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자아방아기제
1. 억압
2. 퇴행
3. 반동형성
4. 투사
5. 합리화
6. 전치
7. 승화
8. 부정
9. 분리
10. 보상
11. 취소
12. 동일시
13. 내면화
* 참고문헌
1. 억압
2. 퇴행
3. 반동형성
4. 투사
5. 합리화
6. 전치
7. 승화
8. 부정
9. 분리
10. 보상
11. 취소
12. 동일시
13. 내면화
* 참고문헌
본문내용
9. 분리
분리(isolation) 또는 격리란 고통스러운 기억, 생각과 그에 수반된 감정과 정서를 의식에서 분리시키는 과정이다. 분리 방어기제를 사용하면 고통스러웠던 사실은 기억하지만 감정과 정서는 억압하게 된다. 즉, 그러한 사실은 의식 속에 있지만 그런 감정은 무의식에 존재하게 된다. 예컨대 정신분열병 환자가 부모님이 돌아가셨다는 소식에도 겉으로 아무런 정서적 표현을 하지 않는 경우이다.
10. 보상
보상(compensation)은 심리적으로 어떤 약점이나 제한이 있는 사람이 이를 보충하기 위해 다른 어떤 것을 과도하게 발전시키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키 작은 사람이 목소리가 크다거나, 작은 고추가 맵다는 말에서 찾을 수 있다.
11. 취소
취소(undoing)는 받아들일 수 없는 충동이나 행동에 대해 상징적으로 복구하는 것이다. 예컨대 부인 이외에 다른 여인을 사랑한 남편이 부인에게 값비싼 선물을 사주는 경우이다. 또한 부정한 방법으로 돈을 벌었다고 생각한 사람이 자선모임에 참석하여 기부하는 경우이다.
12. 동일시
동일시는 불안이나 다른 부정적 정서를 줄이기 위해 다른 사람의 특성을 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형을 적대적으로 질투하는 동생이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형을 동일시하는 경우이다. 이를 통해 동생은 형의 개인적 특성을 소유하기 때문에 더 이상 형에 대한 질투는 사라지게 된다.
13. 내면화
내면화(introjection)는 외부대상의 특성을 자신의 내면체계에 받아들이는 것으로 동일시의 원시적 형태이다. 예컨대 사망한 남편의 이미지를 자신의 내면에 동화하여 남편이 현실에 있는 것처럼 행동한다든지, 부모를 미워하는 감정을 수용할 수 없는 자녀가 자신을 미워하며 심리적 고통을 수반하는 경우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애착이론과 정신분석 / Peter Fronagy 저, 반건호 역 / 빈센트 / 2005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유아인지발달 / 이화도 저 / 창지사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분리(isolation) 또는 격리란 고통스러운 기억, 생각과 그에 수반된 감정과 정서를 의식에서 분리시키는 과정이다. 분리 방어기제를 사용하면 고통스러웠던 사실은 기억하지만 감정과 정서는 억압하게 된다. 즉, 그러한 사실은 의식 속에 있지만 그런 감정은 무의식에 존재하게 된다. 예컨대 정신분열병 환자가 부모님이 돌아가셨다는 소식에도 겉으로 아무런 정서적 표현을 하지 않는 경우이다.
10. 보상
보상(compensation)은 심리적으로 어떤 약점이나 제한이 있는 사람이 이를 보충하기 위해 다른 어떤 것을 과도하게 발전시키는 것을 말한다. 예컨대 키 작은 사람이 목소리가 크다거나, 작은 고추가 맵다는 말에서 찾을 수 있다.
11. 취소
취소(undoing)는 받아들일 수 없는 충동이나 행동에 대해 상징적으로 복구하는 것이다. 예컨대 부인 이외에 다른 여인을 사랑한 남편이 부인에게 값비싼 선물을 사주는 경우이다. 또한 부정한 방법으로 돈을 벌었다고 생각한 사람이 자선모임에 참석하여 기부하는 경우이다.
12. 동일시
동일시는 불안이나 다른 부정적 정서를 줄이기 위해 다른 사람의 특성을 취하는 것이다. 예를 들면, 형을 적대적으로 질투하는 동생이 자신을 방어하기 위해 형을 동일시하는 경우이다. 이를 통해 동생은 형의 개인적 특성을 소유하기 때문에 더 이상 형에 대한 질투는 사라지게 된다.
13. 내면화
내면화(introjection)는 외부대상의 특성을 자신의 내면체계에 받아들이는 것으로 동일시의 원시적 형태이다. 예컨대 사망한 남편의 이미지를 자신의 내면에 동화하여 남편이 현실에 있는 것처럼 행동한다든지, 부모를 미워하는 감정을 수용할 수 없는 자녀가 자신을 미워하며 심리적 고통을 수반하는 경우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애착이론과 정신분석 / Peter Fronagy 저, 반건호 역 / 빈센트 / 2005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유아인지발달 / 이화도 저 / 창지사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자아방어기제의 종류에 대해서 기술하고 자신이 흔히 사용하는 방어기제가 무엇인지를 기록하...
자아방어기제의 개념과 종류 및 본인이 사용하고 있는 방어기제에 대해
자아방어기제 종류의 의의 및 사례를 제시하시오 (방어기제의 의의 , 방어기제 종류의 의의와...
안나프로이트의 방어기제에 대하여, 자아방어기제의 종류와 예를 들어 자세히 설명하고, 자신...
자아방어기제 종류 및 사례를 서술하시오
자아방어기제의 종류를 쓰되 예를 제시하여 기록하세요. 그리고 이중 자신이 빈번히 사용하고...
프로이트의 자아방어기제의 개념과 기능, 종류에 대해 설명하시오. 그리고 그 자아방어기제 ...
[자아방어기제의 종류를 쓰되 예를 제시하여 기록하세요. 그리고 이중 자신이 빈번히 사용하...
프로이트(Freud)의 자아방어기제의 개념과 기능 종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