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지적장애아동 특성 1: 지적 특성
2) 지적장애아동 특성 2: 정의적 특성
3) 지적장애아동 특성에 따른 교수전략
2) 지적장애아동 특성 2: 정의적 특성
3) 지적장애아동 특성에 따른 교수전략
본문내용
에 참여할 수 있게 하는 수많은 방법들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방법으로 사용되는 것은 ‘보편적 학습설계’이다. 이 방법은 다양한 특성을 가진 모든 학생이 동등하게 교육과정에 접근하고 참여함으로써 교육적 결과를 극대화하는 설계로, 교사는 다양한 정보 제시 수단, 표현 수단, 참여 수단 제공하는 것을 포함해야 한다. 또한 일반 아동의 수업에서 대안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학습자료, 보조공학, 교수전략들을 고려하며 ‘궁극적 학습 목표는 동일하게, 방법은 각자에 맞게’ 적용하는 교수전략이다.
(2) 긍정적 행동지원의 적용
지적장애아동을 학교교육을 넘어서 ‘자립’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돕기 위해서 실시하는 전략으로 응용행동분석의 적용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장애아동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전행동의 기능을 찾아 이것을 사회적으로 수용될 수 있게 바꿔주는 활동이 주된 내용이며, 폭넓은 지원 절차를 사용해 개인의 삶을 개선시키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그리고 긍정적 행동지원은 기능평가를 전제로 하며 학생의 환경을 고려하고, 포괄적이고 다중적 중재를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출처:
강대옥 외 4명 공저, 『특수교육학개론』 2판, 학지사, 2016, 참고
(2) 긍정적 행동지원의 적용
지적장애아동을 학교교육을 넘어서 ‘자립’이라는 목표를 달성할 수 있게 돕기 위해서 실시하는 전략으로 응용행동분석의 적용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장애아동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도전행동의 기능을 찾아 이것을 사회적으로 수용될 수 있게 바꿔주는 활동이 주된 내용이며, 폭넓은 지원 절차를 사용해 개인의 삶을 개선시키는 것이 궁극적인 목표이다. 그리고 긍정적 행동지원은 기능평가를 전제로 하며 학생의 환경을 고려하고, 포괄적이고 다중적 중재를 활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출처:
강대옥 외 4명 공저, 『특수교육학개론』 2판, 학지사, 2016, 참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