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너무 추워요.”
“열 한번만 재주세요.”
“환의가 땀에 젖어서 그러는데 환의 좀 주세요.”
“이불 한 장만 더 주세요.”
“병실이 너무 추워요.”
진단명: 얼굴, 머리 및 목의 급성 림프절염, 상세불명의 열, 상세불명의 급성 바이러스 간염
입원 시 Vital sign 38.7, 130/80, 97, 24
임상화학검사: ESR 43, ALP 579, AST 102, ALT 141
→ 염증반응
Chest PA 상 기관지 부종 소견
초음파 검사 상 림프절염 소견
좌측 목 부근에 혹 같은 것이 보임.
피부에서 열감이 느껴짐.
양볼에 발적이 보임.
환의가 땀으로 젖어있고, 온 몸을 떨고 있는 것이 관찰됨.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의미있는 자료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간호진단
“부은 곳을 누르면 너무 아파요.”
진단명: 얼굴, 머리 및 목의 급성 림프절염
Chest PA 상 기관지 부종 소견
초음파 검사 상 림프절염 소견
좌측 목 부근에 혹 같은 것이 보임.
좌측 경부가 눌리는 것을 피하기 위해 좌측위를 의도적으로 하지 않으려고 함.
입원 시 Vital sign 38.7, 130/80, 97, 24
(통증 시 생리적 징후: 맥박, 혈압 증가, 호흡 깊이와 빈도 증가)
좌측 경부 촉진 시 얼굴을 찡그리고, 신음함.
좌측 경부 촉진 시 : NRS 통증 사정 7점.
경부 림프절 염증과
관련된 급성 통증
의미있는 자료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간호진단
“팔이 너무 가려워요.”
“팔을 너무 긁어 따가워요.”
“가려워서 밤에 잠을 설쳐요.”
진단명: 상세불명의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
임상화학검사: ALP 579, AST 102, ALT 141, Total bilirubin 3.1
→ 간염
효소면역검사: HBs Ag (-)
Anti-HBS (-)
간지러움을 참지 못하고 손으로 긁는 모습이 자주 관찰됨.
팔 부위에 발적이 관찰됨.
피부색이 약간의 노란빛을 띄는 듯 한 황달기가 보임.
가려움증 완화를 위해 로션을 바르는 모습을 관찰함.
옅은 색의 대변을 배설함.
간 기능 장애로 인한 소양감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3) 간호계획, 수행, 평가
목 적
(장기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에 정상적인 체온(36.7℃)을 유지할 것이다.
목표/기대되는 결과 (단기목표)
간호지시
과학적 근거 (이론적 근거)
1. 대상자는 1일 이내로 37.5℃ 이하의 체온을 유지할 것이다.
2. 대상자는 3일 이내 염증 수치가 정상을 회복할 것이다.
1-1. 2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재사정한다.
1-2. 체온이 37.5℃ 이상일시 미온수 마사지를 시행한다.
1-3. 정규 처방과 PRN 처방에 따라 해열제를 투약한다.
1-4. 수분섭취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격려한다.
1-5. 젖은 환의와 침구는 즉시 교환하도록 교육한다.
1-6. 오한 시 이불을 추가로 제공한다.
2-1. 처방된 항생제를 투약한다.
2-2. 매일 일반혈액검사를 실시하여, 염증 수치의 변화를 관찰한다.
2-3. 매일 방사선검사를 실시하여, 염증 병변의 변화를 관찰한다.
1-1. 투약과 간호 중재의 효과가 있는지 활력징후를 재사정하여야 한다.
1-2. 미온수 마사지의 적용으로 체온을 하강시킬 수 있다.
1-3. 해열제의 투여로 체온을 하강시킬 수 있다.
1-4. 발한과 호흡의 증가로 수분 소실이 증가하므로 수분소실을 보충하여야한다.
1-5. 깨끗하고 건조한 환의와 침구유지는 대상자의 안위증진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1-6. 고열 시 오한이 발생하며, 체온 손실 방지를 위해 보온을 하여야한다.
2-1. 항생제의 투여로 고열의 원인균을 잡으므로 체온을 하강시킬 수 있다.
2-2. 투약과 간호 중재의 효과가 있는지 염증수치를 재사정하여야한다.
2-3. 투약과 간호 중재의 효과가 있는지 염증 병변의 완화여부를 사정하여야한다.
수
행
1-1. 2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재사정 하였다.
시간
14:00
16:00
18:00
20:00
22:00
혈압
120/80
120/80
120/80
120/80
120/80
체온
38.2
37.9
37.6
37.4
37.2
호흡
22
20
22
20
20
맥박
100
110
120
100
100
1-2. 14:00 38.2도로 미온수마사지 실시함. 16:00 37.9도로 미온수마사지 실시함. 18:00 37.6도로 미온수마사지 실시함.
1-3. 14:00 38.2도로 PRN 처방에 따라 어린이알리펜시럽 10ml 경구 투약하였다.
