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사정
-진단
-계획
-수행
-평가
-참고문헌
-진단
-계획
-수행
-평가
-참고문헌
본문내용
된 O2 2L를 호흡곤란이 있으면 즉시 Nasal Prong으로 투여 받을 수 있도록 한다.
<교육적 지시>
5. 대상자에게 기침과 심호흡, 흉부 물리요법 등의 이완요법에 대해 교육한다.
6. 가능하면 대상자가 Semi-Fowler 체위를 유지하도록 교육한다.
1. 활력징후와 더불어 산소포화도는 환자 신체의 전반적인 상태와 호흡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지표이다.
2. 대상자의 호흡과 관련한 자료 수집을 통해 협착음, 콧구멍 벌렁거리기 등의 부적절한 환기를 나타내는 징후에 대해 사정함으로써 치료의 유무에 대해 사정하기 위함이다.
3. Chest PA의 결과 진폐증의 유무와 범위에 대해 사정하고 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4. 꾸준히 처방된 O2를 투여 받음으로써 대상자의 호흡곤란을 완화하여 불안과 체력소모 등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5. 기침과 심호흡을 통해 흉곽을 최대한으로 팽창시키고, 흉부 물리요법을 통해 객담을 묽게 해 배출이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6. Semi-Fowler체위는 흉곽의 확장을 용이하게 해줌으로써 호흡을 원활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간호중재
※ # 1 간호진단의 간호중재를 작성하시오.
진단
번호
수행날짜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 1
11/23
1. V/S 135/78-77-20-36.7 checked.
SpO2 93% checked.
2. 대상자에게 호흡곤란 시 심호흡과 입술 오므리기 호흡을 하라고 설명 드림.
3. 대상자에게 물 많이 마시기, 흉부 물리요법 등의 이완요법에 대해 교육함.
4. 가능하면 대상자가 Semi-Fowler 체위를 유지하도록 교육함.
5. 대상자에게 Chest PA 촬영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함.
1. 활력징후와 산소포화도는 환자 신체의 전반적인 상태와 호흡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지표이다.
2. 심호흡과 입술 오므리기 호흡은 호기를 연장시켜 호흡곤란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수분섭취와 흉부 물리요법을 통해 객담이 묽어지면 배출이 용이해 호흡에 방해가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4. Semi-Fowler 체위를 통해 대상자의 흉곽확장에 방해되지 않게 하여 호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5. 진폐증의 진단은 Chest PA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치료 효과의 유무와 진폐증의 이환정도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중요한 검사라는 것을 설명함으로써 대상자의 인식변화를 가져오기 위함이다.
11/26
1. V/S 140/80-66-20-36.7 checked.
SpO2 94% checked.
2. 대상자에게 호흡곤란 시 심호흡과 입술 오므리기 호흡을 하라고 설명 드림.
3. 대상자에게 물 많이 마시기, 흉부 물리요법 등의 이완요법에 대해 교육함.
4. 가능하면 대상자가 Semi-Fowler 체위를 유지하도록 교육함.
5. 대상자에게 Chest PA 촬영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함.
간호평가
※ # 1 간호진단의 간호평가를 작성하시오.
진단
번호
평가날짜
평가내용
# 1
11/23
대상자는 Semi-Fowler 체위의 효과와 중요성에 대해 잘 인식하고 있고 그에 따라 그 체위를 잘 실천 중이였다. 활동 중 호흡곤란이 발생하면 즉시 심호흡 및 입술 오므리는 호흡 등에 대해 교육하였고, 처방받은 산소요법도 계획대로 잘 시행하라고 말씀드렸다. 활력징후 측정 결과 정상수치로 측정되었지만 아직도 복도에서 운동하시다가 자주 숨이 차는 모습이 관찰됨으로써 단기목표인 “대상자는 2일 이내에 호흡곤란 시 대처방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는 아직 지켜보는 중이며, 장기목표인 “대상자는 한 달 이내에 활동 시 호흡곤란을 호소하지 않는다.”도 아직 달성되지 않았다.
11/26
대상자 여전히 Semi-Fowler 체위를 잘 시행 중이며, 이전에는 자주 빼놓던 O2 Nasal Prong도 열심히 수행하고 있었다. 교육받은 여러 이완요법으로 인해 이전보다 호흡곤란에 대한 불편함은 줄었으며, 호흡곤란이 일어나기 전까지만 운동을 하시고 점차 운동량을 늘려나가는 중이라고 말씀하셨다. 이로 인해 단기목표인 “대상자는 2일 이내에 호흡곤란 시 대처방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는 달성되었지만, 장기목표인 “대상자는 한 달 이내에 활동 시 호흡곤란을 호소하지 않는다.”는 아직 달성되지 않았다.
