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선정동기
2.기업소개
Ⅱ. 본론
1.비비고
1) SWOT 분석
2) 국내진출 사례 & 성과분석
3) 영국진출 사례 & 성과분석
2.타코벨
1) SWOT 분석
2) 한국진출 사례 & 성과분석
3) 영국진출 사례 & 성과분석
Ⅲ. 결론
3.기업 비교분석
1) 한국시장
2) 영국시장
3) 소감
Ⅳ. 참고문헌
1.선정동기
2.기업소개
Ⅱ. 본론
1.비비고
1) SWOT 분석
2) 국내진출 사례 & 성과분석
3) 영국진출 사례 & 성과분석
2.타코벨
1) SWOT 분석
2) 한국진출 사례 & 성과분석
3) 영국진출 사례 & 성과분석
Ⅲ. 결론
3.기업 비교분석
1) 한국시장
2) 영국시장
3) 소감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또 무엇을 먹을 것인지를 인터넷을 통해 결정하고 있다. 즉, 세계에서 가장 인터넷이 발달된 한국에서는 블로그 등을 통해 새로운 음식이나 점포들이 일반인들에게 알려진다는 것이다. 타코벨도 이같은 점에 주목해 영향력 있는 푸드 블로거들을 위한 특별행사를 개최하였다. 지금이 바로 가격, 퀄리티, 맛, 그리고 편리성에 있어서 경쟁력이 있는 타코벨을 시장에 새롭게 진출하게 되었다.
어떻게 수익을 거둘까?
낮은 가격대로 인해 수익성 확보가 어려울 것이라는 주변의 우려는 기우일 뿐이다. 가격 대비 품질을 중시하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가치소비’에 중점을 두는 트렌드는 타코벨에게 기회이다. 그래서 이익을 낮추고 많이 파는 ‘박리다매’형 마케팅이 가능하였고 매장 수가 늘어날수록 수익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3) 영국진출사례 & 분석
<진출사례>
영국은 1986년 1호점이 오픈하면서 유럽국가 중에서 가장 먼저 진출했다. 런던 근교를 중심으로 Coventry Street, Earl\'s Court tube station 지역에 2개의 점포가 오픈하였으나 성과가 시원치 않았던지 1990년대 중반 모든 점포가 철수하였다.
KFC와 타코벨의 영국시장 성장전망 : 얌브랜드의 재진출
KFC와 피자헛을 보유한 미국기업 얌브랜드는 최근 경제침체가 계속됨에 따라 자사 브랜드인 타코벨을 영국시장으로 진출시킬지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얌브랜드는 KFC와 피자헛(Pasta Hut으로 일부 리브랜딩)을 영국 소비자들의 경기침체에 따른 저소비성향에 발맞추어 확장시키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국 전역에 걸쳐서 780개의 매장을 가진 KFC는 2009년에 최소 45개의 매장을 추가로 오픈할 예정이고 2000만~2500만 파운드 가량 투자할 계획입니다. 또한 350개 이상의 매장에서 메뉴와 식당환경 개선이 시행될 것입니다.
그리고 얌브랜드의 다음 성장발판은 아마 타코벨이 될 예정입니다.
<관련기사 3>
그러나 2009년 얌브랜드는 유럽시장 진출의 일환으로 영국시장 재진입을 고려하고 있다고 발표하였다. 당시 경기침체에 따라 자사 패스트푸드 업체의 매출이 증가하고 있었고 그에 따라서 다른 시장으로 눈을 여유가 생겼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과거에 비해서 영국 내 멕시칸 푸드에 대한 인식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었으므로 자연스레 매출증대로 이어지리라고 전망했다.
점포명
위치
개점 연월
LAKESIDE SHOPPING CENTRE
West Thurrock Grays Essex, MD. RM20 2ZP
2010년 6월
EASTGATE SHOPPING CENTRE
Unit 4 The Food Terrace Basildon Essex, SS14 1EB
2010년 11월
MANCHESTER ARNDALE
Kiosk 5 The Food Court
Arndale Centre
Manchester England M4 3QA
2011년 11월
<표2 타코벨 영국 점포현황>
그리고 2010년 6월말 1호점을 그 해 11월에 2호점을 오픈하였다. 그러나 2011년 3호점을 마지막으로 추가적인 점포오픈은 2014년 현재로선 없는 듯하다.
이처럼 타코벨이 영국시장에 진출한지 4년째를 맞이하고 있지만 2011년을 마지막으로 새로운 확장의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또 한가지 흥미로운 점은 2010년 진출이후로 BBC뉴스 홈페이지에 타코벨 관련기사가 1~2개 정도 밖에 올라오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처럼 타코벨은 철저한 무관심속에서 진퇴양난에 빠지다시피 한 상황이다.
<성과분석>
유독 영국에서 지지부진한 이유는?
앞에서도 언급했다시피 현재 영국 내 타코벨 매장은 단 3개뿐이고 2011년 11월을 마지막으로 2년이 넘게 그다지 성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가장 큰 문제는 얌브랜드의 긍정적인 전망과는 달리 실제 영국시장의 반응은 그다지 호의적이지 못했다는 것에 있다. 그러나 실제론 멕시칸 푸드를 어떻게 먹는지도 모르는 사람들이 부지기수였다는 점에서 이와 상반된다. 또한 커다란 성공을 거둔 미국시장과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었다.
