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속요의 율격 - 경기체가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고려속요의 율격 - 경기체가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고려속요의 율격
- 경기체가를 중심으로

1. 시문학으로서의 인식과 율격론 가능 여부

2. 형식 검토

3. 속요 율격의 이론
1) 名의 개념과 구성원리
2) 句의 형성원리

본문내용

격 리듬으로 변모하는 과도기적 형태임을 잘 나타내고 있다고 본다.
그리고, 흔히들 경기체가를 기본형(정격형), 변격형, 파격형으로 구분하고 있으나, 이러한 구분법의 기준은 명확하게 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연구자별로 제시하는 기본 음수율에서 어느 정도 어긋나면 변격이고, 파격인지 알 수 없다. 그래서 동일한 노래를 두고 정격이라 하기도 하고 파격이라고 하는 이견을 빚고 있다. 따라서 김문기 김문기, 위의 논문, 275쪽.
는 앞에서 제시한 기본형을 정격형으로 보고, 각 행의 음보율이 정격형과 같으면서 1행 가감되었을 경우와 1장(聯)이 6행으로 되어 있더라도 2행 이상의 보격이 정격형과 어긋날 경우는 변격형으로 본다. 파격형은 각 章間의 균형이 깨어지고 행의 수가 기본형보다 2행 이상 가감되었거나 각 행의 음보율도 깨어지는 등 일관성을 찾아볼 수 없는 형으로서 다만 제5행에 반복구가 있다거나 여타 행에 “~景긔엇더니잇고”의 뜻을 가진 말이 붙어 있는 것으로 규정한다.
3. 속요 율격의 이론 손종흠, 「속요율격의 이론」, 『열상고전연구』 34, 2011, 143~152쪽.
1) 名의 개념과 구성원리
언어에서 음절이 모여 구성되는 것으로 분리하여 자립적으로 쓰일 수 있는 말인 단어와도 일정한 관련을 가지고 있는 ‘名’은 주어와 목적어 등이 될 수 있는 명사, 대명사, 수사 등과 그것이 중심을 이루는 주어와 목적어에 격을 설정해주는 조사, 서술어가 되는 동사와 형용사의 어간, 그리고 활용을 하면서 변하는 성격을 가지고 있는 어미 등을 구성요소로 한다. ‘名’이 언어에서 말하는 단어를 기반으로 하는 것에서 출발하기는 했지만 시가에서 말하는 ‘名’은 언어에서 말하는 통사적 개념과는 상당히 다른 것이다.
소리의 율동을 통해 율격을 형성함으로써, 시가를 시가답게 하는 주체가 되는 형식을 통해 형태를 완성하는 방식을 취하는 시가에서, 단어라는 의미만으로는 담아낼 수 없는 예술적 특성을 ‘名’이라는 단위 속에 지니고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하기 때문이다. 이런 점을 바탕으로 할 때 시가에서 ‘名’은 다음과 같은 구성 원리에 의해 형성된다는 것을 지적할 수 있게 된다. 첫째, 통사구조인 단어에서 출발한다. 둘째, 수식어는 중심어와 결합한 형태로 하나의 ‘名’을 이룬다. 셋째, 단어의 격을 설정해주는 조사와 활용을 통해 뜻을 결정하는 어미가 ‘名’을 구분하는 기준점이 된다. 넷째, 통사적 띄어쓰기가 아니라 주기적 반복의 구조단위에 의해 결정된다.
‘名’은 문장 중에서 단어가 하는 구실을 뛰어넘어 새로운 방식의 율동을 형성함으로써 통사구조를 넘어서게 되는데, 그것은 바로 수식어는 독립된 ‘名’을 만들지 못하고, 중심어와 결합한 형태로 됨으로써 하나의 ‘名’을 구성한다는 사실, 생략과 활용을 통해 소리의 장단을 조절하는 기능에 기인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석가>의 경우 ‘有德신님’과 ‘바회우회’ 등은 통사적으로 보면 ‘有德신 님’과 ‘바회 우희’처럼 띄어쓰기를 해서 독립된 단위로 설정해야 하기는 하지만 하나의 구조단위에서 볼 수밖에 없다. 이렇게 할 때 비로소 작품의 율격적 정형성을 담보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것이 바로 일상언어와 기사의 언어를 구별하게 하는 차이점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술어의 경우 현대어로 독립적으로 쓰이기 어려운 것으로 인식되는 어미로 보아야 하는 표현들이 하나의 ‘名’으로 쓰이기도 한다.
살어리 살어리 랏다
靑山애 살어리 랏다
멀위라 래랑 먹고
靑山애 살어리 랏다
얄리얄리 얄랑셩 얄라리얄라
우러라 우러라 새여
자고니러 우러라 새여
널라와 시름한 나도
자고니러 우니로라
얄리얄리 얄라셩 얄라리얄라
어듸라 더디던 돌코
누리라 마치던 돌코
  • 가격1,4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8.11.25
  • 저작시기2018.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15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