결론
진폐증이란 폐에 분진이 침착하여 이에 대해 조직 반응이 일어나 폐 세포의 염증과 섬유화가 나타난 것을 말하며 이는 분진 작업장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에게 흔하게 발병하게 된다. 흔히 호흡곤란, 기침, 다량의 담액 및 배출곤란, 흉통의 증상을 보이게 되며 x-ray나 고해상도 단층 촬영술 HRCT를 이용하여 진폐성 음영을 관찰하게 된다.
M 76세 남성으로 18. 05. 16일에 입원하였고, 탄광일을 하다가 91년에 진폐증이로 진단받았으며 고혈압을 가지고 있었고 17년도 관상동맥조영술을 받은 과거력이 있는 환자이다. 주증상은 호흡곤란으로 지속적으로 답답하고 숨찬 느낌과 잔기침을 호소하였고 v/s에서 RR이 20회로 측정되고 WBC가 상승되어 있음이 나타났다. 이에 현재 호소하는 가장 불편한 점을 고려하여 비효율적 호흡양상, 급성통증에 대하여 진단을 내렸고 이에 대한 과정을 세웠다.
현재 실습하고 있는 병원은 근로복지공단의 산하에 있는 병원으로서 근로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질병에 대해 주로 다루고 있다. 실제로 실습지인 내과파트엔 ‘진폐증’환자가 대다수를 이루며 장기간의 입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진폐증은 폐포의 아주 작은 혈관에까지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기 때문에 꾸준하고 섬세한 치료가 필요하며 이에 대상자를 대할 때 오랜 입원기간과 호흡곤란 등의 증상으로 인한 불안 등을 고려하여 전인간호를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참고문헌
ㆍ근로복지공단 _____ EMR chart
ㆍ병원간호사회 편찬,『Manual Nursing Practice Ⅳ』, 현문사
ㆍ왕명자 외(2012), 『건강사정』, 현문사
ㆍ원종순, 외 공역(2015),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ㆍ조경숙 외 (2014),『성인간호학(상, 하)』,현문사
ㆍ김양호 저(2016). 『병리학』, 현문사
ㆍ『네이버 지식 백과』, 진폐증,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2005)
<교육적 지시>
5. 대상자에게 기침과 심호흡, 흉부 물리요법 등의 이완요법에 대해 교육한다.
6. 가능하면 대상자가 Semi-Fowler 체위를 유지하도록 교육한다.
1. 활력징후와 더불어 산소포화도는 환자 신체의 전반적인 상태와 호흡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지표이다.
2. 대상자의 호흡과 관련한 자료 수집을 통해 협착음, 콧구멍 벌렁거리기 등의 부적절한 환기를 나타내는 징후에 대해 사정함으로써 치료의 유무에 대해 사정하기 위함이다.
3. Chest PA의 결과 진폐증의 유무와 범위에 대해 사정하고 치료효과를 알아보기 위함이다.
4. 꾸준히 처방된 O2를 투여 받음으로써 대상자의 호흡곤란을 완화하여 불안과 체력소모 등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5. 기침과 심호흡을 통해 흉곽을 최대한으로 팽창시키고, 흉부 물리요법을 통해 객담을 묽게 해 배출이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
6. Semi-Fowler체위는 흉곽의 확장을 용이하게 해줌으로써 호흡을 원활하게 해주기 때문이다.
간호중재
※ # 1 간호진단의 간호중재를 작성하시오.
진단
번호
수행날짜
간호중재
이론적 근거
# 1
11/23
1. V/S 135/78-77-20-36.7 checked.
SpO2 93% checked.
2. 대상자에게 호흡곤란 시 심호흡과 입술 오므리기 호흡을 하라고 설명 드림.
3. 대상자에게 물 많이 마시기, 흉부 물리요법 등의 이완요법에 대해 교육함.
4. 가능하면 대상자가 Semi-Fowler 체위를 유지하도록 교육함.
5. 대상자에게 Chest PA 촬영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함.
1. 활력징후와 산소포화도는 환자 신체의 전반적인 상태와 호흡양상을 확인할 수 있는 기본적이고도 필수적인 지표이다.
2. 심호흡과 입술 오므리기 호흡은 호기를 연장시켜 호흡곤란을 완화할 수 있기 때문이다.
3. 수분섭취와 흉부 물리요법을 통해 객담이 묽어지면 배출이 용이해 호흡에 방해가 되지 않을 수 있기 때문이다.
4. Semi-Fowler 체위를 통해 대상자의 흉곽확장에 방해되지 않게 하여 호흡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5. 진폐증의 진단은 Chest PA로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치료 효과의 유무와 진폐증의 이환정도에 대해 알아볼 수 있는 중요한 검사라는 것을 설명함으로써 대상자의 인식변화를 가져오기 위함이다.
11/26
1. V/S 140/80-66-20-36.7 checked.
SpO2 94% checked.
2. 대상자에게 호흡곤란 시 심호흡과 입술 오므리기 호흡을 하라고 설명 드림.
3. 대상자에게 물 많이 마시기, 흉부 물리요법 등의 이완요법에 대해 교육함.
