 콧물 및 미열 등의 감기 증상으로 시작 어린 아이들은 기침을 하면서 구토하는 것이 흔하며 가슴 통증을 호소하기도 한다. 두통 및 전신 위약감과 식욕 저하, 설사 등의 증상을 함께 보이기도 하고 보채거나 처지며 불안과 섬망 상태를 동반하기도 한다.
5)치료와 간호
바이러스 폐렴에 대한 특이 항바이러스제는 개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안정과 충분한 수분 및 영양 공급, 기침 등 호흡기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약제 등의 보존적 치료만이 가능하다.
세균성 폐렴에는 항생제 치료가 필요하며 원인 균주, 환자의 상태에 따라 사용하는 항생제의 종류 및 기간이 다를 수 있다.
대부분의 폐렴은 외래에서 치료가 가능하며 단기간 입원 치료로도 호전된다.
폐렴위험인자. 치료 , 생명에 위협이 되는 합병증을 조기 발견하는 방법과 예방의 중요성을 교육한다
2.간호과정
1) 간호사정
①일반적 사항
이름 김** 성별 f 나이 3살 생년월일 2015.6.4.
체중 14.5kg 키 110cm 활력징후 37.1
입원일 2018.5.8
주소
진단명 PN
②현병력
주호소 열, 기침 ,식욕저하, 금일 증상지속, 기침 시 복통
발병일시 일주일 전 부터 발병형태 기침, 코막힘, 후두음(불평 불만), 묽은 코점액이 노랗게 다량 흘러 나왔다 발병요인 원인불명 촉진요인 모름
입원 시 의식 상태 있음 입원경로 외래
③과거력
출생 시 상태: 산모의 건강상태 건강 신생아 상태 건강
분만형태 자연분만 출생 시 체중 3.1kg 출생 시 키 51 cm
예방접종력 B형간염 항체 유
질병력 2015년 AOM , 2017년 PN 입원 및 수술 2015년 10월7일~10월.12일 AOM 입원 2017년 2월24일~2017년 3월1일 PN으로 입원 알레르기 없음
현재 약물복용 여부 없음 가족력 없음
④신체사정
영역
내용
상태진술
성장측정
체중, 키, 머리둘레, 가슴둘레, 피부주름두께 및 팔둘레
3.1kg 110cm
생리적 측정
호흡, 맥박, 체온, 혈압
BP
T
P
R
5/8
100/80
37.1
96
16
5/9
36.6
100
22
5/10
36.6
110
23
5/11
36.9
114
23
일반적 외양
표정, 자세, 태도, 몸의 움직임, 영양상태, 위생상태 등
표정이 밝지 않고, 잘 움직이지 않는다. 영양상태, 위상생태 모두 양호하나 현재 식욕이 없어 밥을 1/2 정도 섭취한다
피부
색깔, 상태, 탄력성 손발톱
이상 없음
머리
모양, 모발, 크기, 천문
이상 없음
얼굴
균형, 얼굴형태, 표정
이상 없음
눈
위치, 모양, 대칭, 사시
이상 없음
귀
크기, 모양, 분비물, 고막, 청력
이상 없음
코
외형, 비강, 중격, 중비갑개
이상 없음
구강
입술색, 치아, 혀, 구개, 인후두, 타액
이상 없음
목
균형, 운동, 강직, 갑상선, 혈관, 주름
이상 없음
유방
외형, 유두(형태, 분비물)
이상 없음
호흡기
호흡양상, 부속근 사용 유무, 가슴형태
이상 없음
순환기
맥박, 심장, 심음
이상 없음
복부
형태, 상태, 제대상태, 장음, 복수, 탈장
이상 없음
직장과 항문
개방성, 괄약근, 대변특성
이상 없음
생식기
음낭크기, 고환위치, 서혜부탈장, 요도구 위치, 음순 및 음핵 크기, 분비물
이상 없음
등과 사지
척추굽이, 온도와 색, 내반슬, 외반슬
이상 없음
관절
운동범위, 온열감, 압통, 부종
이상 없음
신경학적 사정
소뇌기능, 뇌신경기능, 반사
이상 없음
기타
⑤임상검사 및 진단검사
5월8일
