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인간의 본성에 대한 가정
1. 결정론적 입장
1) 환경결정론적 입장
2) 정신(무의식)결정론적 입장
3) 사회-문화 결정론
4) 유전 결정론
2. 비결정론적 입장
1) 인본주의적 입장
2) 기타의 입장
II. 인간의 본성에 대한 양극론
1. 자유의지-결정론
2. 합리성-비합리성
3. 총체주의-요소주의
4. 유전론-환경론
5. 가변성-불변성
6. 주관성-객관성
7. 자발적 행동-반응행동
8. 평형성-불평형성
9. 가지론-불가지론
* 참고문헌
1. 결정론적 입장
1) 환경결정론적 입장
2) 정신(무의식)결정론적 입장
3) 사회-문화 결정론
4) 유전 결정론
2. 비결정론적 입장
1) 인본주의적 입장
2) 기타의 입장
II. 인간의 본성에 대한 양극론
1. 자유의지-결정론
2. 합리성-비합리성
3. 총체주의-요소주의
4. 유전론-환경론
5. 가변성-불변성
6. 주관성-객관성
7. 자발적 행동-반응행동
8. 평형성-불평형성
9. 가지론-불가지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행동을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을 강력히 시사한다. 따라서 주관성을 강조하는 이론가는 개개인의 주관적 경험의 내용이 무엇이냐에 관심을 많이 갖는다. 반대로 객관성을 강조하는 이론가들은 겉으로 드러난 객관적인 행동과 외부 세계의 측정 가능한 요인간의 인과관계나 일관적인 법칙을 주로 다룬다.
7. 자발적 행동 - 반응행동
인간의 행동은 대체적으로 그 자신의 내부적 힘에 의해서 야기되는가, 아니면 단순히 외부의 자극에 대한 일련의 반응으로 나타나는가? 하는 문제이다.
자발적인 행동을 하는 존재로 보는 입장은 모든 행동의 원천이 개인 내부에 존재한다고 믿는다. 사람은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행동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행동의 원인을 개인 내부에서 찾을 수 있다고 확신한다. 자아실현의 욕구 같은 것이 그것이다. Maslow는 자아실현을 개인의 선천적이고 긍정적인 가능성을 개발하고 성취시키는 일로 보았다. 행동의 원천이 개인 내부의 욕구에 있으며 따라서 인간은 이의 성취를 위해 자발적인 행동을 한다는 것이다. 그는 또한 "인간은 그 자신 안에 자신의 미래를 갖고 있으며, 지금 이 순간에도 역동적인 행위를 하고 있다"(1961, p. 59)고 주장한다.
이와는 반대로 반응행동으로 보는 견해는 행동을 외부에서 오는 자극에 대한 반응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본다. 자극이 없으면 행동도 없다는 것이다. 이들은 자극-반응, 행동-환경 간의 관계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8. 자발적 행동 - 반응행동
인간은 기본적으로 또는 전적으로 긴장을 감소시키고 내적 평형상태를 유지하도록 동기화된 존재인가? 아니면 인간은 성장, 자극 추구 및 자아실현과 같은 것을 지향하는 불평형적인 것을 추구하도록 동기화된 존재인가? 평형론자들은 인간은 자신의 여러 가지 욱구를 감소시켜 내적 균형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안정된 성격특성을 획득하는 존재로 보았다. 이와는 달리 인본주의적 견해를 지닌 학자들은 인간을 성장과 자아실현을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존재로 봄으로써 인간의 행동은 단순한 긴장 감소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자극과 자아충족을 위한 도전적 기회를 모색하는 불평형적 존재로 보고 있다. 평형론자들은 긴장 감소를 다루는 개인의 성격기제에 관심이 많고, 불평형론자들은 자아실현, 미래지향적 행동, 성장과 자아충족 등과 같은 인간 동기의 통합성을 특히 강조한다.
9. 가지론-불가지론
과연 인간의 행동을 완전히 파악, 또는 이해할 수 있는 것인가? 인간행동의 원인과 결과를 명백히 설명할 수 있다면 성격이론은 불필요할 것이다. 이론은 검증되지 않았거나 적어도 앞으로 검증을 요하는 가정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아직까지는 인간행동을 불가해적 측면이 많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한 가운데서도 결정론과 객관론에 치우치는 학자들은 인간에 대한 과학적인 이해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현상학적인 입장을 취하는 학자들은 개인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주관적 경험의 세계에 살고 있음으로 한 개인을 철저히 과학적인 입장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로 간주하고 있다. 다만 우리는 인간행동의 몇 가지원리나 지향성 정도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7. 자발적 행동 - 반응행동
인간의 행동은 대체적으로 그 자신의 내부적 힘에 의해서 야기되는가, 아니면 단순히 외부의 자극에 대한 일련의 반응으로 나타나는가? 하는 문제이다.
