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언
Ⅱ. 자유주의와 복음주의의 이해와 형성 배경
1. 자유주의의 이해
2. 자유주의 신학의 형성배경
3. 복음주의신학의 형성배경
Ⅲ. 자유주의와 복음주의 신학의 태동
1. 자유주의 신학의 시작
2. 자유주의 신학사상의 역사적 흐름
3. 복음주의 신학의 시작
4. 복음주의 신학의 역사적 흐름
Ⅳ. 자유주의와 복음주의 신학의 특징
1. 자유주의 신학의 특징
2. 복음주의(경건주의) 신학의 특징
Ⅴ. 결언
*참고 문헌*
Ⅱ. 자유주의와 복음주의의 이해와 형성 배경
1. 자유주의의 이해
2. 자유주의 신학의 형성배경
3. 복음주의신학의 형성배경
Ⅲ. 자유주의와 복음주의 신학의 태동
1. 자유주의 신학의 시작
2. 자유주의 신학사상의 역사적 흐름
3. 복음주의 신학의 시작
4. 복음주의 신학의 역사적 흐름
Ⅳ. 자유주의와 복음주의 신학의 특징
1. 자유주의 신학의 특징
2. 복음주의(경건주의) 신학의 특징
Ⅴ. 결언
*참고 문헌*
본문내용
(경건주의)는 의인화(justification by faith)보다 거듭남(rebirth)을 더욱 강조하는 경향이 있다. 다시 말해서 말씀을 지성적으로 탐구하는 신앙보다는 말씀을 성령의 감동으로 뜨겁게 체험하는 감성적 신앙을 강조한다.이러한 체험적, 감성적 신앙운동이 일어나게 된 배경은 17세기 개신교 정통주의(Protestant Orthodoxism)가 지나치게 스콜라주의적 지성적 성격을 띠게 됨으로써이에 대한 반동으로 나타난 제2의 종교개혁운동이라고 볼 수 있다. 김홍기, 50
2) 개인구원 강조(individual salvation)
개인구원을 아주 강하게 강조한다. 따라서 크리스천의 사회적 책임이나 사회참여 혹은 사회정의(social justice) 실현을 강조하는 사회윤리(social ethics)에 무관심하다.경건주의가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는 것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개인 영혼구원을 위한 수단이여, 고아원이나 양로원 등 사회복지적, 사회봉사적(social service) 차원이지 사회 변혁적(social transformation) 차원은 아니다. 김홍기, 51
3) 내세 지향적 관심(otherworldly concern)
경건주의는 저 세상적 피안적 구원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미래에 얻게 될 영원한 구원과 행복을 강하게 주장한다. 또한 지상에서의 하나님 나라 확장에 무관심하다. 역사 속에서 하나님의 구원보다 역사를 초월하는 하나님의 구원을 강조함으로써 몰역사적 혹은 탈역사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 김홍기, 51-52
4) 이원론적 사고(dualistic thinking)
저 세상적 피안적 관심은 자연히 이원론적 사고와 연결된다. 영혼은 거룩하고 육체는 악하다는 도식으로 이해한다. 육체의 욕망에서 해방되기 위한 금욕주의적 경건(ascetic piety)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 영지주의적(Gnosticism) 성격을 나타내게 되었다. 김홍기, 52
5) 비정치화
저 세상적 이원론적 사고는 정치적 영역에서도 나타난다. 루터의 두왕국론에 영향 방은 경건주의는 정교분리의 원칙을 주장하였을 뿐 아니라 저 세상적인 이원론적 천국관이 합쳐져서 교회를 비정치화하게 하였다. 이러한 비정치화는 히틀러의 파시즘에 어용화되는 독일 루터교회가 되게 하였다. 김홍기, 52
Ⅴ. 결언
박봉랑의 ‘자유주의’비판을 대하면 결국 한국 교회 신학사에서 절대적 의미의 자유주의 신학이 존재하였는가에 대한 회의는 더욱 깊어진다.
\"자유주의 신학은 그 동기에 있어서 오히려 진리의 변명을 위해서 또는 교회의 역사적인 요청에 응답하는 선교의 행동이기도 하였다. 우리는 그들이 그 시대의 문화에 대하여 복음을 해석하려고 한 그 의도와 또 그 책임성을 높이 평가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신학의 문제점과 비판점은 그들의 신학적 출발점과 표준원리에 있다. 즉 그들의 출발점은 하나님의 말씀이 아니라 인간의 아프리오리 능력이었다 …… 그들은 인간의 아프리오 능력을 궁극적 권위로 함으로써 결국 하나님의 말씀을 잃었다. 하나님의 말씀을 잃었을 때 그 결말은 휴머니즘의 종교이었다. 박봉랑, 위의 책, 33
하나님 말씀 해체, 인간의 아프리오리 능력의 궁극적 권위, 결과적으로 휴머니즘의 종교가 자유주의의 절대적이고 구체적인 영역이라고 규정한다면 한국 신학사의 자유주의 운동은 존재하지 않은 방향으로 편향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부단히 한국 교회는 자유주의 신학의 도전과 논쟁이라는 명제에 놓여 있었다. 그것은 곧 상대적 개념의 자유주의요, 새로운 신학적 방법론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서정민,“한국교회와 자유주의: 한국교회사적 입장” 한국교회사학연구원, 153-154
이장식의 성서의 역사적 연구방법을 자유주의 신학의 방법으로 규정할 때 그리고 박봉랑의 글에서 살펴보면 한국교회에는 휴머니즘의 종교도 없었고 절대적 의미의 자유주의 신학도 존재했다고 말할 수 없을 것 같다.