18:00 정규 처방에 따라 파세타주 1g 정맥 투약하였다.
1-4. 14:00 수분섭취의 중요성을 교육하였고, 마지막 라운딩 시 2L 수분섭취를 확인하였다.
1-5. 16:00 라운딩 시 젖은 환의와 침구를 확인하였고, 보호자가 환의와 침구의 교환을 요구하여, 교환하였다.
1-6. 22:00 환아 오한을 호소하여, 이불을 추가 제공하였다.
2-1. 14:00, 18:00 정규 처방에 따라 썰바존주 1g 정맥 투약하였다.
2-2. 14:00 일반혈액검사를 실시하였으며, CRP 0.7, ESR 31로 염증수치가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2-3.14:00 방사선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병변의 염증이 회복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평
가
22:00 37.2도 측정되어 목표달성 됨.
14:00 CRP 0.7, ESR 31로 염증 수치가 감소되었으나, 정상 수치에는 못 미치므로 목표 미달성 됨.
■ 간호진단 :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Ⅲ. 결론
1. 대상자의 간호과정과 관련된 재평가 및 재계획
대상자 상태호전 보이며 2/28에 퇴원하였으며, 외래를 통해 f/u 하기로 하여 간호과정과 관련된 재평가 및 재계획은 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보인다.
2. 실습 소감
한영한마음병원에 이어서 두 번째 아동간호학실습을 대구의료원에서 하였는데 한영한마음 아동병원에서 만큼 많은 것을 수행 및 관찰을 할 수 없었지만 처음 들어본 림프절염에 대해서 case study 할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다. 1주안에 많은 과제를 하느라 힘들었지만, 매도 먼저 맞는게 낫다는 말이 있듯이 큰 산을 실습 첫 주에 넘을 수 있어서 한편으로는 마음이 안심이 된다. 마지막으로 실습을 지도해주신 구윤정 교수님과 라파엘 51병동의 간호사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열 한번만 재주세요.”
“환의가 땀에 젖어서 그러는데 환의 좀 주세요.”
“이불 한 장만 더 주세요.”
“병실이 너무 추워요.”
진단명: 얼굴, 머리 및 목의 급성 림프절염, 상세불명의 열, 상세불명의 급성 바이러스 간염
입원 시 Vital sign 38.7, 130/80, 97, 24
임상화학검사: ESR 43, ALP 579, AST 102, ALT 141
→ 염증반응
Chest PA 상 기관지 부종 소견
초음파 검사 상 림프절염 소견
좌측 목 부근에 혹 같은 것이 보임.
피부에서 열감이 느껴짐.
양볼에 발적이 보임.
환의가 땀으로 젖어있고, 온 몸을 떨고 있는 것이 관찰됨.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의미있는 자료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간호진단
“부은 곳을 누르면 너무 아파요.”
진단명: 얼굴, 머리 및 목의 급성 림프절염
Chest PA 상 기관지 부종 소견
초음파 검사 상 림프절염 소견
좌측 목 부근에 혹 같은 것이 보임.
좌측 경부가 눌리는 것을 피하기 위해 좌측위를 의도적으로 하지 않으려고 함.
입원 시 Vital sign 38.7, 130/80, 97, 24
(통증 시 생리적 징후: 맥박, 혈압 증가, 호흡 깊이와 빈도 증가)
좌측 경부 촉진 시 얼굴을 찡그리고, 신음함.
좌측 경부 촉진 시 : NRS 통증 사정 7점.
경부 림프절 염증과
관련된 급성 통증
의미있는 자료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간호진단
“팔이 너무 가려워요.”
“팔을 너무 긁어 따가워요.”
“가려워서 밤에 잠을 설쳐요.”
진단명: 상세불명의 급성 바이러스성 간염
임상화학검사: ALP 579, AST 102, ALT 141, Total bilirubin 3.1
→ 간염
효소면역검사: HBs Ag (-)
Anti-HBS (-)
간지러움을 참지 못하고 손으로 긁는 모습이 자주 관찰됨.
팔 부위에 발적이 관찰됨.
피부색이 약간의 노란빛을 띄는 듯 한 황달기가 보임.
가려움증 완화를 위해 로션을 바르는 모습을 관찰함.
옅은 색의 대변을 배설함.
간 기능 장애로 인한 소양감과 관련된 피부손상위험성
3) 간호계획, 수행, 평가
목 적
(장기목표)
대상자는 7일 이내에 정상적인 체온(36.7℃)을 유지할 것이다.
목표/기대되는 결과 (단기목표)
간호지시
과학적 근거 (이론적 근거)
1. 대상자는 1일 이내로 37.5℃ 이하의 체온을 유지할 것이다.
2. 대상자는 3일 이내 염증 수치가 정상을 회복할 것이다.
1-1. 2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재사정한다.
1-2. 체온이 37.5℃ 이상일시 미온수 마사지를 시행한다.
