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의학 B형 과제물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식물의학 B형 과제물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 론

Ⅱ. 본 론

1. 채소의 주요 병해
1) 고추탄저병
2) 채소류잿빛곰팡이병
3) 채소무름병
2. 국내에서 사용하고 있는 살균제 3가지
1) 아족시스트로빈 액상수화제
2) 프로사이미돈 과립훈연제
3) 플루설파마이드 분제

Ⅲ. 결 론

< 참고자료 >

본문내용

병든 부분은 일찍 제거하여 분생포자의 비산을 막는다. 재배지에서는 배수가 잘되도록 하고 밀식하지 않으며 질소질비료의 과용을 피한다. 오이 및 토마토의 잿빛곰팡이병의 물리적 방제법으로 자외선 제거 비닐로 덮은 하우스 내에서 재배하면 병원균의 분생포자 형성이 억제되어 발병이 현저히 줄어든다. 그러나 자외선 제거 비닐은 딸기에는 사용할 수 없다. 왜냐하면, 딸기는 교배를 하는 꿀벌이 없어져 기형과가 많이 생기기 때문이다. 살균제는 개화 50% 이내일 때 혹은 냉해 발생 전 약제를 예방적으로 처리해야 효과적이며 개화기 처리 시 화분발아에 영향이 적은 약제를 선정한다. 약제방제를 하며, 동일한 약제를 계속해서 사용할 경우 약제저항성 균(내성균)이 출현하여 효과가 줄어들므로 주의해야 한다. 현재 앞의 약제들에 대한 저항성균이 보고되어 있다.
3) 채소무름병
(1) 병원 : 병원균은 Pectobacterium carotovorum subsp. carotovorum[Erwinia carotovora subsp. carotovora(Jones) Dye]이다. 그람음성의 간균으로 2~8본의 주모를 갖고 있다. 크기는 1.0~3.0um×0.5~1.0um이며, 한천배지상에 회백색의 원형 또는 아메바상의 colony를 형성한다. 통성 혐기성 균으로 산소가 없어도 증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저장·이동 중에서 번식이 가능하다. 강한 펙틴질 분해효소를 생산하여 식물조직을 부패시킨다. 토양에서는 오랫동안 생활력을 가진다. 이 균의 발육최저온도는 2℃, 최적온도는 32~33℃, 최고온도는 41℃이고, 50~51℃에서 10분이면 사멸된다. 건조에 약하여 식물체 상에서 월동하는 것은 거의 없지만, 토양에서는 오랫동안 생활력을 갖는다.
(2) 병징 : 배추는 잎, 잎자루에 발생하며, 처음에는 수침상 병반이나 후에 연화부패하고 회갈색으로 되어 악취를 낸다. 결구가 시작되기 전에 발생하면 포기 전체가 연화부패하여 결주가 된다. 결구를 시작한 것은 주로 잎자루의 기부가 담갈색으로 되어 부패하고 점차 위쪽으로 연화한다. 무는 유묘기에 지제부가 수침상이고 잎자루는 연화하며 잎은 황화위조하여 고사한다. 생육이 진전된 것은 오백색의 수침상이 되고 연화하여 잎이 처지며, 황변하여 근관부에서 이탈된다. 근관부에서 아래쪽으로 연화가 진행되어 뿌리의 중심부로부터 부패하고, 내용은 소실되어 속이 비고 악취가 난다. 줄기에서는 수침상의 암녹색에서 암갈색의 줄무늬로 부분적으로 발생, 확대되고 지제부까지 연화되어 넘어지며 상부가 시든다.
[그림 5] 채소무름병 병징 모습
(3) 전염경로 : 1차 전염원은 토양에 생존한 균과 기주나 잡초 표면, 피해 잔해에 부착한 균이 농작업, 해충, 바람 등에 의해 상처받은 부위로 침입한다. 잎에서는 흙의 비산과 함께 이동한 세균이 물의 힘을 빌어 기주식물 위로 분산된다. 균의 증식농도가 104~105CFU/g(건조한 토양) 이상 되지 않으면 발병하기 어려우며, 발병하기 위해서는 온도와 습도가 적당해야 한다. 배추는 늦가을부터 겨울에 걸쳐 온난한 해, 생육전기에 비가 많은 해에 피해가 크다. 배추의 운송 중에 병의 진행이나 감염, 만연으로 큰 피해를 받는 경우도 있다. 양파는 저습지나 연작지에 많이 발생한다. 특히 수확기에 비가 많이 오면 수확 후에 많이 발병한다.
(4) 방제방법 : 벼과, 콩과 작물과 윤작하고 토양전염성 병이므로 부패 주를 속히 제거한다. 본 균은 건조에 약하므로 배수와 통풍이 잘되는 곳을 선택하여 재배한다. 약제 방제로는 8엽기~결구기까지 구리수화제 · streptomycin · oxolinic acid 수화제 등을 살포한다. 배추는 구리수화제의 약해를 입기 쉬우므로 탄산칼

키워드

  • 가격3,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9.02.10
  • 저작시기2017.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789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