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발달배경 및 주요개념
1) MRI 상호작용모델
2) Haley의 구조·전략적 모델
3) Milan의 모델
2. 치료목표 및 치료과정
3. 치료역할 및 치료기법
4. 참고문헌
1) MRI 상호작용모델
2) Haley의 구조·전략적 모델
3) Milan의 모델
2. 치료목표 및 치료과정
3. 치료역할 및 치료기법
4. 참고문헌
본문내용
받는다고 느껴서 변화에 대한 저항을 줄이고 변화 동기를 높일 수 있다.
② 증상처방
증상처방(symptom prescription)은 증상행동을 자발적으로 계속하도록 격려하는 기법이다. 예를 들면, 부부가 계속 싸우는 것이 가족문제가 되는 경우 치료자는 부부에게 매일 일정한 시간에 계속 싸우도록 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우울증으로 고통을 겪는 사람에게 하루에 세 번씩 1시간 동안 우울하게 되도록 노력하라고 얘기하고 그 가족은 그가 우울하도록 격려하라고 처방한다. 그 결과 IP는 우울증상을 포기하게 되고 가족은 더 이상 그의 기분을 돌이키려고 비효과적인 노력을 하지 않고 죄책감을 느끼지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이 증상처방은 내담자가 치료자의 지시를 거부하고 증상을 포기하든지, 혹은 지시대로 따르면서 증상이 본인의 통제와 조절 아래에 있게 되는 것을 선택하게 하여 증상을 없애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③ 제지기법
제지(restraining)기법은 가족원에게 천천히 진행하라고 경고하거나 또는 개선이 생길 때 퇴보에 대해 걱정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너무 빨리 변하면 분명히 나빠질 가능성이 많습니다. 그러니 천천히 변하십시오’ 라는 메시지를 내담자에게 전달하여 가족의 변화가 너무 빠름을 견제하는 것이다. 이는 내담자가 변화에 저항할 것을 미리 예견하고 시작된 변화를 더욱 지속시키고 견고하게 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 결과 가족들은 오히려 변화를 원하는 면으로 반응하게 되어 치료효과를 가져오는 결과를 낳는다(Goldenberg & Goldenberg, 2001, 김득성 외 역, 2002).
④ 고된 체험기법
고된 체험기법(ordeal technique)은 증상이 나타날 때마다 원래 증상의 고통보다 더 괴로워하는 일을 수행하도록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기법이다. 이 기법은 내담자가 증상을 포기하는 것보다 증상을 유지하는 것이 더 고통스럽다는 것을 알게 되면 증상을 포기할 수 있다는 전제를 가진다. 고된 체험과제는 운동, 숙제, 독서, 다이어트, 청소, 정리정돈, 비싼 선물 등 다양하다(양승은, 1995). 예를 들면, 낮 동안 우울증상이 있을 때마다 밤중에 일어나서 격렬하게 운동해야 하는 것이나 고부갈등을 겪는 여성에게 시어머니에 대한 불평과 원망을 들 때마다 시어머니에게 비싼 선물을 드리도록 지시하는 것, 불면증이 있는 내담자에게 밤 새워 책을 읽으라고 하는 것 등이 있다.
고된 체험의 과제를 줄 때는 문제를 명확히 규정하고 문제증상을 제거하고자 하는 동기를 확인한 후 내담자에게 결과적으로 이득이 되지만 행동으로 실천하기에는 다소 힘든 행동이면서 사회적 상황에서 구체적으로 실천 가능한 것을 선택한다.
⑤ 지시기법
지시기법(directive method)은 내담자와 가족에게 할 일을 처방하는 것으로 헤일리의 치료모델에서 핵심적 방법이다. 지시기법에는 직접적 지시와 은유적 지시가 있다.
