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논의의 필요성 및 논문의 선정
Ⅱ. 논문에 나오는 용어의 정리
Ⅲ. 논문의 주요 내용 요약
Ⅳ. 연구 내용에 대한 평가
Ⅴ. 참고문헌
Ⅱ. 논문에 나오는 용어의 정리
Ⅲ. 논문의 주요 내용 요약
Ⅳ. 연구 내용에 대한 평가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바 없는 것으로 생각된다.
정리하자면 이 논문의 경우 그 시도는 의미가 있으나 어떠한 새로운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던가, 혹은 현재 시행되는 정책이나 현실상황에 대한 진단 및 비판 역시 존재하지 않고 더 나아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나 청사진, 해결방향의 제시 등 역시 부재하여 논문 자체의 중요성과 의미 자체가 많이 퇴색되는, 깊이가 없는 논문이라는 느낌을 받게 되었다. 연구라는 말을 쓰긴 하지만 연구라고 하기보다는 기존에 조사된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단순히 통계프로그램을 돌려 그 결과를 나열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분석 내용을 보았을 때, 논문의 주제나 목적의식 역시 비교적 정확하지 않고 이를 차치하고서라도 적은 분량에 비해 너무나 많은 내용을 담고자 하였기에 깊이가 매우 얕다는 단점 역시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해당 논문은 참고문헌과 표지를 제외하고는 8페이지 분량의 논문이며 그 중에서 2페이지에서 3페이지 분량은 단순히 통계분석 자료를 도표로 제시한 것에 불과하다. 즉, 실질적인 내용은 약 5페이지에서 6페이지 사이라고 할 수 있는데 다루고자 하는 것은 성별에 따른 차이, 교육연수 및 교육수준, 연령, 복용하는 약물의 개수, 만성질환의 수, 영양관리상태, 인지기능, 경제적 수준 등 매우 다양하다.
결국 이러한 광범위한 변수를 모두 다루면서도 지면의 한계인지, 혹은 연구의 한계인지는 차치하고서라도 결과적으로 다루고 있는 분량 자체가 적기 때문에 논문의 내용은 그저 결과의 나열식으로 밖에 도출되지 않으며 이에 대한 연구자의 해석, 논문의 주제를 드러내는 문제의식 등은 전혀 드러나지 않는다. 즉, 시작은 거창하지만 그 내용 자체는 부실한 것으로서 ‘소문난 잔칫집에 먹을 것이 없다.’라는 속담이 떠오르게 만든 논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인지기능과 영양관리상태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있어 그 원인이나 결과는 무시하고 그저 타 기관의 자료조사 결과를 분석해서 내놓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라는 식의 결론만 내는 것 역시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며 여기에 굳이 ’성별에 따른‘ 이라는 주제를 선정함으로써 영양관리상태와 인지기능의 상관관계와는 또 다른 범주에 드는 성별 범주를 추가하여 오히려 논문을 중구난방식의, 의미 없는 정보의 나열로 만들고 말았다고 생각한다.
결국 이상의 논의를 정리하자면 논문 <노인의 성별에 따른 인지기능과 영양관리상태 차이>는 명시적으로 드러낸 논문의 문제의식 및 주제가 노인의 성별에 따른 인지기능과 영양관리상태의 차이이지만 결국 타 기관에서 제공한 기초자료의 통계분석에 지나지 않으며 그 분석 역시 연구자의 해석이나 문제의식이 드러나고 해결방법 혹은 방향을 제시하기는 커녕 그저 통계 결과를 나열하는 것에 불과한,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를 지닌 논문이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Ⅴ. 참고문헌
신수진, 황은히,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1권 2호,』「노인의 성별에 따른 인지기능과 영양관리상태 차이」, 2017, p.209.
