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신생아의 반사행동
I. 빨기반사
II. 탐색반사
III. 모로반사
IV. 걷기반사
V. 잡기반사
VI. 바빈스키반사
* 참고문헌
I. 빨기반사
II. 탐색반사
III. 모로반사
IV. 걷기반사
V. 잡기반사
VI. 바빈스키반사
*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지를 신속하게 전신근육에 전달하는 기능을 가지는 피질척수로인 추체로 장애가 있을 때 나타난다.
일반적으로 신생아의 발바닥을 간질이는 등 가벼운 측각 자극을 주면 발바닥을 아래쪽으로 오므리는 동작을 보이는 반사(발바닥 파악 반사, planter flaxion)를 한다. 바빈스키반사는 발바닥 파악 반사의 병리적인 개념이며 뇌종양, 뇌졸중, 척수염 등에서 나타난다. 병원 응급실에 신생아가 의식을 잃고 실려올 경우 간단한 바빈스키 반사 검사로 영아의 뇌손상 여부를 추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2개월 정도가 되면 이 검사를 할 수 있지만 신경발달이 완전하지 않은 경우에는 흔하게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중추신경계의 발달이 완전히 이루어지면 이 증상은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실제 적용 중심의 미술치료 : 정현희 저, 2006, 학지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일반적으로 신생아의 발바닥을 간질이는 등 가벼운 측각 자극을 주면 발바닥을 아래쪽으로 오므리는 동작을 보이는 반사(발바닥 파악 반사, planter flaxion)를 한다. 바빈스키반사는 발바닥 파악 반사의 병리적인 개념이며 뇌종양, 뇌졸중, 척수염 등에서 나타난다. 병원 응급실에 신생아가 의식을 잃고 실려올 경우 간단한 바빈스키 반사 검사로 영아의 뇌손상 여부를 추측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12개월 정도가 되면 이 검사를 할 수 있지만 신경발달이 완전하지 않은 경우에는 흔하게 이러한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중추신경계의 발달이 완전히 이루어지면 이 증상은 자연스럽게 사라진다.
* 참고문헌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실제 적용 중심의 미술치료 : 정현희 저, 2006, 학지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성장발달과 건강 : 김태임, 김희순 외 3명 저 / 2014 / 교문사
발달심리학 : 신명희, 서은희 외 3명 저 / 2013 / 학지사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