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인생을 애니메이션처럼
인생을 애니메이션처럼을 보고..
사회복지에서 본 ‘인생을 애니메이션처럼’
인생을 애니메이션처럼을 보고..
사회복지에서 본 ‘인생을 애니메이션처럼’
본문내용
한 것에 대해 논의하는 장면이다. 오웬의 보행 패턴을 아는 치료사는 오웬이 앞을 보지 않고 걷는 경우가 많아서 사고에 주의해야함을 언급하고 다른 치료사들 또한 오웬이 독립했을 때의 주의할 것을 이야기한다. 오웬이 독립하는 곳 또한 오웬과 같은 또래집단이 독립해서 살아가는 공동체임을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서 최근 장애학교 건설에 반대하는 학부모에게 무릎을 꿇는 장애학생 부모들의 모습이 떠올랐다. 영화에서 장애학생들은 자신들이 온전히 기능할 수 있는 환경과 필요 요소들이 갖추어져있음을 보면서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장애인 복지가 보여주기 식으로 끝나는 것 같다는 생각을 하지 않을 수 없었다. 오웬이 간단한 작업으로 돈을 벌 수 있도록 취직을 시켜주기까지 모습이 담겨있었다. 오웬은 지금까지 학습한대로 자신이 할 수 있는 일과 하지 못하는 일에 대해 솔직하고 당당하게 말하는 모습을 보면서 사회가 장애를 어떻게 보는지에 따라, 조금 느릴 뿐 할 수 있다고 보는 시선과 할 수 없다고 보는 시선의 차이가 한 개인의 성장에 미치는 영향을 볼 수 있었다.
출처
인생을 애니메이션처럼, 감독 로저 로스 윌리엄스, 출연 오웬 서스킨드, 론 서스킨드, 길버트 갓프리드 등, 2016
출처
인생을 애니메이션처럼, 감독 로저 로스 윌리엄스, 출연 오웬 서스킨드, 론 서스킨드, 길버트 갓프리드 등, 2016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