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승만의 기독교 신앙과 대한민국 정부수립 - 한국교회의 제 문제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이승만의 기독교 신앙과 대한민국 정부수립 - 한국교회의 제 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이승만의 출생과 성장

III. 옥중 개종 과정과 기독교 구국론

IV. 대한민국 초대 정부의 기독교적 성격

VI. 결론

참고 문헌

본문내용

국제주의 등을 바탕으로 한 기독교 국가를 건설하려는 포부를 가지게 되었다. 이승만은 1913년에 발간된 그의 저서 『한국교회 핍박』 (하와이: 新韓國報社)에서 이와 같은 희망을 표시했고, 3.1운동 발발 후 1919년 4월 7일 노령임시정부의 국무경으로서 첫 기자회견을 할 때에도 그랬으며, 해방 후에도 계속 이러한 취지의 발언을 했다고 한다. 유영익, 앞의 책, 227.
그는 배재학당에서 선교사들과 서재필로부터 알게 된 ‘평등’ 개념에 근거한 ‘천부인권’ 사상을 바탕으로 다른 민족의 지배나 간섭을 받지 않고 민족 스스로 독립된 정치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그가 지향하는 정치적 구심점이 되었다. 그리하여 자유와 평등 개념을 바탕으로 한 ‘기독교주의’ 독립국가들의 연합체로서 세계 평화공동체를 구상하였다. 이덕주, 위의 논문, 47.
그는 ‘만국의 왕이신 그리스도를 왕으로 삼아’ 어느 민족이 다른 민족을 구별하거나 압제하거나 지배하지 않고 ‘친 형제 자매같이 사랑하는’ 세계를 모든 기독교 국가들이 추구하는 ‘천국’으로 보았다. 따라서 그가 추구하는 한민족의 독립운동은 단순한 독립국가 건설을 위한 정치운동이 아니라 지상에서 모든 민족이 ‘형제애’를 바탕으로 자유와 평등의 세계를 건설하려는 ‘하나님의 계획’에 참여하는 ‘종교운동’이 되어야 했다. 위의 논문, 48.
IV. 대한민국 초대 정부의 기독교적 성격
1904년 8월 7일경 석방된 이승만은 한규설과 민영환으로부터 미국에서 한국의 독립을 위한 외교활동을 벌이라는 밀명을 받고 11월 4일 대한제국 외부에서 발급받은 집조(執照: 여권)와 한규설이 준 50원의 노자를 들고 미국으로 떠났다. 유영익, 위의 책, 27-8.
그는 1907년 6월 조지워싱턴 대학에서 학사학위를 받은 후, 1년간 하버드에서 수학하였고, 1908년 9월 프린스턴 대학원에 입학하여 1910년 7월 국제법에 관한 「Neutrality as Influenced by the United States」란 논문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에서는 부인 박승선과의 사이에서 태어난 봉수(태산)를 7세의 어린 나이에 디프테리아로 잃는 아픔도 있었으나 신교의 기반위에 탄생한 미국에서 생활하는 동안 기독교 국가를 건설하려는 그의 희망은 더욱 굳건해졌다. 해방이 되자 그는 한국으로 돌아와 그가 꿈꾸어 왔던 독립국가 건설을 위하여 노력하였고 초대 대통령으로 당선이 되자 해방의 그날을 기념하여 1948년 8월 15일 민주주의 이념을 표방하는 대한민국 정부를 마침내 수립하였다.
1948년 7월 24일 중앙청 앞 광장에서 열린 정부통령 취임식에서 낭독한 이승만의 취임사 서두는 다음과 같다.
여러번 죽었던 이 몸이 하나님의 은혜와 동포의 애호로 지금까지 살아 있다가 오늘에 이와 같이 영광스런 추대를 받는 나로는 일변 감격한 마음과 일변 감당키 어려운 책임을 지고 두려운 생각을 금하기 어렵습니다... ... 오늘 대통령 선서하는 이 자리에 하나님과 동포 앞에서 나의 직책을 다하기로 한층 더 결심하며 맹세합니다. ... ... 우리의 대표로 레이크
  • 가격1,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9.01.11
  • 저작시기2019.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693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