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본문내용
의한 제어
-무효전력과 마찬 가지로 역률계전기를 사용해서 제어하는 방법임.
4)전류에 의한 제어
-부하상태에 따라 역률이 일정한 경우에 쓰이는 것으로 전류계전기로 검출하여 제어한다.
[61] 고조파와 고주파 차이점 <기출>
기본 주파수의 정수배의 주파수를 갖는 전압 또는 전류를 고조파
고주파는 주파수가 높은 GHz MHz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전압 또는 전류를 고주파
[62] 고조파가 통신장해를 일으키는 영향 <기출>
고조파 전류에 대한 회로의 임피던스가 공진 현상등으로 감소하여 과대한 전류가 흐름으로써 과열 , 소손 또는 진동, 소음이 발생함.
또한 고조파 전류에 의한 철심의 자기적인 왜곡 현상으로 소음 발생
※고조파 전류 발생 주 원인과 그 대책?
장해요인 : 전기로, 아크로, 전력용 콘덴서, 변압기와 전동기 여자전류
억제대책 : 고조파필터 설치, 전력변환장치 pulse수를 크게한다.
※선로에서 발생하는 고조파가 전기설비에 미치는 장해
-통신서의 유도장해
-3상 4선식 회로의 중성선 과열
-보호계전기의 오 부동작
[63] 고조파의 경감 대책 <기출>
고조파 장해의 예방
직렬 리액터 삽입
직렬 리액터 용량 증가
콘덴서 직렬 리액터 용량 변경
계통에서의 대책
정류 상수의 증가
과대한 위상 제어의 회피
교류 필터의 설치
[64] 접지 목적 <기출>
고저압 혼촉시 저압선 전위 상승 억제
기기의 지락 사고 발생시 사람에 걸리는 분담 전압의 억제
선로로부터의 유도에 의한 감전 방지
이상 전압 억제에 의한 절연 계급의 저감, 보호 장치의 동작 확실화
전기기기의 손상방지
인축 감전의 방지
화재의 방지
[65] 접지의 중요 개소 <기출>
일반전기기기 및 제어반 외함
피뢰기 / 피뢰침 /
옥외의 철구조물 및 경계책
[66] 접지선의 굵기 계산
A = 0.052* I : I는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를 말한다.
[67] 부동충전방식 <기출>
정류기에 축전지와 부하를 병렬로 접속, 전자의 자기방전을보충함과 동시에 사용부하에 대한 전력공급원은 충전기가 부담하고 일시적인 대전류 부하는 축전지가 부담하는 방식
※축전지의 충전방식
보통충전, 세류충전, 균등충전, 부동충전, 급속충전 방식 (부동충전방식 주로 사용)
※축전지 설비의 구성요소
축전지, 제어장치, 보안장치, 충전장치
[68] 설페이션 현상 <기출>
축전지를 방전 상태에서 오랫동안 방치하여 극판이 황산납 때문에 회백색으로 변하게 되면서 가스가 발생하고 수명이 단축되어 지는 현상
원인 : 방전 상태에서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 / 불충분한 충전을 반복하는 경우 / 방전전류가 대단히 큰 경우
[69] UPS (무정전전원장치) <기출>
정전상태에서도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구성은 정류기 인버터 축전지 절체스위치 등으로 구성
※무정전 방법을 설명
축전지에 전력을 저장하여 두고 전기공급이 중단될 시에는 축전지에 저장되어있는 전력을 이용하여 기기에 안전한 전력공급을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무정전 전원 장치(UPS)가 사용되며 이는 축전지, 정류 장치(컨버터)와 역변환 장치(인버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70] 전기설비의 방폭구조 (종류 및 정의) <기출>
방폭이란 폭발성 가스설비중 전기설비로 인한 화재 및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설비이다.
종류로는 내압 방폭구조, 안전증 방폭, 압력 방폭구조, 유입방폭구조, 본질 안전 방폭 구조, 사입방폭구조, 몰딩방폭구조 등이 있다.
[71] 양질의 전기란? <기출>
양질의 전기란 주파수가 일정하며 전압이 변동하지 않는 전기를 양질의 전기라고 한다. 또한 무정전 상태를 유지해야합니다.
[72] 우리나라는 몇헤르쯔? <기출>
우리나라 전력 주파수는 60Hz입니다. 60Hz인 이유는 최초로 전력계통을 구성할 때 미국의 방식을 차용했기 때문입니다. 유럽 국가의 경우에는 50Hz를 사용하고, 일본의 경우에는 50Hz와 60Hz를 병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50Hz의 전기기기를 60Hz를 쓰는 콘센트에 꽂았을 때 전기기기는 어떻게 되나? 요즘 가전제품은 50,60hz 공용이지만 예전기기의 경우에는 공칭주파수가 맞지 않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부하의 값이 바뀌기 때문에 전자제품에 무리를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73] 전기가 발전되서 집까지 오는 과정 <기출>
전기를 생산해내는 발전소 - 송전용 변전소 - 배전용 변전소 -주상 변압기 - 가정
(발전소의 3상 동기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전력의 전압은 상당히 낮은 전압이므로 이것을 발전소 안에 설치한 승압 변압기에 의해 대전력 장거리 전송에 적합한 154, 345, 765kV의 초고압으로 승압하여 송전선로를 통하여 수용가 부근의 변전소까지 전송합니다. 산업단지에서는 154kV의 높은 전압을 직접 수전하는 경우도 있으나, 보통 변전소에서 22.9kV 정도의 배전전압으로 강압하여 배전선로를 통하여 수용가 부근까지 전송되는 것입니다)
※주상변압기
전주의 배전선에 공급되는 1차전압인 3.3kv 또는 6.6kv의 고전압을 실제 가정으로 공급되는 2차전압인 110v, 220v의 저전압으로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대부분 강철판으로 상자 안에 철심과 권선으로 된 변압장치를 넣은 구조로 만들어 집니다.