1-3. 정규 처방과 PRN 처방에 따라 해열제를 투약한다.
1-4. 수분섭취의 중요성을 교육하고, 격려한다.
1-5. 젖은 환의와 침구는 즉시 교환하도록 교육한다.
1-6. 오한 시 이불을 추가로 제공한다.
2-1. 처방된 항생제를 투약한다.
2-2. 매일 일반혈액검사를 실시하여, 염증 수치의 변화를 관찰한다.
2-3. 매일 방사선검사를 실시하여, 염증 병변의 변화를 관찰한다.
1-1. 투약과 간호 중재의 효과가 있는지 활력징후를 재사정하여야 한다.
1-2. 미온수 마사지의 적용으로 체온을 하강시킬 수 있다.
1-3. 해열제의 투여로 체온을 하강시킬 수 있다.
1-4. 발한과 호흡의 증가로 수분 소실이 증가하므로 수분소실을 보충하여야한다.
1-5. 깨끗하고 건조한 환의와 침구유지는 대상자의 안위증진에 중요한 기여를 한다.
1-6. 고열 시 오한이 발생하며, 체온 손실 방지를 위해 보온을 하여야한다.
2-1. 항생제의 투여로 고열의 원인균을 잡으므로 체온을 하강시킬 수 있다.
2-2. 투약과 간호 중재의 효과가 있는지 염증수치를 재사정하여야한다.
2-3. 투약과 간호 중재의 효과가 있는지 염증 병변의 완화여부를 사정하여야한다.
수
행
1-1. 2시간마다 활력징후를 재사정 하였다.
시간
14:00
16:00
18:00
20:00
22:00
혈압
120/80
120/80
120/80
120/80
120/80
체온
38.2
37.9
37.6
37.4
37.2
호흡
22
20
22
20
20
맥박
100
110
120
100
100
1-2. 14:00 38.2도로 미온수마사지 실시함. 16:00 37.9도로 미온수마사지 실시함. 18:00 37.6도로 미온수마사지 실시함.
1-3. 14:00 38.2도로 PRN 처방에 따라 어린이알리펜시럽 10ml 경구 투약하였다.
18:00 정규 처방에 따라 파세타주 1g 정맥 투약하였다.
1-4. 14:00 수분섭취의 중요성을 교육하였고, 마지막 라운딩 시 2L 수분섭취를 확인하였다.
1-5. 16:00 라운딩 시 젖은 환의와 침구를 확인하였고, 보호자가 환의와 침구의 교환을 요구하여, 교환하였다.
1-6. 22:00 환아 오한을 호소하여, 이불을 추가 제공하였다.
2-1. 14:00, 18:00 정규 처방에 따라 썰바존주 1g 정맥 투약하였다.
2-2. 14:00 일반혈액검사를 실시하였으며, CRP 0.7, ESR 31로 염증수치가 감소된 것을 확인하였다.
2-3.14:00 방사선검사를 실시하였으며, 병변의 염증이 회복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평
가
22:00 37.2도 측정되어 목표달성 됨.
14:00 CRP 0.7, ESR 31로 염증 수치가 감소되었으나, 정상 수치에는 못 미치므로 목표 미달성 됨.
■ 간호진단 : 염증반응과 관련된 고체온
Ⅲ. 결론
1. 대상자의 간호과정과 관련된 재평가 및 재계획
대상자 상태호전 보이며 2/28에 퇴원하였으며, 외래를 통해 f/u 하기로 하여 간호과정과 관련된 재평가 및 재계획은 하지 않아도 될 것으로 보인다.
2. 실습 소감
한영한마음병원에 이어서 두 번째 아동간호학실습을 대구의료원에서 하였는데 한영한마음 아동병원에서 만큼 많은 것을 수행 및 관찰을 할 수 없었지만 처음 들어본 림프절염에 대해서 case study 할 수 있어서 좋았던 것 같다. 1주안에 많은 과제를 하느라 힘들었지만, 매도 먼저 맞는게 낫다는 말이 있듯이 큰 산을 실습 첫 주에 넘을 수 있어서 한편으로는 마음이 안심이 된다. 마지막으로 실습을 지도해주신 구윤정 교수님과 라파엘 51병동의 간호사 선생님께 감사드립니다.
추천자료
경부 임파선염 환아 (Acute Lymphadenitis of face) case study
급성림프구성백혈병 acute lymphoblastic leukemia case study
급성신질환 (Acute Kidney Injury) case study
급성 기관지염(acute bronchitis)
급성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A+ (급성 신부전, 케이스 스터디, 간호과정, 급성신부전 사례연구,...
Acute Pharyngitis 급성 인두염 케이스 스터디 A+ 간호과정 A+
강력추천) 흉부외과 , 심혈관 중환자실 Case study -Acute myocardial infarction- (급성심근...
간호,case study,성인(응급실),급성 췌장염 acute pancreatitis
Acute hepatitis case study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