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의 이해 E형노자의 칼 장자의 방패 김시천 1장 ‘전설’을 해체하고 ‘인간’을 보다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철학의 이해 E형노자의 칼 장자의 방패 김시천 1장 ‘전설’을 해체하고 ‘인간’을 보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요약
1, 누구를 위한 ‘노자’인가?
2, 하나이면서 여럿인 ‘노자’
3, 공자가 노자에게 禮를 묻다.
4, 수수께끼 같은 이름 ‘노자’. ‘이이’, ‘노담’
5, 시대적 배경과 노자의 가치

감상

참고문헌

본문내용

‘道警’이라 하고 뒤의 44장을 ‘下篇’로 ‘德經’이라 부르고 있다. ‘上篇’에서 ‘道’에 대한 해설로 시작하고 ‘下篇’에서 ‘德’에 대한 해설로 시작하므로 앞부분을 ‘道警’으로 뒷부분을 ‘德經’으로 불리는 듯 하다. 그리고 『老子』을『도덕경』으로 부르게 된 것도 ‘上篇’과 ‘下篇’의 이름을 순서대로 ‘道’과‘德’으로 붙인 王弼때문인 것으로도 보인다. 전해지는 『老子』의 내용에 적지 않은 혼란이 있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것이 道家의 초기 사상을 대표하는 經典이라는 성격에는 변함이 없다. 도가 사상의 특징의 하나가 人間의 論理 부정에 있다면, 한 사람에 의한 조직적인 著述이 이루어질 수가 없는 이상 그러한 혼란은 오히려 당연한지도 모른다. 어찌됐든 『老子』은 그 내용에 일정한 體系는 서 있지 않지만 全篇에 걸쳐서, 이 우주를 生成시키고 지금도 우주와 인간을 존재하게 하는 영원하고 절대적인 기본 원리인 道란 무엇인지, 그 道에 따르는 사람들의 생존 방식은 어떠한지, 또 그 道에 따르는 정치란 어떤 것인지 등의 문제를 얘기하고 있다. 말하자면 『老子』을 자세히 읽음으로써 우리는 도가의 본체론. 인생론·정치관 등의 기본적인 사상을 이해할 수 있다.
『老子』의 저자나 저작 시기가 불확실하고, 그 내용이 체계상 혼란이 있기는 하지만 진정한 고전으로서의 『老子』의 가치는 전혀 손상될 수가 없다. 그것은 한문화가 시작되는 태곳적부터 춘추. 전국 시대에 이르는 길고 파란 많은 역사를 통해, 중국 민족이 만들어 온 예지의 결정이며, 그 이후 2천 수백 년의 오랜 역사를 통하여 중국 민족을 포함하여 그 문화의 영향을 받은 많은 동양 민족들의 마음 안에 살아서 발전을 지속해 온 인간 생존의 지혜이기 때문이다.
이것은 우리가 알아야 할 道와 내가 하나가 됨을 의미한다. 道는 근원적 존재의 뜻이 있고 自存의 뜻이 있으며 자기 법칙성의 뜻이 있고 활동성과 自己 復歸의 뜻이 있다. 道에는 그 외에도 몇 가지의 特徵을 나타내는데 要約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道는 우리의 감각기관으로 지각할 수 있는 대상이 아니라는 것이다. 둘째, 道는 사물의 형태나 색채에 제약되지 않으면서 모든 사물 속에 內在해 있다. 셋째, 道는 時間性에 制約 되지 않으면서 모든 시간적 변화 범위 속에서 작용하고 있다. 넷째, 어둠과 밝으면 분별 이전의 근원적인 밝음으로 道 스스로가 근원적 明知를 갖추고 있다. 다섯째, 이 道에 마음이 연결되면 고금을 관통하는 智에 도달할 수 있다. 道는 관념적인 것이나 형식적인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사물의 生成을 가능케 해 주는 그 무엇이라고 할 수 있다. 『老子』에서 가장 중요한 개념은 “道” 사상이라 할 수 있다. 노자는 “道”을 “無”라고도 하였고 만물의 근원으로 여겼다. 노자는 핵심 사상인도(道)자를 『老子』에서 75차례 사용하였다. 이것만으로도 “道”의 의미가 『老子』에서 어느 정도의 중요성을 갖고 있으며 의미 있게 사용된 글자인지를 짐작할 수 있다.
참고문헌
철학의 이해, 한국방송통신대학교출판문화원
<노자의 칼, 장자의 방패> 김시천, 책세상
  • 가격2,9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09.12
  • 저작시기2018.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6316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