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n, tenderness, guarding: distention, soft, firm:
수술 부위(상복부) pain있음, abd. distention 있음
Bowel sounds
(x4 quadrants):
장음이 미세하게 청진됨.
NG tube: describe drainage
(-)
Ostomy: describe stoma site and stools:
상복부에 stoma위치하고 있음, stool : 걸쭉하고 yellowish함
Other:
(-)
⑥ 피부 및 상처(SKIN AND WOUNDS)
color, turgor:
normal
rash, bruises:
왼쪽 전완 내측에 bruises있음.
Describe wounds
(size, locations):
항문주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wound에 거즈 대놓은 상태임
Edges approximated:
수술 부위 관찰하지 못했음.
Type of wound drains:
j-p drain
characteristics of drainage:
serous, oozing
Dressings(clean, dry, intact):
직접 관찰하지 못함.
Sutures, staples, steri-strips, other:
항문 부위이기 때문에 직접관찰하지 못함.
Risk for pressure ulcer assessment rating :
욕창사정도구 사정 결과 17점으로 저위험군에 속함.
입원 후 1회 실시함.
other:
(-)
⑦ 안이빈인후계(EYES, EARS, NOSE, THROAT: EENT)
Eyes: redness, drainage, edema, ptosis
(-)
Ears: drainage
(-)
Nose: redness, drainage, edema
(-)
Throat: sore
(-)
Psychosocial and Cultural Assessment
Religious preference(face sheet)
불교
Marital status
(face sheet)
기혼
Health care benefits and insurance(face sheet)
사정하지 못함.
Occupation(face sheet)
무
Emotional state(nurse\'s notes)
Foley catheter 제거 후 self voiding이 안되는 것에 대해 걱정함.
2) 환자상태와 교재 내용 비교(Compare client\' condition and Text book review)
Client
Text Book Review
Etiology
지속적으로 복용한 변비약이 대장을 점막을 자극하여 rectal perforation이 발생하였고, 이는 peritonitis로 되었다.
속발성 복막염(secondory peritonitis)은 흔히 급성복부장애로 인한 박테리아 침범으로 유발된다. 속발성 복막염은 괴사성 장, 둔상 혹은 관통상에 의한 장벽의 천공이나 담즙 누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Manifestation
- constipation
- abd. pain
- T : 37. 7, P : 99
- 복통(국소적, 어깨나 흉부로 방사됨)
- 압통
- 장음 감소
- 고열
- 빈맥
- 복벽강직 : 널빤지처럼 견고하고 딱딱한 복부
Diagnostic Test
-Abdominal x-ray: abdomen-supine
- 복부 X-ray를 통해 복강 내에 천공을 의미하는 공기나 체액을 확인할 수 있으며, 소장이나 대장의 팽만이나 부종, 염증을 확인할 수 있다.
Treatment
- T-loop colostomy o.p
- I&D of perirectal region
결장루술은 복부표면에 개구부를 만드는 외과적 수술이다. 결장루는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또는 S상 결장에 만들어진다. 루프 장루(loop stoma)는 앞쪽 장벽을 자르고 뒤집어, 결장 루프를 피부 표면에 이르게 해서, 복벽에 봉합하여 만들게 된다. 루프 결장루술(loop colostomy)은 일반적으로 횡행결장에 시행하며 일시적으로 장루를 형성할 때 실시한다.
항문샘에 염증이 생겨 고름집이 형성되는 것을 항문주위 농양이라고 한다.
단순 농양의 경우는 배농술을 하고 항생제 치료를 하지만, 대부분의 항문주위 농양은 다른 신체 부위에 생긴 농양과는 달리 그 근원이 항문관 안에 있기 때문에 항문샘조직과 주위 염증조직을 제거하는 수술을 한다.
