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리더십 특성이론
II. 리더십 행동이론
1. 의사결정과정에서의 리더행동
가. 독재형 리더십
나. 민주형 리더십
다. 자유방임형 리더십
2. 배려형 리더십과 구조주도형 리더십
3. 종업원중심형 리더십과 생산중심형 리더십
가. 종업원 중심형 리더십
나. 생산중심형 리더십
4. 관리격자모형
III. 리더십 상황이론
1. 피들러의 상황적합이론
가. 피들러의 리더십 상황변수
나. 효과적 리더십과 상황과의 관계
2. 리더십 상황모형
가. 리더십 유형
1/ 지시적 리더십
2/ 설득적 리더십
3/ 참여적 리더십
4/ 위임적 리더십
나. 부하의 성숙도
다. 상황모형에 대한 견해
* 참고문헌
II. 리더십 행동이론
1. 의사결정과정에서의 리더행동
가. 독재형 리더십
나. 민주형 리더십
다. 자유방임형 리더십
2. 배려형 리더십과 구조주도형 리더십
3. 종업원중심형 리더십과 생산중심형 리더십
가. 종업원 중심형 리더십
나. 생산중심형 리더십
4. 관리격자모형
III. 리더십 상황이론
1. 피들러의 상황적합이론
가. 피들러의 리더십 상황변수
나. 효과적 리더십과 상황과의 관계
2. 리더십 상황모형
가. 리더십 유형
1/ 지시적 리더십
2/ 설득적 리더십
3/ 참여적 리더십
4/ 위임적 리더십
나. 부하의 성숙도
다. 상황모형에 대한 견해
* 참고문헌
본문내용
에 리더와 구성원간의 상호조화관계를 중요시하고, 구성원들의 성숙도에 따른 효과적인 리더십 행동을 분석하여 리더십 의 수명주기 이론(life cycle theory of leadership)을 발표하였다.
그들은 리더십 차원을 인간중심과 과업중심으로 나누고 상황변수를 고려한 리더십 모델을 제시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특색을 가지고 있다. 첫째, 리더십 형태가 한 가지 상황요인, 즉 부하의 성숙도 수준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 특징이며, 둘째 리더십의 두 차원이 연속선상에 있지 않고 인간차원과 과업차원은 별개의 것으로 상호영향을 주지 않고 두 요소가 동시에 공존할 수도 있다고 주장한 점이다.
부하들의 성숙도는 리더십 유형을 결정하는 유일한 독립변수이기 때문에 리더는 부하들의 태도나 행동을 보고 성숙도를 감지하여 적절한 리더십을 선택하여 발휘하면 된다. 그러나 일단 부하들이 완전히 성숙되었다고 생각되면 리더는 인간중심이든 일중심이든 간섭을 한층 줄여나가서 리더가 아닌 충고자로 남아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요약하면, 부하들의 성숙도 수준변화에 맞추어 계속해서 리더십 유형을 변화시켜 나가는 것이다. 그래서 이 이론은 과업차원, 인간차원 그리고 부하들의 성숙도(상황요인)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3차원 리더십 모델이라고도 한다.
가. 리더십 유형
1/ 지시적 리더십(telling : S1)
부하에게 기준을 제시하고 지도하며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과 리더중심의 의사결정을 하는 리더십 유형이다. 과업지향성은 높지만 관계지향성은 낮은 리더십 유형이다.
2/ 설득적 리더십(selling :S2)
리더는 결정사항을 부하에게 설명하고 부하가 의견을 제시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 쌍방적 커뮤니케이션과 공동의사결정을 지향하는 리더십 유형이다. 높은 과업지향성과 높은 관계지향성을 지닌 리더십 유형이다.
3/ 참여적 리더십(participating : S3)
아이디어를 부하와 함께 공유하고 부하들과의 원만한 관계와 부하의 의사를 의사결정에 많이 반영시키는 리더십 유형이다. 관계지향성은 높지만 과업지향성은 낮은 리더십 유형이다.
4/ 위임적 리더십(delegating : S4)
의사결정과 과업수행에 대한 책임을 부하에게 위임하여 부하들이 스스로 자율적 행동과 자기통제 하에 과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리더십 유형이다. 과업지향성과 관계지향성이 모두 낮은 리더십 유형이다.
나. 부하의 성숙도
이 리더십 모델에서는 적절한 리더십의 선택이 부하의 성숙도 수준에 따라 이루어진다고 한다. 부하의 성숙도는 과업수행 능력을 나타내는 '직무관련 성숙도'와 부하가 기꺼이 직무를 수행하고자 하는 '심리적 성숙도'의 2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전자는 부하의 성취동기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후자는 부하 각 개인의 직무나 책임과 관련된 자기신뢰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부하의 성숙도 수준은 낮은 성숙도 M1에서 높은 성숙도 M4까지 4단계로 구분된다. 이 4단계의 성숙도는 부하의 능력과 특정직무 수행에 대한 의지를 나타낸다.