직접적 지시(straightforward directives)기법은 어떤 행동을 중지하도록 지시하거나 다른 행동을 하도록 직접 처방하는 것이다. 직접적 지시를 하기 전에 내담자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방법으로 먼저 지시에 따름으로써 얻을 이득을 설명하고, 내담자의 실패한 해결책을 나열하며, 상황의 절박성과 위험가능성을 강조하여 상담 장면에서 치료자의 지시에 따라 작은 행동 변화를 시작하게 한다. 그리고 상담자의 권위를 활용하는 것도 동기부여에 중요하다.
직접적 지시기법 사례
10살된 딸이 무조건적으로 받아주는 할머니와 친하고 버릇을 고치려는 어머니와는 사이가 좋지 않아 버릇없이 구는 문제로 상담자에게 왔다. 상담자는 딸에게 할머니를 화나게 하는 행동을 하도록 지시하고, 어머니에게는 딸 편이 되어 할머니에 대항하도록 지시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와 딸 사이가 좋아지고 딸의 버릇없는 행동이 없어졌다.
은유적 지시(metaphoric task)기법은 가족이 자신의 문제를 밝히길 부끄럽게 생각하거나 언급하기를 원하지 않을 때 비유를 통해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하여 사용된다(Becver & Becver, 2003). 치료자는 가족이 특정한 방법으로 행동하기를 원하는 행동목표를 정한 후에 그와 유사하면서 쉽게 할 수 있는 은유적 행동을 실행에 옮기도록 지시한다. 행동을 실행하는 과정에서도 은유적 행동에 대한 의견을 나누도록 과제를 준다.
예를 들어, 성 문제를 가진 부부가 이 주제를 말하기를 난처해 할 때 치료자는 부부의 성을 부부가 식사하는 것으로 비유하여 이야기를 끌어간다. 치료자는 ‘부부가 즐겁게 식사하기 위해 서로 어떤 배려를 하는지’, ‘음식 맛을 즐기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지’ 등 식사하는 방법을 질문하여 먹는 행위양상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부부의 식욕과 음식취향, 상대방에게 바라는 것들을 이야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치료자는 부부에게 비유로 지시를 한다. 예를 들면, 부부가 즐거운 식사를 하려면 부부가 함께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서로의 음식 기호의 차이를 존중하며, 식사 속도를 상대방과 조절하고 상대방을 배려하는 등의 노력을 하도록 지시한다. 그 결과 부부는 이를 성 문제에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⑥ 가장기법
가장기법(pretend technique)은 매더네스(Madanes)가 개발한 것으로 계속적인 내담자의 저항을 처리하면서 가족을 변화시켜야 하는 목적을 지닌 역설적 기법과 목적은 유사하나 더 부드러운 기법이다. 이 기법은 하지 않던 행동을 상상과 놀이로 생각하면 좀 더 잘할 것이라는 전제를 갖고, 증상을 가진 ‘척하고’ 상대방을 ‘돕는 척’ 하라고 지시한다. 그러면 긴장 상황이나 반항심을 유발하는 대신에 놀이를 하는 기분으로 저항을 우회시키게 된다.
