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이겠지만, 소설에 소설 이상의 의미가 있어야 한다는 강박 때문은 아닌가 하고 생각해 볼 일이다. 아니면, 작가가 다양한 사상을 가졌기에 그것의 완결된 모습이 작가의 소설에까지(한시나, 게송 같은 것이 아닌) 형상화 되어 있으리라는 강력한 믿음 때문은 아닌지 생각해 볼 필요가 있다.
『구운몽』의 가장 큰 매력은 성진에서 양소유로, 다시 성진으로 넘나드는 삶의 자유로움과 삶의 극치를 대리체험 한다는 것에 있다고 생각한다. 유교, 불교, 도교는 작자가 살던 시대의 상식이었고 교양이었을 뿐, 소설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되지 못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6. 참고문헌
김만중, 송성욱 옮김, 『구운몽』, 민음사, 200
조동일, 「『구운몽』과 『금강경』, 무엇이 문제인가?」, 『김만중연구』, 새문사, 1983
김상연, 「불교와 공사상」, 『녹원2』, 조선불교학생회문화부, 1949
김용덕, 「『구운몽』의 사상적 배경 연구-도교 사상을 중심으로-」, 『한양어문2』, 한양어문학회,1980
이상익, 「『구운몽』의 주제」, 『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
정규복, 「『구운몽』의 근원사상고-공사상을 중심으로-」, 『아세아연구10』,고려대학교아세아문제연구소1967
『구운몽』의 가장 큰 매력은 성진에서 양소유로, 다시 성진으로 넘나드는 삶의 자유로움과 삶의 극치를 대리체험 한다는 것에 있다고 생각한다. 유교, 불교, 도교는 작자가 살던 시대의 상식이었고 교양이었을 뿐, 소설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되지 못한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6. 참고문헌
김만중, 송성욱 옮김, 『구운몽』, 민음사, 200
조동일, 「『구운몽』과 『금강경』, 무엇이 문제인가?」, 『김만중연구』, 새문사, 1983
김상연, 「불교와 공사상」, 『녹원2』, 조선불교학생회문화부, 1949
김용덕, 「『구운몽』의 사상적 배경 연구-도교 사상을 중심으로-」, 『한양어문2』, 한양어문학회,1980
이상익, 「『구운몽』의 주제」, 『한국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1986
정규복, 「『구운몽』의 근원사상고-공사상을 중심으로-」, 『아세아연구10』,고려대학교아세아문제연구소1967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