M1 : 직무를 수행할 능력도 의지도 없는 사람.
M2 : 직무를 수행할 능력은 없으나 의지는 있는 사람.
M3 : 직무를 수행할 능력은 있으나 의지는 없는 사람.
M4 : 직무를 수행할 능력도 의지도 있는 사람.
부하의 성숙도에 대한 적합한 리더십 유형은 성숙수준이 가장 낮은 성숙도 M1인 부하에 대해서는 인간관계에 대한 고려를 최소로 하고 적극적인 지도와 개발을 해 주는 지시적 또는 주도적 리더십이 효과적이며, 성숙도가 M2와 M3의 범위에서는 설득적 리더십과 참여적 리더십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성숙수준이 가장 높은 성숙도 M4의 경우에는 이들의 판단력과 자아통제능력에 의존하는 위양적 리더십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첫 번째 S1의 영역은 인간의 성숙도가 가장 낮기 때문에 지시적 리더십(telling)을 활용하여 구성원들의 과업능력을 향상시켜야 하며, 두 번째 S2의 영역은 인간의 성숙도가 S1에서 보다 조금 높아졌기 때문에 설득적 리더십(selling)을 사용하여 구성원들이 리더의 의견을 잘 수용하여 과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세 번째, 의 영역은 가장 이상적인 리더십형태인 참여적 리더십(participating)을 발휘할 수 있다. 의사결정과정에 있어서 부하의 참여를 통해 상호 협조적인 태도로, 과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의 S4의 영역은 부하의 성숙도가 가장 높은 단계로 리더는 위양적 (delegating) 리더십의 형태를
떤다, 모든 것을 부하의 능력에 맡기고, 의사결정까지도 위양하는 형태이다.
다. 상황모형에 대한 견해
상황모형의 특징은 하나의 최적 리더십 유형이 있는 것이 아니고, 리더행동의 효과성은 상황적(리더는 각각의 상황에 따라 적합한 리더십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이 이론은 실증적인 타당성 연구가 부족하고, 리더의 행동범주와 부하의 성숙도가 개괄적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상황요인변수로 부하의 성숙도 하나만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비판받고 있다. 또한 이 이론에서 중요한 요소는 상황에 따라 리더가 리더십 유형을 바꾸어 적용한다는 것인데, 리더가 그 상황에 적합한 리더십 구사능력이 없다면 효과적일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이론은 몇 가지 측면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이론의 탁월성은 상황에 적합한 리더십 유형을 리더가 선택하여 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부하의 성숙도 수준이 다르다면 리더는 부하별로 각각 다른 리더십 유형을 적용할 수 있으며, 똑같은 부하에 대해서도 상황변화에 따라 다른 유형의 리더십을 행사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그들은 리더십 차원을 인간중심과 과업중심으로 나누고 상황변수를 고려한 리더십 모델을 제시하였는데, 다음과 같은 특색을 가지고 있다. 첫째, 리더십 형태가 한 가지 상황요인, 즉 부하의 성숙도 수준에 의해 결정된다는 것이 특징이며, 둘째 리더십의 두 차원이 연속선상에 있지 않고 인간차원과 과업차원은 별개의 것으로 상호영향을 주지 않고 두 요소가 동시에 공존할 수도 있다고 주장한 점이다.
부하들의 성숙도는 리더십 유형을 결정하는 유일한 독립변수이기 때문에 리더는 부하들의 태도나 행동을 보고 성숙도를 감지하여 적절한 리더십을 선택하여 발휘하면 된다. 그러나 일단 부하들이 완전히 성숙되었다고 생각되면 리더는 인간중심이든 일중심이든 간섭을 한층 줄여나가서 리더가 아닌 충고자로 남아있는 것이 효과적이다.
요약하면, 부하들의 성숙도 수준변화에 맞추어 계속해서 리더십 유형을 변화시켜 나가는 것이다. 그래서 이 이론은 과업차원, 인간차원 그리고 부하들의 성숙도(상황요인)을 고려하고 있기 때문에 3차원 리더십 모델이라고도 한다.
가. 리더십 유형
1/ 지시적 리더십(telling : S1)
부하에게 기준을 제시하고 지도하며 일방적인 커뮤니케이션과 리더중심의 의사결정을 하는 리더십 유형이다. 과업지향성은 높지만 관계지향성은 낮은 리더십 유형이다.
2/ 설득적 리더십(selling :S2)
리더는 결정사항을 부하에게 설명하고 부하가 의견을 제시할 기회를 제공하는 등 쌍방적 커뮤니케이션과 공동의사결정을 지향하는 리더십 유형이다. 높은 과업지향성과 높은 관계지향성을 지닌 리더십 유형이다.
3/ 참여적 리더십(participating : S3)
아이디어를 부하와 함께 공유하고 부하들과의 원만한 관계와 부하의 의사를 의사결정에 많이 반영시키는 리더십 유형이다. 관계지향성은 높지만 과업지향성은 낮은 리더십 유형이다.