4. 가능하면 대상자가 Semi-Fowler 체위를 유지하도록 교육함.
5. 대상자에게 Chest PA 촬영의 중요성에 대해 설명함.
간호평가
※ # 1 간호진단의 간호평가를 작성하시오.
진단
번호
평가날짜
평가내용
# 1
11/23
대상자는 Semi-Fowler 체위의 효과와 중요성에 대해 잘 인식하고 있고 그에 따라 그 체위를 잘 실천 중이였다. 활동 중 호흡곤란이 발생하면 즉시 심호흡 및 입술 오므리는 호흡 등에 대해 교육하였고, 처방받은 산소요법도 계획대로 잘 시행하라고 말씀드렸다. 활력징후 측정 결과 정상수치로 측정되었지만 아직도 복도에서 운동하시다가 자주 숨이 차는 모습이 관찰됨으로써 단기목표인 “대상자는 2일 이내에 호흡곤란 시 대처방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는 아직 지켜보는 중이며, 장기목표인 “대상자는 한 달 이내에 활동 시 호흡곤란을 호소하지 않는다.”도 아직 달성되지 않았다.
11/26
대상자 여전히 Semi-Fowler 체위를 잘 시행 중이며, 이전에는 자주 빼놓던 O2 Nasal Prong도 열심히 수행하고 있었다. 교육받은 여러 이완요법으로 인해 이전보다 호흡곤란에 대한 불편함은 줄었으며, 호흡곤란이 일어나기 전까지만 운동을 하시고 점차 운동량을 늘려나가는 중이라고 말씀하셨다. 이로 인해 단기목표인 “대상자는 2일 이내에 호흡곤란 시 대처방안에 대해 설명할 수 있다.”는 달성되었지만, 장기목표인 “대상자는 한 달 이내에 활동 시 호흡곤란을 호소하지 않는다.”는 아직 달성되지 않았다.
결론
진폐증이란 폐에 분진이 침착하여 이에 대해 조직 반응이 일어나 폐 세포의 염증과 섬유화가 나타난 것을 말하며 이는 분진 작업장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에게 흔하게 발병하게 된다. 흔히 호흡곤란, 기침, 다량의 담액 및 배출곤란, 흉통의 증상을 보이게 되며 x-ray나 고해상도 단층 촬영술 HRCT를 이용하여 진폐성 음영을 관찰하게 된다.
M 76세 남성으로 18. 05. 16일에 입원하였고, 탄광일을 하다가 91년에 진폐증이로 진단받았으며 고혈압을 가지고 있었고 17년도 관상동맥조영술을 받은 과거력이 있는 환자이다. 주증상은 호흡곤란으로 지속적으로 답답하고 숨찬 느낌과 잔기침을 호소하였고 v/s에서 RR이 20회로 측정되고 WBC가 상승되어 있음이 나타났다. 이에 현재 호소하는 가장 불편한 점을 고려하여 비효율적 호흡양상, 급성통증에 대하여 진단을 내렸고 이에 대한 과정을 세웠다.
현재 실습하고 있는 병원은 근로복지공단의 산하에 있는 병원으로서 근로자에게 발생할 수 있는 질병에 대해 주로 다루고 있다. 실제로 실습지인 내과파트엔 ‘진폐증’환자가 대다수를 이루며 장기간의 입원이 이루어지고 있다. 진폐증은 폐포의 아주 작은 혈관에까지 염증이 생기는 질환이기 때문에 꾸준하고 섬세한 치료가 필요하며 이에 대상자를 대할 때 오랜 입원기간과 호흡곤란 등의 증상으로 인한 불안 등을 고려하여 전인간호를 제공해야 한다고 생각했다.
참고문헌
ㆍ근로복지공단 _____ EMR chart
ㆍ병원간호사회 편찬,『Manual Nursing Practice Ⅳ』, 현문사
ㆍ왕명자 외(2012), 『건강사정』, 현문사
ㆍ원종순, 외 공역(2015), 『간호과정과 비판적 사고』, 현문사
ㆍ조경숙 외 (2014),『성인간호학(상, 하)』,현문사
ㆍ김양호 저(2016). 『병리학』, 현문사
ㆍ『네이버 지식 백과』, 진폐증,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2005)
추천자료
췌장염case study
ICU case study-brain infarction (뇌경색)
[성인간호학A+] 위-식도 역류 질환(GERD) 환자의 간호과정 CASE STUDY
당뇨+망막병증case+study+A+
(aneurysm)+컨퍼런스+-+사례보고서
성인간호학 CASE - 뇌경색(cerebral infarction) 최종 수정자료 (A+)
[A+]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 Sequelae of intracerebral haemorrhage뇌내출혈의 후유증케...
[A+]성인간호학 실습 case study chronic renal failure 만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간호진단 ...
A+ 성인간호학 케이스 스터디 만성폐쇄성폐질환 (COPD Chronic obstructive pulmonary diseas...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