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청소년기 발달
I. 신체 및 성적 발달
1. 신체발달
2. 성적 발달
3. 신체 및 성적 발달의 영향
1) 자기상
2) 신체적 성숙의 영향
II. 인지발달
1. 형식적 조작
2. 사회인지발달
1) 청년기 자아중심성
2) 정치 및 사회적 사고의 발달
III. 자아 및 도덕성 발달
1. 자아 및 자존감의 발달
2. 도덕성의 발달
* 참고문헌
I. 신체 및 성적 발달
1. 신체발달
2. 성적 발달
3. 신체 및 성적 발달의 영향
1) 자기상
2) 신체적 성숙의 영향
II. 인지발달
1. 형식적 조작
2. 사회인지발달
1) 청년기 자아중심성
2) 정치 및 사회적 사고의 발달
III. 자아 및 도덕성 발달
1. 자아 및 자존감의 발달
2. 도덕성의 발달
* 참고문헌
본문내용
래집단이나 급우들이다. 이들의 영향은 부모보다 훨씬 큰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청소년기 자존감이 여러 하위영역에서의 자기평가를 통합할 것이기는 하지만, 청년들이 특히 중요성을 부여하는 영역이 있다. 청년초기에는 외모나 신체적 매력이 가장 중요한 하위영역이다. 또래집단의 수용여부나 인기 또한 청소년기 자아존중감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서구의 경우 외모와 인기는 학업적 성공도보다 청소년기 자아존중감에 훨씬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존감은 청소년기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자존감이 낮은 청년들이 가장 경계해야 될 현상이 청소년기 우울증이다. 청소년기 낮은 자존감이 우울증으로 발전되는 과정에는 부모의 기대와 또래의 요구가 크게 작용한다. 자존감이 낮은 청소년에 대한 부모의 기대가 계속적으로 높을 경우에 무력감이 커지게 되며, 이러한 무력감은 우울증으로 발전하게 된다. 반대로 부모와 또래집단의 따뜻한 지지나 격려가 있을 때 낮은 자존감으로부터 회복될 수 있다.
(2) 도덕성의 발달
청년들은 학동초기 아동이 직면한 도덕적 문제보다 훨씬 더 복잡한 문제에 대한 도덕적 판단을 하여야만 한다. 청년들은 도덕적 상황에서 요구되는 정의의 개념과 페어플레이 원리를 알고 있으며 다양한 조망을 고려할 수 띤다.
콜버그(Kohlberg, 1964)는 개인의 도덕적 판단능력은 학동초기부터 청년후기까지에서 질적으로 변화한다고 가정하고 전인습적 수준, 인습적 수준 그리고 후인습적 수준의 세 수준을 제시하였다. 콜버그의 이론에 의하면 10세부터 18세까지의 인습적 수준의 청소년들은 권위적 인물을 존경하고 기존의 규칙체계를 유지하는 것을 중요시한다. 인습적 수준의 도덕성에서 후인습적 수준의 도덕성으로 변화되는 청소년기 동안 전통적 도덕원리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진다. 청년들은 다양한 참조집단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도덕적 규칙에 대해 하위문화적 상대성을 점차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덕적 규칙의 탐색은 정체감 형성과정의 일부이기 때문에 정체감의 형성과 함께 발달된다.