Laboratory Test
- WBC : 5.02 (x10^3 /μL)
- Na : 134 (mmol/L)
- K : 3.9 (mmol/L)
- Cl : 100 (mmol/L)
- PH : 7.416
- PO2 : 72.4 (mmHg)
- PCO2 : 30.7 (mmHg)
- HCO3 : 19.3 (mmHg)
일반적으로 백혈구가 20000/㎣까지 상승하고 호중구가 증가한다. 체액과 전해질 균형과 신장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아래의 검사를 시행한다. 호흡기능과 산-염기 균형을 사정하기 위해서는 동맥혈가스분석을 시행한다.
Reference
IGNATAVICIUS WORKMAN 저. 박정숙 역(2009). 성인간호학2, 서울: 엘스비어코리아.
Gakken 저. 채석래권혜숙 역(2007). 간호사를 위한 검사 이야기, 파주: 도서출판 의학서원.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건강정보http://healthinfo.amc.seoul.kr/healthinfo/medical/diseaseView.do?kind=C000009&contentId=31774&diseaseId=H002417
3) 비정상 자료 목록(Abnormal data list)
Abnormal data list
* 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A)
S1. “기침하거나 몸 일으킬 때마다 배가 너무 땡긴다.”
S2. “배에 수술했는 데 수술 부위를 뭘 어떻게 해야되는 지 하나도 모르겠다.”
S3. “소변 봐도 소변이 차 있는 것처럼 찝찝하다.”
S4. “수술 때문에 밥을 못 먹었더니...영 기운이 없다.”
S5. “침대에서 일어날 때 난간 꽉 잡고 일어나다보니 어깨가 너무 아프다.”
S6. “이빨이 1개뿐이라 죽 같은 거 밖에 못 먹는다.”
S7. “소변이 나와야하는데
수술 부위(상복부) pain있음, abd. distention 있음
Bowel sounds
(x4 quadrants):
장음이 미세하게 청진됨.
NG tube: describe drainage
(-)
Ostomy: describe stoma site and stools:
상복부에 stoma위치하고 있음, stool : 걸쭉하고 yellowish함
Other:
(-)
⑥ 피부 및 상처(SKIN AND WOUNDS)
color, turgor:
normal
rash, bruises:
왼쪽 전완 내측에 bruises있음.
Describe wounds
(size, locations):
항문주위에 위치하고 있으며, wound에 거즈 대놓은 상태임
Edges approximated:
수술 부위 관찰하지 못했음.
Type of wound drains:
j-p drain
characteristics of drainage:
serous, oozing
Dressings(clean, dry, intact):
직접 관찰하지 못함.
Sutures, staples, steri-strips, other:
항문 부위이기 때문에 직접관찰하지 못함.
Risk for pressure ulcer assessment rating :
욕창사정도구 사정 결과 17점으로 저위험군에 속함.
입원 후 1회 실시함.
other:
(-)
⑦ 안이빈인후계(EYES, EARS, NOSE, THROAT: EENT)
Eyes: redness, drainage, edema, ptosis
(-)
Ears: drainage
(-)
Nose: redness, drainage, edema
(-)
Throat: sore
(-)
Psychosocial and Cultural Assessment
Religious preference(face sheet)
불교
Marital status
(face sheet)
기혼
Health care benefits and insurance(face sheet)
사정하지 못함.
Occupation(face sheet)
무
Emotional state(nurse\'s notes)
Foley catheter 제거 후 self voiding이 안되는 것에 대해 걱정함.
2) 환자상태와 교재 내용 비교(Compare client\' condition and Text book review)
Client
Text Book Review
Etiology
지속적으로 복용한 변비약이 대장을 점막을 자극하여 rectal perforation이 발생하였고, 이는 peritonitis로 되었다.
속발성 복막염(secondory peritonitis)은 흔히 급성복부장애로 인한 박테리아 침범으로 유발된다. 속발성 복막염은 괴사성 장, 둔상 혹은 관통상에 의한 장벽의 천공이나 담즙 누출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Manifestation
- constipation
- abd. pain
- T : 37. 7, P : 99
- 복통(국소적, 어깨나 흉부로 방사됨)
- 압통
- 장음 감소
- 고열
- 빈맥
- 복벽강직 : 널빤지처럼 견고하고 딱딱한 복부
Diagnostic Test
-Abdominal x-ray: abdomen-supine
- 복부 X-ray를 통해 복강 내에 천공을 의미하는 공기나 체액을 확인할 수 있으며, 소장이나 대장의 팽만이나 부종, 염증을 확인할 수 있다.