(혈액 검사)
항목
결과
기준치
임상적의의
WBC
4.61
4.20-5.50
▲백혈병, 급성염증
▼재생 불량성 빈혈과립감소증
RBC
3.7
5.0-10.0
▲진성다혈구혈증 심폐질환
▼각종빈혈, 골수기능부전
Hb
11.9
13-17
▲적혈구증다증
▼빈혈, 백혈병
Hct
39.4
40-54
▲탈수, 선천성심질환
▼빈혈, 부종, 간경변증
MCV
85.5
80-100
▲부신부전증 심폐질환
▼각종빈혈, 골수기능부전
MCH
27.5
27-31
▲대구성빈혈, 감소:소구성빈혈
MCHC
32.2
32-36
▲구상적혈구증
▼소구성,저색소성빈혈,철결핍성빈혈,지중해빈혈
혈소판수
659
153-455
▲암,외상,만성백혈병,류마티스관절염,심장병,만성췌장염,비장절제술, 결핵
▼바이러스성감염,폐렴,알러지,급성백혈병,재생불량성빈혈,화학요법중
LYM
28.2
30~40
▲세균성상기도감염,바이러스감염,호르몬질환,결핵,림프성백혈구
▼AIDS,부신피질호르몬사용,외상,초기급성,면역억제제사용
(Influensza kit)
Influensza Ag (A,B) 결과 : A형 Positive
(요화학검사)
항목
결과
기준치
임상적의의
AST
26
7-40
▲급만성간염(특히 급성간염시 현저하게 증가), 심근경색증, 간암, 담낭염, 간경화(약 간 증가 또는 기준치범위)
▼임상적 의의 없음
ALT
12
5-36
▲간질환
알칼리포스파타제
185
35-129
▲간염 간암
총단백질정량
7.0
6.5-8.5
▲ 탈수로 인한 혈액농축이 있을 시 다소 증가하나, 임상적의의 없고 드물게 나타나 지만 다발성 골수종시 병적으로 증가한다
▼영양부족, 만성간염, 간경화, 신증후군, 만성염증
총빌리루빈정량
0.35
0.2-1.3
▲담관폐쇄 간기능장애
효소 LDH
492
알부민
4.0
3.5-5.0
▲ 탈수로 인한 혈액농축이 있을 시 증가하나 병적으로 증가는 없다
▼부종, 간경화시 복수, 급만성염증, 신증후군, 화상, 영양결핍
당검사
114
55-115
▲당뇨▼당뇨병 치료시 인슐린 과다사용할때
요소질소
8
10-30
▲신장질환, 요로감염
▼임상적의의 없음
크레아틴
0.3
0.5-1.5
▲갑상선기능항진증▼임상적의의 없음의의 없음
c-반응성단백
11
0-1
▲급성감염, 염증
(면역화학검사)
항목
결과
기준치
임상적의의
lg E
129.5
adult<100KU/L
▲알러지성 천식 아토피성 피부염 고초열, 알러지성비염, 기생중감염, 골수종, 간경변
항목
결과
기준치
임상적의의
소디움
144
135-145
▲수분결핍, 쿠싱증후군, 요붕증
▼고지혈증, 고단백혈증, 고혈당, 구토 설사
포타슘
3.8
3.5-5.5
▲요독증 부
추천자료
간호학과 수액요법
간호학과 중요 간호약어3
간호학과 중요 간호약어1
간호학과 실습 - 골절 케이스 스터디
간호학과 실습- 심부전 케이스 스터디
간호학과 보건소 실습일지 모음
방통대학교 간호학과 3학년1학기 가족건강간호학과제
간호실습)가와사키소아과소아과실습간호학과CASE병원실습
간호실습) 부인과 자궁근종부인과실습병원실습간호학과실습간호학과casestudy
간호실습)수족구병 소아과소아과실습병원실습간호학과실습간호학과casestudy
간호실습) 심근경색 흉부외과흉부외과실습병원실습간호학과실습간호학과casestudyMI
간호실습) 엔아이씨유NICU실습신경계중환자실간호학과실습간호학과casestudy
간호실습) 부인과 자궁선근종부인과실습병원실습간호학과실습간호학과casestudy
간호실습) 정신과실습정신과정신과case병원실습간호학과실습간호학과case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