정리하자면 이 논문의 경우 그 시도는 의미가 있으나 어떠한 새로운 기초자료를 제공한다던가, 혹은 현재 시행되는 정책이나 현실상황에 대한 진단 및 비판 역시 존재하지 않고 더 나아가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이나 청사진, 해결방향의 제시 등 역시 부재하여 논문 자체의 중요성과 의미 자체가 많이 퇴색되는, 깊이가 없는 논문이라는 느낌을 받게 되었다. 연구라는 말을 쓰긴 하지만 연구라고 하기보다는 기존에 조사된 자료를 대상으로 하여 단순히 통계프로그램을 돌려 그 결과를 나열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 보이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분석 내용을 보았을 때, 논문의 주제나 목적의식 역시 비교적 정확하지 않고 이를 차치하고서라도 적은 분량에 비해 너무나 많은 내용을 담고자 하였기에 깊이가 매우 얕다는 단점 역시 지적할 수 있을 것이다. 해당 논문은 참고문헌과 표지를 제외하고는 8페이지 분량의 논문이며 그 중에서 2페이지에서 3페이지 분량은 단순히 통계분석 자료를 도표로 제시한 것에 불과하다. 즉, 실질적인 내용은 약 5페이지에서 6페이지 사이라고 할 수 있는데 다루고자 하는 것은 성별에 따른 차이, 교육연수 및 교육수준, 연령, 복용하는 약물의 개수, 만성질환의 수, 영양관리상태, 인지기능, 경제적 수준 등 매우 다양하다.
결국 이러한 광범위한 변수를 모두 다루면서도 지면의 한계인지, 혹은 연구의 한계인지는 차치하고서라도 결과적으로 다루고 있는 분량 자체가 적기 때문에 논문의 내용은 그저 결과의 나열식으로 밖에 도출되지 않으며 이에 대한 연구자의 해석, 논문의 주제를 드러내는 문제의식 등은 전혀 드러나지 않는다. 즉, 시작은 거창하지만 그 내용 자체는 부실한 것으로서 ‘소문난 잔칫집에 먹을 것이 없다.’라는 속담이 떠오르게 만든 논문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인지기능과 영양관리상태의 상관관계를 밝히는 데 있어 그 원인이나 결과는 무시하고 그저 타 기관의 자료조사 결과를 분석해서 내놓은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있다.‘라는 식의 결론만 내는 것 역시 큰 의미가 없다고 생각하며 여기에 굳이 ’성별에 따른‘ 이라는 주제를 선정함으로써 영양관리상태와 인지기능의 상관관계와는 또 다른 범주에 드는 성별 범주를 추가하여 오히려 논문을 중구난방식의, 의미 없는 정보의 나열로 만들고 말았다고 생각한다.
결국 이상의 논의를 정리하자면 논문 <노인의 성별에 따른 인지기능과 영양관리상태 차이>는 명시적으로 드러낸 논문의 문제의식 및 주제가 노인의 성별에 따른 인지기능과 영양관리상태의 차이이지만 결국 타 기관에서 제공한 기초자료의 통계분석에 지나지 않으며 그 분석 역시 연구자의 해석이나 문제의식이 드러나고 해결방법 혹은 방향을 제시하기는 커녕 그저 통계 결과를 나열하는 것에 불과한, 상대적으로 얕은 깊이를 지닌 논문이라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Ⅴ. 참고문헌
신수진, 황은히, 『Journal of Korean Public Health Nursing 31권 2호,』「노인의 성별에 따른 인지기능과 영양관리상태 차이」, 2017, p.209.
추천자료
- 보건영양 C형 보건영양 관련 논문 2016년에 전문학술지에 발표된 보건영양 관련 논문 1편...
- (보건영양 C형) 2016년에 전문학술지에 발표된 보건영양 관련 논문 1편을 선정하고 다음을 수...
- [보건영양 A형] 본인이 거주하였거나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시군구 직장 등)의 보건영...
- (보건영양 A형)본인이 거주하였거나 현재 거주하고 있는 지역사회(시군구 직장 등)의 보건영...
- 보건영양 C형 2017년에 전문학술지에 발표된 보건영양 관련 논문 하나를 선택하여 읽은 후 ...
- 보건영양 C형 보건 영양 관련 논문 혼자 사는 사람들(독거인)의 영양 섭취
- 보건영양 C형 특수아동(장애아동)의 영양상태 및 식습관 관련 논문
- 보건영양 C형 보건영양 관련 논문 (노인 영양)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