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충렬전 어제 오늘의 소설이 아니다.
2)정한담... 요원 스미스와 함깨
3)강승상과 모피어스, 구원의 스승
3)유충렬에게 주어진 파란약과 빨간약. 선의지적으로 결정된 선택의 기로
4)갈무리
2)정한담... 요원 스미스와 함깨
3)강승상과 모피어스, 구원의 스승
3)유충렬에게 주어진 파란약과 빨간약. 선의지적으로 결정된 선택의 기로
4)갈무리
본문내용
불과 할지 모르지만 과거와 현재의 시간차, 소설과 영화라는 매체라는 차이를 넘어 둘을 견주어 보는 것은 새로운 일이였다.
매력적인 두 작품의 비교는 소설 ‘유충렬전’을 나에게 좀 더 의미 있는 것으로 만들어 주었다. 영웅 소설이란 결국 한 시대에 특정화된 것이 아니며, 특정 가치를 강조하기 위해서라도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그 필요성이 중요시 된다는 것을 알았으며, 그것은 결국 우리 인류 모두에겐 공통 된 ‘의지’와 ‘마음’이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게 해주었다.
--------------------------------------------------------------------읽은 책 : 작자 미상. 유충렬전(보성출판사, 1994)
슬라보예 지젝. 메트릭스로 철학하기(한문화멀티미디어 2003)
매력적인 두 작품의 비교는 소설 ‘유충렬전’을 나에게 좀 더 의미 있는 것으로 만들어 주었다. 영웅 소설이란 결국 한 시대에 특정화된 것이 아니며, 특정 가치를 강조하기 위해서라도 어느 시대를 막론하고 그 필요성이 중요시 된다는 것을 알았으며, 그것은 결국 우리 인류 모두에겐 공통 된 ‘의지’와 ‘마음’이 있을 것이라는 믿음을 가지게 해주었다.
--------------------------------------------------------------------읽은 책 : 작자 미상. 유충렬전(보성출판사, 1994)
슬라보예 지젝. 메트릭스로 철학하기(한문화멀티미디어 2003)
추천자료
교육이론으로서의 유교와 불교의 공통점과 차이점
인도 서사시에 대한 이해와 연구 및 고찰 - 고전 서사시와 민간 고전 서사시를 기준으로
[사회과학] 디지털카메라
영웅소설 유충렬전의 대중화
일제 강점기 말기에 ‘고전’의 가치에 대해 깊이 천착했던 잡지 『문장』파 예술가들이 추구한...
2017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경판본 홍길동전과 박태원 홍길동전 비교)
2018년 1학기 고전소설강독 중간시험과제물 공통(경판본 홍길동전과 박태원 홍길동전 비교)
성 아우구스티누스의『고백록』서평 - 아우구스티누스의 창조론과 함께 보는 신학함의 측면들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