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용가(줄거리)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처용가(줄거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줄거리

2. 주제

3. 기존연구에 대한 검토

4. 감상 및 비평

본문내용

자들에 대한 풍자가 있을 수 있다. 신들의 경고마저 아전인수 격으로 해석해버리는 안일함에 대해서는 민중감정 때문으로도 관대하게 볼 수만은 없었을 것이다. 여기서의 irony는 비판의 기능을 담당한다.
둘째로는 신라의 지배층, 권력층을 융화시키려 했던 왕건의 정책에 따라 고려사회의 기득권으로 남은 신라 귀족들이 일연이 삼국유사를 저술하던 시기까지 명맥을 이어나가, 대놓고 비판 할 수는 없었기 때문에 우회하는 수법으로 irony를 사용했을 수 있다. 물론 신라의 기득권층이 일연에게 영향을 줄 정도로 그들만의 세력을 고려 후기까지 이어나갔다고 보기는 매우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일연은 혹시 있을 지도 모르는 반대 세력의 반발을 애초부터 피하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이때는 기득권층을 의식하면서도 첫째의 목적을 이루려는 이중의 의도로 해석 될 수 있을 것이다.
세 번째는, 당시 고려사회에 대한 비판의 기능을 하는 irony 인데, 이는 헌강왕이 네 명의 신의 춤을 보고 따라한 부분과 연결될 수 있을 것이다. 호국신들이 나라의 불행한 미래를 알려주려 하는데도 제대로 알아듣지 못하는 신라인들의 우둔함을 당시 국난에 처해있어서도 앞날을 내다보지 못하고, 정치투쟁만하는 지배층의 그것과 비교하여 풍자하려는 의도가 있을 수도 있다.
위의 irony는 순전히 개인적인 생각에서 비롯된 것이다. 앞서도 말했듯이 추측에 의한 것일 뿐 뚜렷한 증거는 없다. 말하는 내용에 있어서 신빙성을 주기위해 단호한 어조로 서술하기도 했지만, 소제목에서도 밝혔듯이 실은 전체적인 구성은 소설적인 허구이고, 부분 부분의 주장에 대해서는 다른 논문에서 근거를 들기도 했다. 비록 향가 작품 하나를 가지고 픽션으로 재구성 해보기는 했지만, 좀더 객관성 있는 자료를 제시하지 못해서 개인적으로 아쉬움을 느낀다. 그러나 기존 연구와는 다른 생각을 한번 가져본 것만으로도 의의를 삼고자 한다. 이런 하나의 작은 생각도 앞으로 처용가 연구에 있어서 새로운 해석의 기회를 제공할 있으리라고 혼자라도 스스로 의의를 삼으려고 한다.
<참고문헌>
허왕욱, 「고전 시가에 나타난 성(性) 표현의 양상」, 청람어문교육학회(구 청람어문학), 2004
김학성, 「<處容歌>와 관련설화의 생성기반과 의미」, 성균관 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1995
趙慶愛, 「新羅歌謠의 이미지 硏」,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1988 年 6 月
하태석, 「處容 形象의 變容 樣相 -處容傳承을 중심으로」, 민족어문학회, 2003
최혜실, 「문학에서 해석의 객관성 문제 - <처용가>의 해석을 중심으로」, 한국어교육학회(구-한국국어교육연구학회), 1995
辛思卿, 「處容歌에 대한 정신분석적 검토 - 라캉의 ‘主體意識(Subjectivity)이론을 중심으로」, 우석대학교, 1996
金正, 「新羅下待社會와 <處容歌>의 性格」, 成均館大學校 敎育大學院, 1993
蔡元基, 「新羅鄕歌의 背景說話에 나타난 巫敎思想 硏究」, 啓明大學校 敎育大學院, 1991 年 6月
李芝鄕, 「處容歌舞의 硏究」, 東國大學校 大學院, 1989
임형택고미숙 『한국고전시가선』
  • 가격1,2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8.11.27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5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