그 결과 IP는 증상을 가진 척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여 실제 증상을 포기하게 되고, 가족원도 걱정을 가장하거나 분노를 가장하는 것이므로 전체 가족상황은 심각한 싸움에서 연극적인 놀이로 변형되어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분노발작 문제를 가진 아이와 이를 통제하지 못해서 상담실에 온 어머니에게 치료자는 아이에게 분노발작을 일으키는 ‘척하라’ 고 한다. 아이가 ‘나는 헐크야’ 라며 험상
② 증상처방
증상처방(symptom prescription)은 증상행동을 자발적으로 계속하도록 격려하는 기법이다. 예를 들면, 부부가 계속 싸우는 것이 가족문제가 되는 경우 치료자는 부부에게 매일 일정한 시간에 계속 싸우도록 하는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우울증으로 고통을 겪는 사람에게 하루에 세 번씩 1시간 동안 우울하게 되도록 노력하라고 얘기하고 그 가족은 그가 우울하도록 격려하라고 처방한다. 그 결과 IP는 우울증상을 포기하게 되고 가족은 더 이상 그의 기분을 돌이키려고 비효과적인 노력을 하지 않고 죄책감을 느끼지 않을 것이다. 이와 같이 증상처방은 내담자가 치료자의 지시를 거부하고 증상을 포기하든지, 혹은 지시대로 따르면서 증상이 본인의 통제와 조절 아래에 있게 되는 것을 선택하게 하여 증상을 없애는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③ 제지기법
제지(restraining)기법은 가족원에게 천천히 진행하라고 경고하거나 또는 개선이 생길 때 퇴보에 대해 걱정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어, ‘너무 빨리 변하면 분명히 나빠질 가능성이 많습니다. 그러니 천천히 변하십시오’ 라는 메시지를 내담자에게 전달하여 가족의 변화가 너무 빠름을 견제하는 것이다. 이는 내담자가 변화에 저항할 것을 미리 예견하고 시작된 변화를 더욱 지속시키고 견고하게 할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 결과 가족들은 오히려 변화를 원하는 면으로 반응하게 되어 치료효과를 가져오는 결과를 낳는다(Goldenberg & Goldenberg, 2001, 김득성 외 역, 2002).
④ 고된 체험기법
고된 체험기법(ordeal technique)은 증상이 나타날 때마다 원래 증상의 고통보다 더 괴로워하는 일을 수행하도록 직접적으로 지시하는 기법이다. 이 기법은 내담자가 증상을 포기하는 것보다 증상을 유지하는 것이 더 고통스럽다는 것을 알게 되면 증상을 포기할 수 있다는 전제를 가진다. 고된 체험과제는 운동, 숙제, 독서, 다이어트, 청소, 정리정돈, 비싼 선물 등 다양하다(양승은, 1995). 예를 들면, 낮 동안 우울증상이 있을 때마다 밤중에 일어나서 격렬하게 운동해야 하는 것이나 고부갈등을 겪는 여성에게 시어머니에 대한 불평과 원망을 들 때마다 시어머니에게 비싼 선물을 드리도록 지시하는 것, 불면증이 있는 내담자에게 밤 새워 책을 읽으라고 하는 것 등이 있다.
고된 체험의 과제를 줄 때는 문제를 명확히 규정하고 문제증상을 제거하고자 하는 동기를 확인한 후 내담자에게 결과적으로 이득이 되지만 행동으로 실천하기에는 다소 힘든 행동이면서 사회적 상황에서 구체적으로 실천 가능한 것을 선택한다.
⑤ 지시기법
지시기법(directive method)은 내담자와 가족에게 할 일을 처방하는 것으로 헤일리의 치료모델에서 핵심적 방법이다. 지시기법에는 직접적 지시와 은유적 지시가 있다.
직접적 지시(straightforward directives)기법은 어떤 행동을 중지하도록 지시하거나 다른 행동을 하도록 직접 처방하는 것이다. 직접적 지시를 하기 전에 내담자에게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 방법으로 먼저 지시에 따름으로써 얻을 이득을 설명하고, 내담자의 실패한 해결책을 나열하며, 상황의 절박성과 위험가능성을 강조하여 상담 장면에서 치료자의 지시에 따라 작은 행동 변화를 시작하게 한다. 그리고 상담자의 권위를 활용하는 것도 동기부여에 중요하다.
직접적 지시기법 사례
10살된 딸이 무조건적으로 받아주는 할머니와 친하고 버릇을 고치려는 어머니와는 사이가 좋지 않아 버릇없이 구는 문제로 상담자에게 왔다. 상담자는 딸에게 할머니를 화나게 하는 행동을 하도록 지시하고, 어머니에게는 딸 편이 되어 할머니에 대항하도록 지시하였다. 그 결과 어머니와 딸 사이가 좋아지고 딸의 버릇없는 행동이 없어졌다.