Treatment
- T-loop colostomy o.p
- I&D of perirectal region
결장루술은 복부표면에 개구부를 만드는 외과적 수술이다. 결장루는 상행결장, 횡행결장, 하행결장 또는 S상 결장에 만들어진다. 루프 장루(loop stoma)는 앞쪽 장벽을 자르고 뒤집어, 결장 루프를 피부 표면에 이르게 해서, 복벽에 봉합하여 만들게 된다. 루프 결장루술(loop colostomy)은 일반적으로 횡행결장에 시행하며 일시적으로 장루를 형성할 때 실시한다.
항문샘에 염증이 생겨 고름집이 형성되는 것을 항문주위 농양이라고 한다.
단순 농양의 경우는 배농술을 하고 항생제 치료를 하지만, 대부분의 항문주위 농양은 다른 신체 부위에 생긴 농양과는 달리 그 근원이 항문관 안에 있기 때문에 항문샘조직과 주위 염증조직을 제거하는 수술을 한다.
Laboratory Test
- WBC : 5.02 (x10^3 /μL)
- Na : 134 (mmol/L)
- K : 3.9 (mmol/L)
- Cl : 100 (mmol/L)
- PH : 7.416
- PO2 : 72.4 (mmHg)
- PCO2 : 30.7 (mmHg)
- HCO3 : 19.3 (mmHg)
일반적으로 백혈구가 20000/㎣까지 상승하고 호중구가 증가한다. 체액과 전해질 균형과 신장 기능을 평가하기 위해 아래의 검사를 시행한다. 호흡기능과 산-염기 균형을 사정하기 위해서는 동맥혈가스분석을 시행한다.
Reference
IGNATAVICIUS WORKMAN 저. 박정숙 역(2009). 성인간호학2, 서울: 엘스비어코리아.
Gakken 저. 채석래권혜숙 역(2007). 간호사를 위한 검사 이야기, 파주: 도서출판 의학서원.
서울아산병원 홈페이지 →건강정보http://healthinfo.amc.seoul.kr/healthinfo/medical/diseaseView.do?kind=C000009&contentId=31774&diseaseId=H002417
3) 비정상 자료 목록(Abnormal data list)
Abnormal data list
* 주관적 자료(SUBJECTIVE DATA)
S1. “기침하거나 몸 일으킬 때마다 배가 너무 땡긴다.”
S2. “배에 수술했는 데 수술 부위를 뭘 어떻게 해야되는 지 하나도 모르겠다.”
S3. “소변 봐도 소변이 차 있는 것처럼 찝찝하다.”
S4. “수술 때문에 밥을 못 먹었더니...영 기운이 없다.”
S5. “침대에서 일어날 때 난간 꽉 잡고 일어나다보니 어깨가 너무 아프다.”
S6. “이빨이 1개뿐이라 죽 같은 거 밖에 못 먹는다.”
S7. “소변이 나와야하는데
추천자료
중환자실케이스-장천공 환자 사례보고(발표대회 우수상)
충수돌기염 케이스 스터디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복막염(Peritonitis)
케이스 스터디(Case Study) - 뇌졸중 (Cerebral Vascular Accident ; CVA)
복막염, penperitonitis,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SOAPIE, 간호진단, 간호사정,...
복막염, penperitonitis, 복막염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복막염 수술 후 관리,...
복막염, penperitonitis,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SOAPIE, 간호진단, 간호사정,...
복막염, penperitonitis, 케이스스터디, case study, 간호과정, SOAPIE, 간호진단, 간호사정,...
FOLFOX와 항암화학요법, Rectal ca. CASE STUDY
소개글