*참고 문헌*
김영재, 「되돌아보는 한국기독교」합신대학원출판부, 2008
로저 올슨, 「복음주의 신학의 역사」한들출판사 2010
얼E.케이른즈, 「세계 교회사」은성, 2009
김홍기, 「현대교회 신학운동사」,한들출판사, 2008,
서정민, “한국교회와 자유주의: 한국교회사적 입장” 한국교회사학연구원, 「한국 기독교 사상」,연세대학교출판부, 1998
박봉랑 ‘자유주의 신학과 그 비판’ 「기독교사상」1960.3
안명준 ‘ 자유주의 신학의 태동과 특징’ 「교회와 문화」 2003.10
마경일, ‘한국 복음주의의 좌표’ 「기독교사상」1978.12
2) 개인구원 강조(individual salvation)
개인구원을 아주 강하게 강조한다. 따라서 크리스천의 사회적 책임이나 사회참여 혹은 사회정의(social justice) 실현을 강조하는 사회윤리(social ethics)에 무관심하다.경건주의가 사회문제에 관심을 갖는 것도 있다. 그러나 그것은 어디까지나 개인 영혼구원을 위한 수단이여, 고아원이나 양로원 등 사회복지적, 사회봉사적(social service) 차원이지 사회 변혁적(social transformation) 차원은 아니다. 김홍기, 51
3) 내세 지향적 관심(otherworldly concern)
경건주의는 저 세상적 피안적 구원을 중요하게 생각한다. 미래에 얻게 될 영원한 구원과 행복을 강하게 주장한다. 또한 지상에서의 하나님 나라 확장에 무관심하다. 역사 속에서 하나님의 구원보다 역사를 초월하는 하나님의 구원을 강조함으로써 몰역사적 혹은 탈역사적 성격을 띠게 되었다. 김홍기, 51-52
4) 이원론적 사고(dualistic thinking)
저 세상적 피안적 관심은 자연히 이원론적 사고와 연결된다. 영혼은 거룩하고 육체는 악하다는 도식으로 이해한다. 육체의 욕망에서 해방되기 위한 금욕주의적 경건(ascetic piety)을 지나치게 강조함으로 영지주의적(Gnosticism) 성격을 나타내게 되었다. 김홍기, 52
5) 비정치화
저 세상적 이원론적 사고는 정치적 영역에서도 나타난다. 루터의 두왕국론에 영향 방은 경건주의는 정교분리의 원칙을 주장하였을 뿐 아니라 저 세상적인 이원론적 천국관이 합쳐져서 교회를 비정치화하게 하였다. 이러한 비정치화는 히틀러의 파시즘에 어용화되는 독일 루터교회가 되게 하였다. 김홍기, 52
Ⅴ. 결언
박봉랑의 ‘자유주의’비판을 대하면 결국 한국 교회 신학사에서 절대적 의미의 자유주의 신학이 존재하였는가에 대한 회의는 더욱 깊어진다.
\"자유주의 신학은 그 동기에 있어서 오히려 진리의 변명을 위해서 또는 교회의 역사적인 요청에 응답하는 선교의 행동이기도 하였다. 우리는 그들이 그 시대의 문화에 대하여 복음을 해석하려고 한 그 의도와 또 그 책임성을 높이 평가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 신학의 문제점과 비판점은 그들의 신학적 출발점과 표준원리에 있다. 즉 그들의 출발점은 하나님의 말씀이 아니라 인간의 아프리오리 능력이었다 …… 그들은 인간의 아프리오 능력을 궁극적 권위로 함으로써 결국 하나님의 말씀을 잃었다. 하나님의 말씀을 잃었을 때 그 결말은 휴머니즘의 종교이었다. 박봉랑, 위의 책, 33
하나님 말씀 해체, 인간의 아프리오리 능력의 궁극적 권위, 결과적으로 휴머니즘의 종교가 자유주의의 절대적이고 구체적인 영역이라고 규정한다면 한국 신학사의 자유주의 운동은 존재하지 않은 방향으로 편향될 수 밖에 없다. 그러나 부단히 한국 교회는 자유주의 신학의 도전과 논쟁이라는 명제에 놓여 있었다. 그것은 곧 상대적 개념의 자유주의요, 새로운 신학적 방법론에 지나지 않았던 것이다. 서정민,“한국교회와 자유주의: 한국교회사적 입장” 한국교회사학연구원, 153-154
이장식의 성서의 역사적 연구방법을 자유주의 신학의 방법으로 규정할 때 그리고 박봉랑의 글에서 살펴보면 한국교회에는 휴머니즘의 종교도 없었고 절대적 의미의 자유주의 신학도 존재했다고 말할 수 없을 것 같다.
*참고 문헌*
김영재, 「되돌아보는 한국기독교」합신대학원출판부, 2008
로저 올슨, 「복음주의 신학의 역사」한들출판사 2010
얼E.케이른즈, 「세계 교회사」은성, 2009
김홍기, 「현대교회 신학운동사」,한들출판사, 2008,
서정민, “한국교회와 자유주의: 한국교회사적 입장” 한국교회사학연구원, 「한국 기독교 사상」,연세대학교출판부, 1998
박봉랑 ‘자유주의 신학과 그 비판’ 「기독교사상」1960.3
안명준 ‘ 자유주의 신학의 태동과 특징’ 「교회와 문화」 2003.10
마경일, ‘한국 복음주의의 좌표’ 「기독교사상」1978.1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