[74] 왜 승압하는가? <기출>
일정한 거리에 일정한 전력을 보낼 경우 전선로의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전력은 전압의 제곱에 반비례 합니다. 따라서 전압이 높을수록 손실은 적어지며 송전 효율이 좋아집니다. 또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결정되므로 전압을 높이면 그 만큼 송전선에 흐르는 전류는 적어집니다. 따라서 손실전력이 전류의 제곱에 비례하는 것에 의해 손실전력이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전선의 굵기가 가늘어도 되며 이로 인해 전선비가 적어지는 이점이 있습니다. 그 때문에 송전시의 전압을 승압하며, 현재는 765kV가 가장 높은 송전 전압입니다.
※ 배전(변전)전압의 승압효과는 수압을 높이면 수돗물이 잘나오듯이 배전전압을 승압할 경우 전기손실 감소와 질이 좋은 전기를 사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일례로 1973년부터 2005년까지 가정용은 110V에서 220V로 동력용은 200V에서 380V 로 승압하여 설비증설 없이 2배정도의 전기사용이 가능해
-무효전력과 마찬 가지로 역률계전기를 사용해서 제어하는 방법임.
4)전류에 의한 제어
-부하상태에 따라 역률이 일정한 경우에 쓰이는 것으로 전류계전기로 검출하여 제어한다.
[61] 고조파와 고주파 차이점 <기출>
기본 주파수의 정수배의 주파수를 갖는 전압 또는 전류를 고조파
고주파는 주파수가 높은 GHz MHz이상의 주파수를 갖는 전압 또는 전류를 고주파
[62] 고조파가 통신장해를 일으키는 영향 <기출>
고조파 전류에 대한 회로의 임피던스가 공진 현상등으로 감소하여 과대한 전류가 흐름으로써 과열 , 소손 또는 진동, 소음이 발생함.
또한 고조파 전류에 의한 철심의 자기적인 왜곡 현상으로 소음 발생
※고조파 전류 발생 주 원인과 그 대책?
장해요인 : 전기로, 아크로, 전력용 콘덴서, 변압기와 전동기 여자전류
억제대책 : 고조파필터 설치, 전력변환장치 pulse수를 크게한다.
※선로에서 발생하는 고조파가 전기설비에 미치는 장해
-통신서의 유도장해
-3상 4선식 회로의 중성선 과열
-보호계전기의 오 부동작
[63] 고조파의 경감 대책 <기출>
고조파 장해의 예방
직렬 리액터 삽입
직렬 리액터 용량 증가
콘덴서 직렬 리액터 용량 변경
계통에서의 대책
정류 상수의 증가
과대한 위상 제어의 회피
교류 필터의 설치
[64] 접지 목적 <기출>
고저압 혼촉시 저압선 전위 상승 억제
기기의 지락 사고 발생시 사람에 걸리는 분담 전압의 억제
선로로부터의 유도에 의한 감전 방지
이상 전압 억제에 의한 절연 계급의 저감, 보호 장치의 동작 확실화
전기기기의 손상방지
인축 감전의 방지
화재의 방지
[65] 접지의 중요 개소 <기출>
일반전기기기 및 제어반 외함
피뢰기 / 피뢰침 /
옥외의 철구조물 및 경계책
[66] 접지선의 굵기 계산
A = 0.052* I : I는 과전류 차단기의 정격전류를 말한다.
[67] 부동충전방식 <기출>
정류기에 축전지와 부하를 병렬로 접속, 전자의 자기방전을보충함과 동시에 사용부하에 대한 전력공급원은 충전기가 부담하고 일시적인 대전류 부하는 축전지가 부담하는 방식
※축전지의 충전방식
보통충전, 세류충전, 균등충전, 부동충전, 급속충전 방식 (부동충전방식 주로 사용)
※축전지 설비의 구성요소
축전지, 제어장치, 보안장치, 충전장치
[68] 설페이션 현상 <기출>
축전지를 방전 상태에서 오랫동안 방치하여 극판이 황산납 때문에 회백색으로 변하게 되면서 가스가 발생하고 수명이 단축되어 지는 현상
원인 : 방전 상태에서 장시간 방치하는 경우 / 불충분한 충전을 반복하는 경우 / 방전전류가 대단히 큰 경우
[69] UPS (무정전전원장치) <기출>
정전상태에서도 전원을 공급하는 장치
구성은 정류기 인버터 축전지 절체스위치 등으로 구성
※무정전 방법을 설명
축전지에 전력을 저장하여 두고 전기공급이 중단될 시에는 축전지에 저장되어있는 전력을 이용하여 기기에 안전한 전력공급을 유지하는 방법입니다. 무정전 전원 장치(UPS)가 사용되며 이는 축전지, 정류 장치(컨버터)와 역변환 장치(인버터)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70] 전기설비의 방폭구조 (종류 및 정의) <기출>
방폭이란 폭발성 가스설비중 전기설비로 인한 화재 및 폭발을 방지하기 위한 안전설비이다.
