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서론
2. 고려파 분열
3. 조신파 분열
4. 합동과 통합의 분열
5. 결론
2. 고려파 분열
3. 조신파 분열
4. 합동과 통합의 분열
5. 결론
본문내용
기존 헌법 하에 후임자를 지명하고 선거를 치르겠다는 의지 발표하자, 많은 기독교인들이 단식, 기도회, 성명발표, 시위, 농성등을 통해 민주화 운동에 참여함.
- 1987년 6월 항쟁을 전환점으로 변혁운동이 시민운동으로 전환, 시민참여 전제의 사회참여가 가능하게 됨.
- 기독청년학생들 중심으로 적극적인 공명선거운동을 전개했으나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야권이 분열되면서 민주화 쟁취는 좌절됨.
3. 결론
“한국 기독교의 오늘은 과거의 결과이며 미래의 시작이다.” 1960~80년대의 역사에서 민주화 운동의 발전을 확인할 수 있고, 기독교적으로도 알 수 있음.
통일운동과 한국교회
목차
1. 서론
2. 통일운동의 역사적 배경
3. 교회의 통일운동 전개
4. 결론
1. 서론
- 강의 목적: 통일운동에 참여했던 한국교회를 알아봄.
- 키워드: 통일운동, KNCC, 방북운동
- 예상 청자: 한국 개신교회 청년층
- 예상 반응: 한국교회가 통일운동에 참여함을 알고, 앞으로 우리가 나아갈 길을 생각해본다.
2. 통일운동의 역사적 배경
- 1945년 8월 15일, 해방을 맞이했지만 또 다른 해방이 필요한 상황을 맞이하게 됨.
-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 발발.
- 1961년 5.16 군사쿠데타에 의해 박정희 군사정권 시작.
- 1960년대에도 한국 교회의 흐름은 강력한 반공노선으로 이어짐.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를 포함한 전교회가 공산주의와의 싸움을 이유로 베트남전 파병을 지지함.
- 강원용은 “공산주의와 대결하는 동시에 우익독재나 독점 자본주의와도 대결”하는 것으로 제시.
- 1970년대 초반, 남북은 여전히 대치하지만 국제적 정세에 자극되어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 발표.
- 체결 이후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는 통일 및 사회정의 기독교협의회를 창립함.
- 1980년 5월, 광주 민주항쟁 이후부터 통일에 대한 논의와 운동이 활발히 이루어짐.
- 1980년대 초, 한국에서 정부에 대항하는 정치적 운동이 국가화해와 통일운동이 됨.
3. 통일운동 전개과정
1) KNCC의 통일을 위한 노력
- 1981년 한국 기독교교회협의회(KNCC)는 제 4차 한국.독일 교회협의회에서 분단국가로서 한국과 독일의 위상과 통일 전망을 논의함.
- 1982년 KNCC내에 “통일문제연구원 운영위원회”를 조직하여 통일문제를 체계적으로 연구해 가게 됨.
- KNCC는 통일의 노력을 지역적 분쟁 해결 차원을 넘어 만물을 통치하는 하나님이 세상을 구원하려는 평화 운동으로 이해하게 됨.
- 1985년, 제34회 KNCC 총회에서 <한국 교회 평화통일 선언>을 발표.
- 1987년 제3차 통일문제협의회로부터 1988년 2월 마침내 <민족 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 기독교회의 선언>이 제 37차 총회에 역사적으로 선언된다.
- 1993년 8월 15일 서울 독립문에서 임진각으로 이어지는 길에서 남북 인간띠잇기 대회 주최.
2) 방북운동
- 1989년 3월 25일 문익환 목사가 평양을 방문함.
- 1988년 7월 7일 노태우 정권이 대북 유화책을 7.7선언을 함.
- ‘남북학생회담’과 ‘평양축전’을 요구하는 젊은 학생들의 투쟁과 좌절이 방북을 결심하게 함.
- 1989년, 실정법을 어기고 방북해 김일성과의 면담 진행, 4.2공동성명 발표.
결론
1980년대 통일에 대한 사회적 열기와 더불어 시작된 한국교회의 통일운동에 대해 알아봄. 군사정권의 강압통치와 남북 간 긴장이 지속되고 있던 속에서도 한국 교회는 평화와 통일의 문제를 공식 의제로 채택하여 토론하는 자리를 가졌으며, 이러한 만남들을 통해 기독교계를 중심으로 한 민간 통일운동이 공개적으로 진행되는 계기를 만들었음. 또한 문익환 목사의 방북 역시 의미가 깊음.
