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과 공간 속에 한정시키고, 특정적이고 일회적인 사태를 나타내는 전형적인 타동구문이 많다. “나매 오살 앗디 마라”, “나매 밥을 비디 마라”에 나타난 행동들은 백성이 살아가는 일상에서 실현되는 행동들이다. 남의 옷을 빼앗거나 밥을 비는 행동들은 반복될 수는 있을지언정 항구적인 의미를 내포할 수는 없다. 또한 전형적인 타동사는 주어가 아닌 다른 누군가나 무엇에게 영향을 미치려는 주체의 의도를 나타낸다. 고정희, 『고전시가와 문체의 시학-윤선도와 정철의 경우』, 월인, 2004. p. 67.
- 텍스트의 문체
정철의 심상은 항상 관념과 개별적 사물의 만남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정철 시조에서는 역방향으로 이동 중인 심상이 보인다. “형아 아애아 네 살할 만져 보와/ 뉘손대 타나관대 양저조차 가타산다/ 한
- 텍스트의 문체
정철의 심상은 항상 관념과 개별적 사물의 만남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그런데 정철 시조에서는 역방향으로 이동 중인 심상이 보인다. “형아 아애아 네 살할 만져 보와/ 뉘손대 타나관대 양저조차 가타산다/ 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