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주민의 남한 드라마 시청현황에 관한 연구 (1990년대 말 이후를 중심으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주민의 남한 드라마 시청현황에 관한 연구 (1990년대 말 이후를 중심으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북한주민의 남한 드라마 시청현황에 관한 연구 (1990년대 말 이후를 중심으로)



제1장 서론
 제1절 연구 배경
 제2절 연구목적 및 의의

제2장 연구 방법
 제1절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 이론적 배경
  2. 선행연구
 제2절 연구 방법

제3장 남한 드라마 시청 현황
 제1절 남한 영상매체의 북한 유통 구조
 제2절 드라마의 유통과정

제4장 결론 요약 및 논의

※ 참고문헌

본문내용

오랜 기간 동안 사회주의 체제의 엄격한 정보통제에서 살아온 북한 주민들에게 남한 영상매체는 외부세계의 문화와 정보를 접할 수 있는 창이 되었다.
또한 영상매체의 유통과정에서 새로운 사회상이 형성되었다는 특징도 있다. 즉, 영상매체라는 상품이 매개체가 되어 사람과 사람 사이의 연계망이 형성된 것이다. 행위자 네트워크이론 (actor-network theory)에서는 상품을 매개로 하는 네트워크의 형성으로 비인간적 물체 역시 이종네트워크를 구성하는데, 중요한 것은 상품을 얼마나 소유했고 이것을 통해 어떻게 네트워크를 형성하느냐가 권력의 크기를 결정지을 수 있다는 점이다. 브루노 라투르 지음, 홍성욱 옮김, 『인간, 사물, 동맹: 행위자네트워크이론과 테크로사이언스』 (서울: 이음, 2010), p42.
북한에서 남한 영상매체(매개체)가 사람과 사람을 연결하는 이종네트워크로 기능한다면, 만약 이러한 매개체가 사라지거나 또는 전폭적으로 확대될 경우 인적네트워크는 물론 시스템(체제)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는 것이다.
제2절 연구목적 및 의의
본 연구는 이러한 상황에 주목하여 북한 내에 확산되는 남한여상매체의 유통구조를 살표보는데 목적이 있다.
북한 주민들은 남한인식에 대해 북한당국이 지시하는 세뇌교육으로 주입된 편향된 인식을 갖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런데 외부로부터 유입된 정보가 사회적 연결망을 통해 확산되어 개인의 의식변화와 행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이는 곧 체제의 변화를 폭발시킬 수 있는 요인이 될 수도 있다. 따라서 외부정보 유입의 구조와 기능분석은 결국 북한체제라는 하나의 구조적 틀 안에서 이를 구성하는 행위자들의 변화가 체제에 어떠한 여향을 미치는가를 살펴보는 것이다. 즉, 미시적 측면에서 개인의 행위와 연계망이 거시적 측면의 북한체제 변화에 어떠한 여향을 미치는가의 문제이다.
제2장 연구 방법
제1절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 이론적 배경
본 연구의 주된 관심은 남한영상매체 유통의 구조와 기능에 대한 분석이다. 구조분석은 ‘지역간 유통구조’와 \'대인간 유통구조‘라는 두 가지 부분으로 구분한다.
먼저, 지역간 유통구조는 시장의 거래망을 통해 남한 영상매체가 북-중국경을 통해 유입되는 과정, 지역간 유통 및 거래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즉 중국현지의 남한영상매체 상인, 북-중 국경을 통하여 물건을 반입하는 사람과 시장에서 장사하는 사람 그리고 도매와 소매상 등 상품을 매개로 하는 네트워크가 형성되고 있는 것이다. 이우영, “북한 체제 내 사적 담론 형성의 가능성,”『북한 도시주민의 사적 영역 연구』(서울: 한울 아카데미, 2008),P.167.
다음으로 돌려보기를 통한 사회적 연결망의 형성은 동일한 지역을 포함하여 사람과 사람사이의 네트워크가 어떻게 형성되고 있는가의 문제이다.
2. 선행연구
남한 영상매체가 북한에 본격적으로 유입되기 시작한 시기는 대략 2000년도 이후부터라고 볼 수 있다. 남한 영상매체의 북한 유통경로나 확산과정을 중점적으로 다룬 연구는 아직까지 활발히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조사된다. 다만, 1990년대 북한 도시 지방 주민들의 외부정보 실태를 탈북자 면접을 통해 조사한 이주철의 “북한주민의 남한 방송 수용 실태와 의식변화”, “북한주민의 외부정보 수용 태도변화”연구가 있다. 이 연구는 북한 내부의 외부방송이나 영상매체의 수용을 하기 위해 북한주민의 라디오와 T, 비디오 플FP이어, DVD플레이어 등의 보유 및 유통을 조사하고 주민들의 의식변화를 분석하였다.
그런데 이 연구는 북한 내부의 외부영상물 유입에 대한 선구적 연구로서는 의미가 있지만, 1990년대 상황을 분석한 것으로 현재의 북한내부를 이해하는 데에는 시의성에 한계가
  • 가격1,4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8.12.13
  • 저작시기2018.1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394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