- 1987년 6월 항쟁을 전환점으로 변혁운동이 시민운동으로 전환, 시민참여 전제의 사회참여가 가능하게 됨.
- 기독청년학생들 중심으로 적극적인 공명선거운동을 전개했으나 대통령선거를 앞두고 야권이 분열되면서 민주화 쟁취는 좌절됨.
3. 결론
“한국 기독교의 오늘은 과거의 결과이며 미래의 시작이다.” 1960~80년대의 역사에서 민주화 운동의 발전을 확인할 수 있고, 기독교적으로도 알 수 있음.
통일운동과 한국교회
목차
1. 서론
2. 통일운동의 역사적 배경
3. 교회의 통일운동 전개
4. 결론
1. 서론
- 강의 목적: 통일운동에 참여했던 한국교회를 알아봄.
- 키워드: 통일운동, KNCC, 방북운동
- 예상 청자: 한국 개신교회 청년층
- 예상 반응: 한국교회가 통일운동에 참여함을 알고, 앞으로 우리가 나아갈 길을 생각해본다.
2. 통일운동의 역사적 배경
- 1945년 8월 15일, 해방을 맞이했지만 또 다른 해방이 필요한 상황을 맞이하게 됨.
- 1950년 6월 25일, 한국전쟁 발발.
- 1961년 5.16 군사쿠데타에 의해 박정희 군사정권 시작.
- 1960년대에도 한국 교회의 흐름은 강력한 반공노선으로 이어짐.
-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를 포함한 전교회가 공산주의와의 싸움을 이유로 베트남전 파병을 지지함.
- 강원용은 “공산주의와 대결하는 동시에 우익독재나 독점 자본주의와도 대결”하는 것으로 제시.
- 1970년대 초반, 남북은 여전히 대치하지만 국제적 정세에 자극되어 1972년 7.4 남북공동성명 발표.
- 체결 이후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는 통일 및 사회정의 기독교협의회를 창립함.
- 1980년 5월, 광주 민주항쟁 이후부터 통일에 대한 논의와 운동이 활발히 이루어짐.
- 1980년대 초, 한국에서 정부에 대항하는 정치적 운동이 국가화해와 통일운동이 됨.
3. 통일운동 전개과정
1) KNCC의 통일을 위한 노력
- 1981년 한국 기독교교회협의회(KNCC)는 제 4차 한국.독일 교회협의회에서 분단국가로서 한국과 독일의 위상과 통일 전망을 논의함.
- 1982년 KNCC내에 “통일문제연구원 운영위원회”를 조직하여 통일문제를 체계적으로 연구해 가게 됨.
- KNCC는 통일의 노력을 지역적 분쟁 해결 차원을 넘어 만물을 통치하는 하나님이 세상을 구원하려는 평화 운동으로 이해하게 됨.
- 1985년, 제34회 KNCC 총회에서 <한국 교회 평화통일 선언>을 발표.
- 1987년 제3차 통일문제협의회로부터 1988년 2월 마침내 <민족 통일과 평화에 대한 한국 기독교회의 선언>이 제 37차 총회에 역사적으로 선언된다.
- 1993년 8월 15일 서울 독립문에서 임진각으로 이어지는 길에서 남북 인간띠잇기 대회 주최.
2) 방북운동
- 1989년 3월 25일 문익환 목사가 평양을 방문함.
- 1988년 7월 7일 노태우 정권이 대북 유화책을 7.7선언을 함.
- ‘남북학생회담’과 ‘평양축전’을 요구하는 젊은 학생들의 투쟁과 좌절이 방북을 결심하게 함.
- 1989년, 실정법을 어기고 방북해 김일성과의 면담 진행, 4.2공동성명 발표.
결론
1980년대 통일에 대한 사회적 열기와 더불어 시작된 한국교회의 통일운동에 대해 알아봄. 군사정권의 강압통치와 남북 간 긴장이 지속되고 있던 속에서도 한국 교회는 평화와 통일의 문제를 공식 의제로 채택하여 토론하는 자리를 가졌으며, 이러한 만남들을 통해 기독교계를 중심으로 한 민간 통일운동이 공개적으로 진행되는 계기를 만들었음. 또한 문익환 목사의 방북 역시 의미가 깊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