4/ 위임적 리더십(delegating : S4)
의사결정과 과업수행에 대한 책임을 부하에게 위임하여 부하들이 스스로 자율적 행동과 자기통제 하에 과업을 수행하도록 하는 리더십 유형이다. 과업지향성과 관계지향성이 모두 낮은 리더십 유형이다.
나. 부하의 성숙도
이 리더십 모델에서는 적절한 리더십의 선택이 부하의 성숙도 수준에 따라 이루어진다고 한다. 부하의 성숙도는 과업수행 능력을 나타내는 '직무관련 성숙도'와 부하가 기꺼이 직무를 수행하고자 하는 '심리적 성숙도'의 2가지 요소로 구성된다. 전자는 부하의 성취동기수준에 의해 영향을 받으며, 후자는 부하 각 개인의 직무나 책임과 관련된 자기신뢰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부하의 성숙도 수준은 낮은 성숙도 M1에서 높은 성숙도 M4까지 4단계로 구분된다. 이 4단계의 성숙도는 부하의 능력과 특정직무 수행에 대한 의지를 나타낸다.
M1 : 직무를 수행할 능력도 의지도 없는 사람.
M2 : 직무를 수행할 능력은 없으나 의지는 있는 사람.
M3 : 직무를 수행할 능력은 있으나 의지는 없는 사람.
M4 : 직무를 수행할 능력도 의지도 있는 사람.
부하의 성숙도에 대한 적합한 리더십 유형은 성숙수준이 가장 낮은 성숙도 M1인 부하에 대해서는 인간관계에 대한 고려를 최소로 하고 적극적인 지도와 개발을 해 주는 지시적 또는 주도적 리더십이 효과적이며, 성숙도가 M2와 M3의 범위에서는 설득적 리더십과 참여적 리더십이 효과적이다. 그리고 성숙수준이 가장 높은 성숙도 M4의 경우에는 이들의 판단력과 자아통제능력에 의존하는 위양적 리더십이 효과적이다.
따라서 첫 번째 S1의 영역은 인간의 성숙도가 가장 낮기 때문에 지시적 리더십(telling)을 활용하여 구성원들의 과업능력을 향상시켜야 하며, 두 번째 S2의 영역은 인간의 성숙도가 S1에서 보다 조금 높아졌기 때문에 설득적 리더십(selling)을 사용하여 구성원들이 리더의 의견을 잘 수용하여 과업의 성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한다. 세 번째, 의 영역은 가장 이상적인 리더십형태인 참여적 리더십(participating)을 발휘할 수 있다. 의사결정과정에 있어서 부하의 참여를 통해 상호 협조적인 태도로, 과업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의 S4의 영역은 부하의 성숙도가 가장 높은 단계로 리더는 위양적 (delegating) 리더십의 형태를
떤다, 모든 것을 부하의 능력에 맡기고, 의사결정까지도 위양하는 형태이다.
다. 상황모형에 대한 견해
상황모형의 특징은 하나의 최적 리더십 유형이 있는 것이 아니고, 리더행동의 효과성은 상황적(리더는 각각의 상황에 따라 적합한 리더십 유형을 선택하는 것)이라는 것이다. 이 이론은 실증적인 타당성 연구가 부족하고, 리더의 행동범주와 부하의 성숙도가 개괄적으로 정의되어 있으며, 상황요인변수로 부하의 성숙도 하나만 사용하였다는 점에서 비판받고 있다. 또한 이 이론에서 중요한 요소는 상황에 따라 리더가 리더십 유형을 바꾸어 적용한다는 것인데, 리더가 그 상황에 적합한 리더십 구사능력이 없다면 효과적일 수 없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 이론은 몇 가지 측면에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 이론의 탁월성은 상황에 적합한 리더십 유형을 리더가 선택하여 행할 수 있다는 것이다. 즉, 부하의 성숙도 수준이 다르다면 리더는 부하별로 각각 다른 리더십 유형을 적용할 수 있으며, 똑같은 부하에 대해서도 상황변화에 따라 다른 유형의 리더십을 행사할 수 있다는 것이다.
* 참고문헌
교육심리학 : 학습심리학 / 이웅 저 / 한국교육기획 / 2009
조직과 인간관계론 - 이택호/강정원 저, 북넷, 2013
발달심리학 / 곽금주 저 / 학지사 / 2016
심리학개론 / 이명랑 저 / 더배움 / 2017
인간행동과 사회환경 - 고명수/이승현 외 3명 저, 정민사, 2018
상담심리학 / 이수연 저 / 양성원 / 2017
성격심리학 / 권석만 저 / 학지사 / 2017
발달심리학 : 전생애 인간발달 / 정옥분 저 / 학지사 / 2014
심리학의 이해 / 방선욱 저 / 교육과학사 / 2003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