타코벨이 멕시컨 음식이면서도 미국 프랜차이즈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의아스럽게도 이용자들이 영국과 같은 유럽대륙에서 직접 건너와 정착한 순수한 백인 후예들인 전형적인 미국인들보다는 멕시코를 비롯한 남미에서 이주한 이민자들의 소비가 주요인이다. 미국 이민자들의 60%이상을 이루고 있는 멕시컨을 비롯한 히스패닉계 이민자들이 타코벨의 주 소비자들이다. 또한 미국이라는 나라 자체가 이민자 유입에 상당히 적극적이었므로 세계 각국의 문화가 혼재되어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즉, 고유의 전통문화랄 것도 없는 상황이라 여러 가지 문화를 접하고 받아들이는데 상당히 개방적일 수밖에 없다.
보수적인 나라, 보수적인 입맛
반면에 영국은 보수적인 국가다. 아직도 유럽 국가 중에서 유로화가 아닌 파운드화를 사용하며, 대부분의 국가가 우측통행인 것과 달리 좌측통행을 고집한다. 그리고 현재 인구의 80%를 백인이 차지할 정도로 아직까지 백인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단일 문화권으로 묶여있는 만큼 타 문화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수용하기는 힘들다. 또한 이민자의 국가인 미국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국가정체성 또한 이에 한 몫 했다고 생각한다.
마찬가지로 입맛 역시 보수적이다. 세계에서 가장 얇은 책은 ‘세계에서 가장 얇은 책은 독일 유머책 그리고 영국의 요리책’이라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로 전통음식의 종류가 몇 안되고 맛이 없다고들 한다. 이러한 보수적인 성향이 음식 소비에 있어서도 그대로 드러나 소극적인 소비로 이어지지 않았나 생각한다. 물론 최근에 들어서는 나아지는 경향이 있긴 하지만 미국시장에 비해서는 여전히 보수적이라는 소리다.
Ⅲ 결론
1.한국시장
1)비비고
-해외시장을 진출하기 위한 목적이기 때문에 한국에서의 성과는 다소 저조하다. 하지만 CJ그룹 또한 국내시장을 지향 한 것이 아니고 해외시장을 진출하기 위한 목적이기 때문에 한국에서의 성과는 기대도 하지 않았다.
-하지만 도심을 중심으로 외국인 관광객을 공략한다면 의외의 매출증대가 예상된다.
2)타코벨
-확실한 타깃(이태원)을 중심으로 접근하면서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저렴하면서도
어떻게 수익을 거둘까?
낮은 가격대로 인해 수익성 확보가 어려울 것이라는 주변의 우려는 기우일 뿐이다. 가격 대비 품질을 중시하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가치소비’에 중점을 두는 트렌드는 타코벨에게 기회이다. 그래서 이익을 낮추고 많이 파는 ‘박리다매’형 마케팅이 가능하였고 매장 수가 늘어날수록 수익성이 높아지는 것이다.
3) 영국진출사례 & 분석
<진출사례>
영국은 1986년 1호점이 오픈하면서 유럽국가 중에서 가장 먼저 진출했다. 런던 근교를 중심으로 Coventry Street, Earl\'s Court tube station 지역에 2개의 점포가 오픈하였으나 성과가 시원치 않았던지 1990년대 중반 모든 점포가 철수하였다.
KFC와 타코벨의 영국시장 성장전망 : 얌브랜드의 재진출
KFC와 피자헛을 보유한 미국기업 얌브랜드는 최근 경제침체가 계속됨에 따라 자사 브랜드인 타코벨을 영국시장으로 진출시킬지 고려하고 있다고 합니다.
얌브랜드는 KFC와 피자헛(Pasta Hut으로 일부 리브랜딩)을 영국 소비자들의 경기침체에 따른 저소비성향에 발맞추어 확장시키려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국 전역에 걸쳐서 780개의 매장을 가진 KFC는 2009년에 최소 45개의 매장을 추가로 오픈할 예정이고 2000만~2500만 파운드 가량 투자할 계획입니다. 또한 350개 이상의 매장에서 메뉴와 식당환경 개선이 시행될 것입니다.
그리고 얌브랜드의 다음 성장발판은 아마 타코벨이 될 예정입니다.
<관련기사 3>
그러나 2009년 얌브랜드는 유럽시장 진출의 일환으로 영국시장 재진입을 고려하고 있다고 발표하였다. 당시 경기침체에 따라 자사 패스트푸드 업체의 매출이 증가하고 있었고 그에 따라서 다른 시장으로 눈을 여유가 생겼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과거에 비해서 영국 내 멕시칸 푸드에 대한 인식이 획기적으로 개선되었으므로 자연스레 매출증대로 이어지리라고 전망했다.