투리엘(Turiel, 1974)은 고등학교 시기의 말기와 대학생활의 초기동안 인습적 수준과 후인습적 수준 사이의 과도기적 추리능력 단계를 발견하였다. 이 시기 동안 인습수준의 도덕적 원리는 도전을 받게 되지만 아직까지 새롭고 독립적인 가치관은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 청년후기의 젊은이들은 그들이 소속한 사회의 모순과 가치체계의 불합리성을 발견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덕적 규칙을 탐색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청소년기 자존감이 여러 하위영역에서의 자기평가를 통합할 것이기는 하지만, 청년들이 특히 중요성을 부여하는 영역이 있다. 청년초기에는 외모나 신체적 매력이 가장 중요한 하위영역이다. 또래집단의 수용여부나 인기 또한 청소년기 자아존중감에 강력한 영향을 미친다. 서구의 경우 외모와 인기는 학업적 성공도보다 청소년기 자아존중감에 훨씬 크게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자존감은 청소년기 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자존감이 낮은 청년들이 가장 경계해야 될 현상이 청소년기 우울증이다. 청소년기 낮은 자존감이 우울증으로 발전되는 과정에는 부모의 기대와 또래의 요구가 크게 작용한다. 자존감이 낮은 청소년에 대한 부모의 기대가 계속적으로 높을 경우에 무력감이 커지게 되며, 이러한 무력감은 우울증으로 발전하게 된다. 반대로 부모와 또래집단의 따뜻한 지지나 격려가 있을 때 낮은 자존감으로부터 회복될 수 있다.
(2) 도덕성의 발달
청년들은 학동초기 아동이 직면한 도덕적 문제보다 훨씬 더 복잡한 문제에 대한 도덕적 판단을 하여야만 한다. 청년들은 도덕적 상황에서 요구되는 정의의 개념과 페어플레이 원리를 알고 있으며 다양한 조망을 고려할 수 띤다.
콜버그(Kohlberg, 1964)는 개인의 도덕적 판단능력은 학동초기부터 청년후기까지에서 질적으로 변화한다고 가정하고 전인습적 수준, 인습적 수준 그리고 후인습적 수준의 세 수준을 제시하였다. 콜버그의 이론에 의하면 10세부터 18세까지의 인습적 수준의 청소년들은 권위적 인물을 존경하고 기존의 규칙체계를 유지하는 것을 중요시한다. 인습적 수준의 도덕성에서 후인습적 수준의 도덕성으로 변화되는 청소년기 동안 전통적 도덕원리에 대한 재평가가 이루어진다. 청년들은 다양한 참조집단과의 상호작용을 통하여 도덕적 규칙에 대해 하위문화적 상대성을 점차적으로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도덕적 규칙의 탐색은 정체감 형성과정의 일부이기 때문에 정체감의 형성과 함께 발달된다.
투리엘(Turiel, 1974)은 고등학교 시기의 말기와 대학생활의 초기동안 인습적 수준과 후인습적 수준 사이의 과도기적 추리능력 단계를 발견하였다. 이 시기 동안 인습수준의 도덕적 원리는 도전을 받게 되지만 아직까지 새롭고 독립적인 가치관은 확립되지 않은 상태에 있다. 청년후기의 젊은이들은 그들이 소속한 사회의 모순과 가치체계의 불합리성을 발견하고 그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덕적 규칙을 탐색한다.
* 참고문헌
인간발달 / 박성연, 백지숙 저 / 파워북 / 2011
아동상담 / 구은미, 박성혜 외 2명 저 / 양서원 / 2016
아동발달 / 이항재 저 / 교육과학사 / 2004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아동심리학 / 김경희 저 / 박영사 / 2005
인간발달 / 조복희, 도현심 외 1명 저 / 교문사 / 2016
인간발달과 교육 / 이현림, 김영숙 저 / 교육과학사 / 2016
추천자료
2013년 2학기 청소년심리 기말시험 핵심체크
청소년기의 성장발달 (청소년기, 청소년기성장, 청소년기발달, 청소년신체발달, 청소년인지발...
[영아발달] 영아기 발달(영아의 성장발달 특성- 영아기 신체성장, 감각발달, 신체 및 운동발...
[청소년기 발달특성] 청소년기 신체발달 성적발달 인지발달 심리사회적 발달 정서발달
[청소년기 발달특성] 청소년기 신체발달 인지발달 정서발달 자아정체감발달 사회성 발달 청소...
청소년기 발달특성(청소년기 발달특징 발달단계 발달과업)
아동기 및 청소년기 발달특성과 발달과업 및 특징과 중요성
인간의 발달과 성장을 생애발달과정(태아기, 영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 장년기, ...
[청소년기 발달특성] 청소년기 신체발달, 정서발달, 인지발달, 자아정체감발달, 사회성 발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