자발적인 행동을 하는 존재로 보는 입장은 모든 행동의 원천이 개인 내부에 존재한다고 믿는다. 사람은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행동한다는 것이다. 이들은 행동의 원인을 개인 내부에서 찾을 수 있다고 확신한다. 자아실현의 욕구 같은 것이 그것이다. Maslow는 자아실현을 개인의 선천적이고 긍정적인 가능성을 개발하고 성취시키는 일로 보았다. 행동의 원천이 개인 내부의 욕구에 있으며 따라서 인간은 이의 성취를 위해 자발적인 행동을 한다는 것이다. 그는 또한 "인간은 그 자신 안에 자신의 미래를 갖고 있으며, 지금 이 순간에도 역동적인 행위를 하고 있다"(1961, p. 59)고 주장한다.
이와는 반대로 반응행동으로 보는 견해는 행동을 외부에서 오는 자극에 대한 반응에 지나지 않는 것으로 본다. 자극이 없으면 행동도 없다는 것이다. 이들은 자극-반응, 행동-환경 간의 관계를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8. 자발적 행동 - 반응행동
인간은 기본적으로 또는 전적으로 긴장을 감소시키고 내적 평형상태를 유지하도록 동기화된 존재인가? 아니면 인간은 성장, 자극 추구 및 자아실현과 같은 것을 지향하는 불평형적인 것을 추구하도록 동기화된 존재인가? 평형론자들은 인간은 자신의 여러 가지 욱구를 감소시켜 내적 균형상태를 유지시켜 주는 안정된 성격특성을 획득하는 존재로 보았다. 이와는 달리 인본주의적 견해를 지닌 학자들은 인간을 성장과 자아실현을 위해 부단히 노력하는 존재로 봄으로써 인간의 행동은 단순한 긴장 감소에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자극과 자아충족을 위한 도전적 기회를 모색하는 불평형적 존재로 보고 있다. 평형론자들은 긴장 감소를 다루는 개인의 성격기제에 관심이 많고, 불평형론자들은 자아실현, 미래지향적 행동, 성장과 자아충족 등과 같은 인간 동기의 통합성을 특히 강조한다.
9. 가지론-불가지론
과연 인간의 행동을 완전히 파악, 또는 이해할 수 있는 것인가? 인간행동의 원인과 결과를 명백히 설명할 수 있다면 성격이론은 불필요할 것이다. 이론은 검증되지 않았거나 적어도 앞으로 검증을 요하는 가정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아직까지는 인간행동을 불가해적 측면이 많이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러한 가운데서도 결정론과 객관론에 치우치는 학자들은 인간에 대한 과학적인 이해가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그러나 현상학적인 입장을 취하는 학자들은 개인은 끊임없이 변화하는 주관적 경험의 세계에 살고 있음으로 한 개인을 철저히 과학적인 입장으로 이해한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로 간주하고 있다. 다만 우리는 인간행동의 몇 가지원리나 지향성 정도를 알 수 있다는 것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아들러 인생방법 심리학/알프레드 아들러 저, 한성자 역/동서문화사/2017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추천자료
[인간행동과사회환경]분석심리학이론 - Jung의 생애, 정신에너지(리비도), 성격체제와 성격발...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생태학적 이론(생태체계이론의 개념과 특성 및 유용성), 생태체계이론...
[가족복지론] 가정폭력 - 가정폭력의 역사적 배경 및 개념, 가정폭력에 관한 이론적 관점, 가...
스키너의 행동수정이론과 아들러의 개인심리학 이론에서의 인간의 본성에 대한 가정에 자신은...
[가족복지론] 한부모 가정, 한부모 가족 (한부모 가정의 정의, 개념 및 분류, 발생원인, 특성...
[가족복지론] 가족복지론에서 가정폭력가족에 대한 개념 및 유형에 대해 조사하시오 - 가정폭...
[상담과 심리치료] 행동치료의 주요 이론적 개념들 - 인간의 본성에 대한 관점, 행동치료의 ...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게슈탈트치료의 인간 본성에 대한 관점과 주요 이론적 개념 및 치료적...
[상담과 심리치료] 인간의 본성에 대한 기독교 상담의 입장(성경적 관점) 및 기독교 상담및 ...
다음(정신분석 인간중심 행동주의 형태주의 인지행동대상관계) 상담이론 중 한 가지를 선택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