점포명
위치
개점 연월
LAKESIDE SHOPPING CENTRE
West Thurrock Grays Essex, MD. RM20 2ZP
2010년 6월
EASTGATE SHOPPING CENTRE
Unit 4 The Food Terrace Basildon Essex, SS14 1EB
2010년 11월
MANCHESTER ARNDALE
Kiosk 5 The Food Court
Arndale Centre
Manchester England M4 3QA
2011년 11월
<표2 타코벨 영국 점포현황>
그리고 2010년 6월말 1호점을 그 해 11월에 2호점을 오픈하였다. 그러나 2011년 3호점을 마지막으로 추가적인 점포오픈은 2014년 현재로선 없는 듯하다.
이처럼 타코벨이 영국시장에 진출한지 4년째를 맞이하고 있지만 2011년을 마지막으로 새로운 확장의 기미는 보이지 않는다. 또 한가지 흥미로운 점은 2010년 진출이후로 BBC뉴스 홈페이지에 타코벨 관련기사가 1~2개 정도 밖에 올라오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처럼 타코벨은 철저한 무관심속에서 진퇴양난에 빠지다시피 한 상황이다.
<성과분석>
유독 영국에서 지지부진한 이유는?
앞에서도 언급했다시피 현재 영국 내 타코벨 매장은 단 3개뿐이고 2011년 11월을 마지막으로 2년이 넘게 그다지 성과를 보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가장 큰 문제는 얌브랜드의 긍정적인 전망과는 달리 실제 영국시장의 반응은 그다지 호의적이지 못했다는 것에 있다. 그러나 실제론 멕시칸 푸드를 어떻게 먹는지도 모르는 사람들이 부지기수였다는 점에서 이와 상반된다. 또한 커다란 성공을 거둔 미국시장과는 근본적인 차이가 있었다.
타코벨이 멕시컨 음식이면서도 미국 프랜차이즈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것은 의아스럽게도 이용자들이 영국과 같은 유럽대륙에서 직접 건너와 정착한 순수한 백인 후예들인 전형적인 미국인들보다는 멕시코를 비롯한 남미에서 이주한 이민자들의 소비가 주요인이다. 미국 이민자들의 60%이상을 이루고 있는 멕시컨을 비롯한 히스패닉계 이민자들이 타코벨의 주 소비자들이다. 또한 미국이라는 나라 자체가 이민자 유입에 상당히 적극적이었므로 세계 각국의 문화가 혼재되어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즉, 고유의 전통문화랄 것도 없는 상황이라 여러 가지 문화를 접하고 받아들이는데 상당히 개방적일 수밖에 없다.
보수적인 나라, 보수적인 입맛
반면에 영국은 보수적인 국가다. 아직도 유럽 국가 중에서 유로화가 아닌 파운드화를 사용하며, 대부분의 국가가 우측통행인 것과 달리 좌측통행을 고집한다. 그리고 현재 인구의 80%를 백인이 차지할 정도로 아직까지 백인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처럼 단일 문화권으로 묶여있는 만큼 타 문화에 대해서 적극적으로 수용하기는 힘들다. 또한 이민자의 국가인 미국과는 근본적으로 다른 국가정체성 또한 이에 한 몫 했다고 생각한다.
마찬가지로 입맛 역시 보수적이다. 세계에서 가장 얇은 책은 ‘세계에서 가장 얇은 책은 독일 유머책 그리고 영국의 요리책’이라는 우스갯소리가 있을 정도로 전통음식의 종류가 몇 안되고 맛이 없다고들 한다. 이러한 보수적인 성향이 음식 소비에 있어서도 그대로 드러나 소극적인 소비로 이어지지 않았나 생각한다. 물론 최근에 들어서는 나아지는 경향이 있긴 하지만 미국시장에 비해서는 여전히 보수적이라는 소리다.
Ⅲ 결론
1.한국시장
1)비비고
-해외시장을 진출하기 위한 목적이기 때문에 한국에서의 성과는 다소 저조하다. 하지만 CJ그룹 또한 국내시장을 지향 한 것이 아니고 해외시장을 진출하기 위한 목적이기 때문에 한국에서의 성과는 기대도 하지 않았다.
-하지만 도심을 중심으로 외국인 관광객을 공략한다면 의외의 매출증대가 예상된다.
2)타코벨
-확실한 타깃(이태원)을 중심으로 접근하면서 좋은 성과를 거두었다.
-저렴하면서도
추천자료
에이팜의 중국시장중국 화장품시장화장품 현지화전략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
이랜드 마케팅 중국시장 현지화전략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otstp4p
오리온 초코파이 글로벌마케팅오리온 초코파이 성공사례오리온 초코파이 중국시장전략브랜드...
레드페이스 아웃도어시장레드페이스 마케팅광고레드페이스 브랜드인지도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
하이마트기업분석하이마트 소개하이마트 마케팅 전략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
현대자동차 기업분석현대자동차마케팅성공사례현대자동차 글로벌시장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
현대자동차 기업분석현대자동차 마케팅현대자동차 자동차시장현대자동차 브랜드마케팅현대자...
풀무원 기업분석풀무원 마케팅사례풀무원 브랜드마케팅풀무원 서비스마케팅사례분석swotstp4p
스타벅스 커피시장스타벅스 마케팅사례스타벅스커피 성공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