은유적 지시(metaphoric task)기법은 가족이 자신의 문제를 밝히길 부끄럽게 생각하거나 언급하기를 원하지 않을 때 비유를 통해 변화를 이끌어내기 위하여 사용된다(Becver & Becver, 2003). 치료자는 가족이 특정한 방법으로 행동하기를 원하는 행동목표를 정한 후에 그와 유사하면서 쉽게 할 수 있는 은유적 행동을 실행에 옮기도록 지시한다. 행동을 실행하는 과정에서도 은유적 행동에 대한 의견을 나누도록 과제를 준다.
예를 들어, 성 문제를 가진 부부가 이 주제를 말하기를 난처해 할 때 치료자는 부부의 성을 부부가 식사하는 것으로 비유하여 이야기를 끌어간다. 치료자는 ‘부부가 즐겁게 식사하기 위해 서로 어떤 배려를 하는지’, ‘음식 맛을 즐기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하는지’ 등 식사하는 방법을 질문하여 먹는 행위양상에 대해 이야기를 나눈다. 부부의 식욕과 음식취향, 상대방에게 바라는 것들을 이야기할 수도 있다. 그리고 치료자는 부부에게 비유로 지시를 한다. 예를 들면, 부부가 즐거운 식사를 하려면 부부가 함께 식사를 할 수 있도록 준비하고, 서로의 음식 기호의 차이를 존중하며, 식사 속도를 상대방과 조절하고 상대방을 배려하는 등의 노력을 하도록 지시한다. 그 결과 부부는 이를 성 문제에 적용하여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다.
⑥ 가장기법
가장기법(pretend technique)은 매더네스(Madanes)가 개발한 것으로 계속적인 내담자의 저항을 처리하면서 가족을 변화시켜야 하는 목적을 지닌 역설적 기법과 목적은 유사하나 더 부드러운 기법이다. 이 기법은 하지 않던 행동을 상상과 놀이로 생각하면 좀 더 잘할 것이라는 전제를 갖고, 증상을 가진 ‘척하고’ 상대방을 ‘돕는 척’ 하라고 지시한다. 그러면 긴장 상황이나 반항심을 유발하는 대신에 놀이를 하는 기분으로 저항을 우회시키게 된다.
그 결과 IP는 증상을 가진 척하는 것만으로 충분하여 실제 증상을 포기하게 되고, 가족원도 걱정을 가장하거나 분노를 가장하는 것이므로 전체 가족상황은 심각한 싸움에서 연극적인 놀이로 변형되어 문제가 해결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분노발작 문제를 가진 아이와 이를 통제하지 못해서 상담실에 온 어머니에게 치료자는 아이에게 분노발작을 일으키는 ‘척하라’ 고 한다. 아이가 ‘나는 헐크야’ 라며 험상
추천자료
가족복지/전략적 가족치료모델
가족치료모델(구조적가족치료, 보웬의가족치료, 경험적가족치료, 해결중심적가족치료, 전략적...
전략적가족치료모델 이론 및 사례개입 프리젠테이션 발표용 파워포인트 정리(사회복지실천기...
전략적가족치료.ppt
[가족복지론]전략적 가족치료모델을 설명하라. (MRI의 상호작용 모델, 헤일리의 전략적 구조...
가족치료모델(구조적가족치료, 보웬의가족치료, 경험적가족치료, 해결중심적가족치료, 전략적...
전략적가족치료모델(전략적가족치료, MRI, Haley, Milan, 전략적가족치료사례, 전략적가족치...
전략적가족치료모델(전략적가족치료, 전략적가족치료관점, 전략적가족치료주요기법, MRI, Hal...
전략적가족치료모델 PPT(전략적가족치료, 전략적가족치료과정, 전략적구조주의모델, 전략적가...
[헤일리의 전략적 가족치료이론] 전략적 가족치료의 목표와 치료과정, 전략적 가족치료기법,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