종류로는 내압 방폭구조, 안전증 방폭, 압력 방폭구조, 유입방폭구조, 본질 안전 방폭 구조, 사입방폭구조, 몰딩방폭구조 등이 있다.
[71] 양질의 전기란? <기출>
양질의 전기란 주파수가 일정하며 전압이 변동하지 않는 전기를 양질의 전기라고 한다. 또한 무정전 상태를 유지해야합니다.
[72] 우리나라는 몇헤르쯔? <기출>
우리나라 전력 주파수는 60Hz입니다. 60Hz인 이유는 최초로 전력계통을 구성할 때 미국의 방식을 차용했기 때문입니다. 유럽 국가의 경우에는 50Hz를 사용하고, 일본의 경우에는 50Hz와 60Hz를 병행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50Hz의 전기기기를 60Hz를 쓰는 콘센트에 꽂았을 때 전기기기는 어떻게 되나? 요즘 가전제품은 50,60hz 공용이지만 예전기기의 경우에는 공칭주파수가 맞지 않아 사용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기본적으로 주파수의 변화에 따라 부하의 값이 바뀌기 때문에 전자제품에 무리를 줄 수 있기 때문입니다.
[73] 전기가 발전되서 집까지 오는 과정 <기출>
전기를 생산해내는 발전소 - 송전용 변전소 - 배전용 변전소 -주상 변압기 - 가정
(발전소의 3상 동기발전기에서 발생되는 전력의 전압은 상당히 낮은 전압이므로 이것을 발전소 안에 설치한 승압 변압기에 의해 대전력 장거리 전송에 적합한 154, 345, 765kV의 초고압으로 승압하여 송전선로를 통하여 수용가 부근의 변전소까지 전송합니다. 산업단지에서는 154kV의 높은 전압을 직접 수전하는 경우도 있으나, 보통 변전소에서 22.9kV 정도의 배전전압으로 강압하여 배전선로를 통하여 수용가 부근까지 전송되는 것입니다)
※주상변압기
전주의 배전선에 공급되는 1차전압인 3.3kv 또는 6.6kv의 고전압을 실제 가정으로 공급되는 2차전압인 110v, 220v의 저전압으로 만드는 역할을 합니다. 대부분 강철판으로 상자 안에 철심과 권선으로 된 변압장치를 넣은 구조로 만들어 집니다.
[74] 왜 승압하는가? <기출>
일정한 거리에 일정한 전력을 보낼 경우 전선로의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손실전력은 전압의 제곱에 반비례 합니다. 따라서 전압이 높을수록 손실은 적어지며 송전 효율이 좋아집니다. 또 전력은 전압과 전류의 곱으로 결정되므로 전압을 높이면 그 만큼 송전선에 흐르는 전류는 적어집니다. 따라서 손실전력이 전류의 제곱에 비례하는 것에 의해 손실전력이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전선의 굵기가 가늘어도 되며 이로 인해 전선비가 적어지는 이점이 있습니다. 그 때문에 송전시의 전압을 승압하며, 현재는 765kV가 가장 높은 송전 전압입니다.
※ 배전(변전)전압의 승압효과는 수압을 높이면 수돗물이 잘나오듯이 배전전압을 승압할 경우 전기손실 감소와 질이 좋은 전기를 사용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일례로 1973년부터 2005년까지 가정용은 110V에서 220V로 동력용은 200V에서 380V 로 승압하여 설비증설 없이 2배정도의 전기사용이 가능해
추천자료
한전보고서
0.1N-HCl 표준용액 만드는 법 0.1N-NaOH 표준용액 만드는 법
면접을 통한 사례관리
[KLIPS]한국노동패널조사(KLIPS)의 목적, 한국노동패널조사(KLIPS)의 표본구성과 한국노동패...
[면접사례][면접후기][면접][면접시험]대신증권과 롯데쇼핑 면접사례(면접후기), 삼성석유화...
[면접][면접후기]롯데쇼핑과 삼성전자 면접사례(면접후기), 하나은행과 한국산업은행 면접사...
6학년) <사회과 교수-학습 과정안 (교과서 P.129~134) 전문가집단모형> 3. 대한 민국의 발전 ...
[민영화][방송][철도][중공업][교도소][전력]한국 방송의 민영화, 한국 철도의 민영화, 한국 ...
e-비즈니스와 커뮤니케이션 금융권(은행)의 취업 및 면접전략
[중세전기문학] 제1기 삼국. 남북국 시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